• Title/Summary/Keyword: Word-Sense-Disambiguation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Word2Vec (Word2Vec를 이용한 단어 의미 모호성 해소)

  • Kang, Myung Yun;Kim, Bogyum;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81-84
    • /
    • 2015
  • 자연어 문서에 출현하는 단어에는 중의적 단어가 있으며, 이 단어에서 발생되는 의미 모호성은 대개 그 문맥에 따라 해소된다. 의미 모호성 해소 연구 중, 한국어 단어 공간 모델 방법은 의미 태그 부착 말뭉치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해결하는 연구로서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Word2Vec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인 한국어 단어 공간 모델의 단어 벡터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세종 형태 의미 분석 말뭉치로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 성능인 93.99%와 유사한 93.32%의 정확률을 보이면서도 약 7.6배의 속도 향상이 있었다.

  • PDF

Unsupervised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CoreNet (코어넷을 활용한 비지도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

  • Han, Kijong;Nam, Sangha;Kim, Jiseong;Hahm, YoungGy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53-158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어휘 의미망인 코어넷(CoreNet)을 활용한 비지도학습 방식의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siambiguation)에 대한 연구이다. 어의 중의성 해소의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의미 후보를 나눌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동형이의어와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여 의미 후보를 나누어서 진행하였으며 이렇게 나눈 것이 실제 활용에서 의미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였다. 접근 방식으로는 문맥 속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어휘의 의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중의성 해소를 할 수 있도록 마코프랜덤필드와 의존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식 기반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임의의 모든 어휘에 대해 중의성 해소를 하도록 직접 구축한 데이터 셋에 대하여 80.9%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Unsupervised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CoreNet (코어넷을 활용한 비지도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

  • Han, Kijong;Nam, Sangha;Kim, Jiseong;Hahm, YoungGyun;Choi, Key-Su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53-158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어휘 의미망인 코어넷(CoreNet)을 활용한 비지도학습 방식의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siambiguation)에 대한 연구이다. 어의 중의성 해소의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의미 후보를 나눌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동형이의어와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여 의미 후보를 나누어서 진행하였으며 이렇게 나눈 것이 실제 활용에서 의미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였다. 접근 방식으로는 문맥 속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어휘의 의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중의성 해소를 할 수 있도록 마코프랜덤필드와 의존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식 기반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임의의 모든 어휘에 대해 중의성 해소를 하도록 직접 구축한 데이터 셋에 대하여 80.9%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Target Word Selection for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using Multiple Knowledge (다양한 지식을 사용한 영한 기계번역에서의 대역어 선택)

  • Lee, Ki-Young;Kim, Han-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5 s.43
    • /
    • pp.75-86
    • /
    • 2006
  • Target word se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tasks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It effects on the translation accuracy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select Korean target word for an English noun with translation ambiguities using multiple knowledge such as verb frame patterns, sense vectors based on collocations, statistical Korean local context information and co-occurring POS information. Verb frame patterns constructed with dictionary and corpu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olving the sparseness problem of collocation data. Sense vectors are a set of collocation data when an English word having target selection ambiguities is to be translated to specific Korean target word. Statistical Korean local context Information is an N-gram information generated using Korean corpus. The co-occurring POS information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 clue which appears with ambiguous word. The experiment showed promising results for diverse sentences from web documents.

  • PDF

Improving Performance of Web Search Engine using Query Word Senses and User Feedback (질의어 의미정보와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웹 검색엔진의 성능향상)

  • Yoon,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2
    • /
    • pp.280-285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improving performance using word senses and user feedback in web information retrieval, compared with the retrieval based on ambiguous user query and index. Disambiguation using word senses is very important processing for improving performance by eliminating the irrelevant pages from the result. According to semantic categories of nouns which are used as index for retrieval, we build the word sense knowledge-base and categorize the web pages. I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trieval system with user feedback deciding the query sense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o web pages.

  • PDF

Application of a Naive Bayes Classifier for Topic Word Sense Disambiguation (주제어의 중의성 해소를 위한 Naive Bayes 분류기 적용에 관한 연구)

  • 유현숙;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0.08a
    • /
    • pp.71-74
    • /
    • 2000
  • 단어의 의미 중의성을 해소하는 것은 자연언어처리의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특히 문서의 주제어가 중의성을 가질 때, 이 문서는 부적합한 범주에 속하게 되어 정보검색시 잡음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문서를 대표하는 주재어의 의미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해 주변 문맥자질을 고려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자연언어처리의 통계적 방법으로 문서 범주화에 많이 사용되는 Naive Bayes 분류기를 중의성 해소에 적용하고, 그 결과 얻어진 중의성 해소 성능을 평가한다.

  • PDF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BERT (BERT를 이용한 한국어 단어 의미 모호성 해소)

  • Youn, Jun Young;Shin, Hyeong Jin;Park, Jeong Yeon;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85-487
    • /
    • 2019
  • 단어의 의미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단어 벡터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문맥 기반 단어 벡터인 BERT를 이용하여 한국어 단어 의미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그 실험 결과를 기존의 한국어 단어 의미 모호성 연구 결과와 비교한다.

  • PDF

Automatic WordNet mapping using word sense disambiguation (의미 애매성 해소를 이용한 WordNet 자동 매핑)

  • Lee, Chang-Ki;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262-26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어휘 의미 애매성 해소와 영어 대역어 사전 그리고 외국언어에 존재하는 개념체계를 이용하여 한국어 개념체계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기존의 개념체계 구축 방법들에 비해 적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한 자동 구축 방법에서 사용하는 어휘 의미 애매성 해소를 위한 6가지 feature도 함께 설명한다.

  • PDF

Practical Target Word Selection Using Collocation in English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영한번역 시스템에서 연어 사용에 의한 실용적인 대역어 선택)

  • 김성묵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5 no.2
    • /
    • pp.56-61
    • /
    • 2000
  • The quality of English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depends on how well it deals with target word selection of verbs containing enormous ambiguity. Verb sense disambiguation can be done by using collocation, but the construction of verb collocations costs a lot of efforts and expenses. So, existing methods should be examined in the practical view points. This paper describes the practical method of target word selection using existing collocation and semantic distance computed from minimum semantic features of nouns.

  • PDF

World Sense Disambiguation using Multiple Feature Decision Lists (다중 자질 결정 목록을 이용한 단어 의미 중의성 해결)

  • 서희철;임해창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7_8
    • /
    • pp.659-671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disambiguating the senses of words using decision lists, which consists of rules with confidence values. The rule of decision list is composed of a boolean function(=precondition) and a class(=sense). Decision lists classify the instance using the rule with the highest confidence value that is matched with it. Previous work disambiguated the senses using single feature decision lists, whose boolean function was composed of only one feature. However, this approach can be affected more severely by data sparseness problem and preprocessing errors. Hence, we propose multiple feature decision lists that have the boolean function consisting of more than one feature in order to identify the senses of words.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1 sense tagged corpus in Korean and 5 sense tagged corpus in English.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ultiple feature decision lists are more effective than single feature decision lists in disambiguating se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