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d alignmen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Word class information in perception of prosodic prominenc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Im, Suyeon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1-8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rosodic prominence is perceived in relation to word class information (or parts-of-speech)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compared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in public speech. Two groups,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d native English speakers, were asked to judge words perceived as prominent simultaneously while listening to a speech. Parts-of-speech and three acoustic cues (i.e., max F0, mean phone duration, and mean intensity) were analyzed for each word in the speech.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nt words tended to be higher in pitch and longer in duration than function words. Both groups of listeners rated prominence on content words more frequently than on function words. This tendency, however,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an for native English speakers. Among the parts-of-speech of the content words, Korean learners of English were more likely than native English speakers to judge nouns and verbs as prominent.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consider most, if not all, content words as landing locations of prosodic prominence, in alignment with the previous study on the production of prominence.

An Alignment based technique for Text Translation between Traditional Chinese and Simplified Chinese

  • Sue J. Ker;Lin, Chun-Hsie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 /
    • pp.147-156
    • /
    • 2002
  • Aligned parallel corpora have proved very useful in many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including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and word sense disambigua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alignment technique for extracting transfer mapping from the parallel corpus. During building our system and data collection, we observe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translation approaches can be used. We especially focuses on Traditional Chinese and Simplified Chinese text lexical translation and a method for extracting transfer mappings for machine translation.

  • PDF

문장 길이와 단어 정렬에 기반한 한-영 문장 정렬 (Korean-English Sentence Alignment Based on Sentence Length and Word Alignment)

  • 임재수;서희철;이상주;임해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02-309
    • /
    • 2001
  • 말뭉치를 통한 통계적인 자연 언어 처리에 관한 연구가 다국어 처리 분야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병렬 말뭉치 구축 및 활용의 기본이 되는 문장 정렬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기존의 문장 길이를 이용한 방법을 한-영 문장 정렬에 적용해 보고, 길이 정보만을 이용했을 때의 한계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사전과 품사 대응 확률을 이용한 단어 정렬을 통하여, 길이 기반의 정렬 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길이에 기반한 방법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영 문장 정렬에의 어휘 정보 활용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요소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본다.

  • PDF

품사간 정렬 경향을 반영한 통계 기반 영한 단어 정렬 후처리 방법 (A Postprocessing method for Statistical English-Korean Word Alignment Reflecting Alignment Tendency Between Parts-of-Speeches)

  • 이재희;이승욱;황영숙;김상범;임해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9년도 제2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42-246
    • /
    • 2009
  • 병렬 말뭉치 내에서 서로 대응되는 단어를 찾아내는 단어 정렬 작업은 기계 번역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작업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한 단어 정렬에서 기존의 통계 기반 정렬 모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한의 품사간 정렬 경향을 단어 정렬에 반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서 기존 통계 기반 영한 단어 정렬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이 정확률, 재현율, F-measure 측면에서 모두 향상시키는 것을 보였다.

  • PDF

Toward A Bilingual Legal Term Glossary from Context Profiles

  • Kwong, Oi-Yee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 /
    • pp.249-258
    • /
    • 2002
  • We propose an algorithm for the automatic acquisition of a bilingual lexicon in the legal domain. We make use of a parallel corpus of bilingual court judgments, aligned to the sentence level, and analyse the bilingual context profiles to extract corresponding legal terms in both languages. Our method is different from those in past studies as it does not require any prior knowledge source, and naturally extends to multi-word terms in either language. A pilot test was done with a sample of ten legal terms, each with ten or more occurrences in the data. Encouraging results of about 75% average accuracy were obtained. This figure does not only reflect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for bilingual lexicon acquisition, but also its potential for bilingual alignment at the word or expression level.

  • PDF

통계적 수정규칙을 이용한 한국어-중국어 단어정렬 개선방법 (Using Statistical Correction Rule to Improve Word Alignment)

  • 김장호;이금희;나휘동;김동일;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9년도 제2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31-23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으로 추출한 수정규칙을 이용하여 구 기반 한-중 통계기계번역 시스템(PBSMT)의 단어정렬 결과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정규칙은 단어정렬의 결과를 사람이 만든 정답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추출한 수정규칙을 이용하여 한-중 통계기계번역 시스템의 단어정렬의 결과에서 한국어 기능어(functional word)에 나타나는 오류를 수정함으로써 단어정렬의 결과를 개선하였고 최종적으로 기계번역의 성능을 제고하였다.

