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preservativ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Monoethylene Glycol계(系) 수지액(收支液)을 주입(注入)한 소나무재(材)에 있어서 수지성분(樹脂成分)의 분포(分布)와 방부효과(防腐效果) (Distribution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of Resin Element in Pine Wood Impregnated with Monoethylene Glycol Resin Solution)

  • 이종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77-82
    • /
    • 1995
  • With the aim to utilize pine wood(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s an interior building materials, such as flooring material, monoethylene glycol(MEG) resin solution was impregnated into greenwood. Specimens of three different qualities, that is, normal wood, resinous wood and compression wood, were prepared. Distribution of resin element(phosphorus) in MEG resin solution-impregnated woods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against brown rot fungi(Tyromyces palustris and Serpula lacrymans) of these wood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us into cell walls of resinous wood and compression wood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normal wood. This shows that the quality of wood has an influence on the penetration of MEG resin solution into the wood. It was shown from a leaching test that MEG resin could be leached out easily from the cell walls. 2. The resinous wood and compression wood, even without MEG resin solution impregnation had high decay resistance. For normal wood, significant improvement of preservative effectiveness was observed after impregnation of MEG resin solution. It was shown that MEG resin was leached out from the woods after leaching test,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preservative effectiveness. From this result, suitability of MEG resin solution-impregnated woods as an interior materials was recognized.

  • PDF

Structural Performance of Finger-Jointed Lumber with Different Joint Configurations

  • Lee, Sang-Joon;Eom, Chang-Deuk;Kim, Kwang-M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2호
    • /
    • pp.172-178
    • /
    • 2011
  • Three different finger-jointed lumbers which have different geometric features and adhesives were manufactured and studied in this study. Larch and pitch pine lumbers with and without preservative treatment were used. Bending MOE was measured as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grouping the specimen. After the finger, bending MOE of two wood species without preservative treatment shows over 97% property of the control group. The tensile modulus also shows almost same property after the finger joint. And it is found out that the preservative treatment induce little effect on bending and tensile MOE. Based on this result, high performance of examined finger-jointed lumber can be found out. However, tensile strength decreased around 20% which would be induced by the crack along the root of the finger which is formed near the edge during manufacturing stage. And finger-jointed lumber with preservative treatment even shows higher decrement of the tensile strength with higher wooden part failure mode.

12개월 야외 내후성 시험에 의한 과열증기 열처리된 낙엽송재의 열화 평가 (Evaluation of Deterioration of Larix kaempferi Wood Heat-treated by Superheated Steam through Field Decay Test for 12 Months)

  • Park, Yonggun;Han, Yeonjung;Park, Jun-Ho;Chung, Hyunwoo;Kim, Hyunbin;Yang, Sang-Yun;Chang, Yoon-Seong;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97-5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열증기를 이용하여 열처리한 낙엽송재의 야외 내후성 시험을 통해 부후균과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12개월간 진행된 야외 내후성 시험 결과, 무처리재는 흰개미에 의한 피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방부목재와 과열증기 열처리재에서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피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무처리재와 방부목재는 약 5%의 질량 감소를 보였으며, 과열증기 열처리재는 약 1%의 질량 감소를 보였다. 야외 내후성 시험이 진행된 후 방부목재에 남아있는 방부약제의 함량이 야외 내후성 시험 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보아 야외 내후성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방부약제가 일부 용출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방부목재의 질량 감소가 무처리재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었다. 과열증기를 이용한 열처리는 방부약제 주입과 같은 화학적인 처리 없이 친환경적으로 목재의 부후균과 해충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장기적인 관찰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CuAz-3처리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한 구조용 집성재 성능 평가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Laminated with CuAz-3 Preservative Treated Lumber)

  • 김광모;엄창득;이상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521-530
    • /
    • 2011
  • 구조용 집성재의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다양화되면서 교량이나 파고라와 같이 외기에 노출되는 조건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 내구성 구조용 집성재에 대한 시장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산 침엽수재로 제조되는 구조용 집성재에 적합한 방부처리 기술 및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부처리된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고 제조 단계별 생산수율과 KS 품질기준 충족여부를 평가하였다. 방부집성재의 제조수율은 일반 집성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목재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집성재 제조수율 향상방안과 함께 부산물에 대한 효율적 활용방안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리기다소나무 방부처리재의 경우 불균일한 방부약제 흡수량으로 인하여 구조용 집성재 제조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집성재 제조 후에 유용성 방부제를 처리하는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요구되었다.

수용성(水溶性) 방부처리재(防腐處理材)에서 금속류(金屬類)의 부식(腐蝕) (Corrosion of Metals in Waterborne Preservative-Treated Wood)

  • 김규혁;김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15-22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osion of metal fasteners in waterborne preservative-treated wood. Of all the metal tested, steel exhibited the greatest amount of corrosion across all preservatives and exposure conditions whereas stainless steel was totally inert. Galvanized steel corroded at a much lower rate compared to steel and the corrosion of brass was negligible. Among the preservatives, CCA-Type B was the most corrosive system tested. The sequence for the average corrosivity across all metals was: CCA-type B>CCA-Type C${\geq}$ACC${\geq}$CCA-Type A. Across all metals and retentions the salt formulations were more corrosive than the oxide and the corrosion was increased with the increse in the amount of preservative loadings. The amount of corrosion was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exposure relative humidity (RH) across all metals and presevatives However, at the 60% RH exposure condition, the corrosion of metals was very negligible. Consequently, it can be concluded that across all metals oxide-type preservatives should be used to prevent the corrosion problem of metal fasteners in contact with treated wood and the use of steel nail preservative-treated wood should be avoided without distinction of end-use location, i.e., exterior or interior, and the use of stainless steel or at least brass nail in damp exterior condition was strongly recommended.