  • PDF

중-한 대조분석정보를 이용한 단어정렬 (Word Alignment Using Chinese-Korean Linguistic Contrastive Information)

  • 리금희;김동일;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2년도 제1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0-4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범용 병렬코퍼스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단어정렬의 방법을 제안한다. 단어 단위로 정렬된 병렬코퍼스는 자연언어처리의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변환기반의 기계번역에서 변환패턴의 구축, MWTU(Multi Word Translation Unit)의 자동추출, 사전 구축, 의미 중의성 해소 등 분야에 적용된다. 중한 병렬 코퍼스의 단어정렬은 서로 다른 어족간의 관계의 규명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인 모델보다 중한 대역어 사전, 단일어 시소러스, 품사정보 및 언어학적 대조분석 정보 등 기존에 있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재현율과 정확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중앙일보에서 임의로 추출한 500개 대응문장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82.2%의 정확률과 64.8%의 재현율을 보였다.

  • PDF

가상 캐리 예측 덧셈기와 PCI 인터페이스를 갖는 분할형 워드 기반 RSA 암호 칩의 설계 (A Scalable Word-based RSA Cryptoprocessor with PCI Interface Using Pseudo Carry Look-ahead Adder)

  • 권택원;최준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8호
    • /
    • pp.34-4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가상 캐리 예측 덧셈기(pseudo carry look-ahead adder)를 사용하여 분할형 워드 기반 RSA의 구현에 관한 방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효율적인 모듈라 곱셈기의 설계를 위해 병렬 2단CSA(carry-save adder)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마지막 덧셈의 고속 처리를 위하여 캐리 발생과 지연시간이 짧은 가상 캐리 예측 덧셈기를 적용하였다. 제안한 모듈라 곱셈기는 분할형 워드를 기반으로하여 다음 모듈라 연산을 위해 매 클럭마다 쉬프트와 정렬 연산이 필요없기 때문에 하드웨어를 줄일 수 있으며 고속 모듈라 곱셈 연산을 가능하게한다. 제안한 연산 구조를 PCI 인터페이스를 갖는 FPGA로 기능을 검증한 후 0.5㎛ 삼성 gate array 공정을 사용해서 256 워드 모듈라 곱셈기를 기반으로 한 1024-bit RSA 암호프로세서를 단일 칩으로 구현하였다.

이중 언어 기반 패러프레이즈 추출을 위한 피봇 차별화 방법 (Pivot Discrimination Approach for Paraphrase Extraction from Bilingual Corpus)

  • 박에스더;이형규;김민정;임해창
    • 인지과학
    • /
    • 제22권1호
    • /
    • pp.57-78
    • /
    • 2011
  • 패러프레이즈는 같은 의미를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을 말한다. 패러프레이즈는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도 흔히 관측되며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통계적 기계 번역 분야에서 데이터 부족 문제를 보완하여 번역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러프레이즈를 활용한 연구가 많다. 이중 언어 병렬 말뭉치를 이용하는 패러프레이즈 추출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언어를 피봇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단어 정렬 및 구 정렬 과정을 두 번 거친다. 따라서 단어 정렬의 오류가 패러프레이즈로 전파될 수 있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와 같이 언어의 구조적인 차이가 큰 경우에는 단어 정렬 오류가 더 심각하기 때문에 피봇 프레이즈부터 잘못 추출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패러프레이즈 추출 과정에서 피봇 프레이즈를 차별화하는 방안으로서 어휘, 품사 정보를 이용해 올바른 피봇 프레이즈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피봇 가중치 부여 방법을 기존의 패러프레이즈 추출 방법에 추가했을 때 패러프레이즈 추출 정확률과 재현율이 모두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추출한 패러프레이즈를 한영 기계 번역 시스템에서 활용하였을 때 번역률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시간축 정규화 방법을 이용한 한국어 고립단어 인식기 (Korean isolated word recognizer using new time alignment method of speech signal)

  • 남명우;박규홍;노승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5호
    • /
    • pp.567-57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의 발성길이와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의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음성인식기의 성능은 음성신호에서 추출된 파라미터간의 유사도(패턴간의 거리)를 어떻게 비교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화자에 따른 음성신호의 변이나 발성속도의 차이는 음성신호에서 일정한 크기의 파라미터 추출을 어렵게 한다. 제안한 방법은 음성신호에서 얻어진 파라미터를 스펙토그램의 형태로 표현한 뒤 2차원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해 일정한 크기의 파라미터로 정규화시키는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청각세포를 모델링한 32개의 대역통과 필터로부터 얻어진 음성신호의 파라미터를 2차원 DCT 방법으로 가공한 후, 신경 회로망의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 방법과의 인식률 비교를 위해 기존의 정규화된 입력을 구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화자종속 및 화자독립 고립단어 인식에서 더 높은 인식률과 빠른 인식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