  • PDF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가 집성재 제조용 레조르시놀 수지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onicochid Type Wood Preservative on Adhesive Properties of Resorcinol Resin for Lminated Wood)

  • 이동흡;이종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34-40
    • /
    • 2014
  • 흰개미 방제 및 방곰팡이 효력이 입증된 저독성 네오티코치드계 목재보존제가 집성재 제조용 레조르시놀계 접착제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Q, CUAZ, 네오니코치드계 약제를 도포 처리한 다음 건조시킨 소나무 판재를 사용하였으며, 집성 접착 후에 블록 전단시험편을 채취하여 상태 및 촉진 열화 시험 후의 전단접착력과 목파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ACQ 및 CUAZ 처리 집성재는 무처리 및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 처리 집성재에 비하여 낮은 전단접착력을 보여 접착력 저하가 인정되었다. 이것은 이들 방부제 중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화합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 처리 집성재는 상태 및 촉진열화 시험 후에도 가장 우수한 전단접착력을 나타내 레조르시놀계 접착제의 접착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옥외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연구 동향 - 구리 기반 약제를 중심으로 - (Current Research Trends in Wood Preservative for Enhanced Durability : A Literature Review on Copper Based Preservatives)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12-2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CA일몰 후,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국제적 연구 동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가압용 약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최근의 구리 기반 약제의 형태는 수용성으로 ACQ나 CuAz 등의 구리 정착 개선 및 유효성분의 용탈 방지 등이 이슈화 되어 있으며, 미분화(micronized copper) 또는 나노 크기 입자를 이용한 유제형 약제 출현으로 이들의 목재 내 침투 및 정착 특성 연구 등에 대한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또한 CCA와 달리 현재의 alkyl ammonium quat. 또는 azol 약제 등의 경우에는 구리 내성균에 대해 항균성 감소가 많아 이에 대비한 co-biocide 개발이 심각하게 요구되고 있다.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ACQ)를 처리한 목재 중의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성분의 발색처리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Coloring Method of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in Wood Treated with Alkaline Copper Quat (ACQ) Preservative)

  • 이종신;최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53-259
    • /
    • 2018
  • ACQ 처리 목재에서 약제의 침투깊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Cu 성분만을 대상으로 침윤도를 측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Cu 이외에 ACQ의 유효성분 중에 하나인 DDAC의 침투깊이를 조사할 수 있는 DDAC 발색처리 방법을 개발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DAC 성분은 2',7'-dichlorofluorescein 발색 지시약과 반응하여 진한 주황색으로 발색한다. 이와 같은 발색 반응은 DDAC 용액에서 뿐만 아니라 ACQ 처리 목재에서도 진행되어 DDAC가 침투되어 있는 목재 조직에서는 동일하게 주황색으로 발색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DDAC 발색기술에 의하여 방부제 난주입성 수종인 가문비나무에서 Cu에 비하여 DDAC의 목재 침투성이 우수한 사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른 난주입성 수종에 대해서도 Cu와 DDAC의 침투성 차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 (ACQ) 유효성분의 목재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ne Copper Quat Preservative Components in Wood)

  • 이종신;최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91-498
    • /
    • 2014
  • ACQ 목재 방부처리 현장에서 약액의 농도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ACQ 약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약액의 농도 변화, 처리 목재의 약제 흡수량 그리고 Cu (CuO로써)와 DDAC의 유효성분 비율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목재 수종은 낙엽송, 미송, 라디에타소나무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ACQ 약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재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약액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농도 감소경향은 유효성분의 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나 Cu보다는 DDAC의 농도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Cu의 농도감소는 처리 수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DDAC의 경우에는 약액 흡수가 많은 수종에서 농도 감소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약액의 재사용 횟수에 관계없이 Cu의 목재 흡수량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DDAC 흡수량은 재사용 횟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약액의 재사용 횟수의 증가로 DDAC 농도가 감소하면 Cu의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처리 목재 내 흡착반응 과정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DDAC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Cu의 흡착량이 많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황산구리와 탄산나트륨 처리 목재 내의 물불용성 구리화합물의 생성과 방부효력 (Formation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of Water-Insoluble Copper Compound in Wood Treated with Copper Sulfate and Sodium Carbonate)

  • 김진경;이종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58-364
    • /
    • 2008
  • Wood-inorganic material composite (WIC) was prepared by impregnating wood with copper sulfate ($CuSO_4\;5H_2O$) solution and by immersed wood in sodium carbonate($Na_2CO_3$) solution in order to introduce insoluble copper compounds {copper carbonate hydroxide, $CuCO_3\;Cu(OH)_2$} into the wood to give fungicidal effects in treated-wood. The weight percent gains (WPGs) of treated wood reached maximum value by impregnation of 20% copper sulfate solution and immersion in about 15% sodium carbonate solution for 24 hrs. Inorganic substances were present mainly in the lumina and cross-field pitting of tracheides. These substances were proved to be the insoluble copper carbonate hydroxide against water by the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in conjunction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EDXA). The treated specimens showed high preservative effectiveness because the weight losses were hardly occurred by the fungi degradation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