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nsan Islan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2011-2012년 서해 보령연안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Boryeong off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2011-2012)

  • 추효상;윤은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97-512
    • /
    • 2017
  • 2011~2012년 보령연안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특성을 장기 연속수온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온은 반일 또는 일일의 단주기 변동이 전 계절에 탁월하고 그 진폭은 하계와 춘계에 크고 추계에 작다. 수온과 기온의 연변동 진폭은 기온 $12.9^{\circ}C$, 수온 $10.9^{\circ}C$로 기온이 더 크며, 연변동 최고위상은 기온 8월 2일, 수온 8월 22일로 기온이 20일 앞선다. 수온의 연변동 진폭은 원산도와 대천항 연안에서 가장 크다. 수온변동 중 일일주기는 대천항과 무창포항, 반일주기는 원산도 주변 협수로에서 탁월하며, 대천천 하구는 천해조 비율이 높다. 표층수온과 기온은 대체로 풍향 변동에 따라 변동한다. 하천수가 방출되면 수온은 상승 후 하강 또는 하강 후 상승한다. 수온 탁월주기는 0.5일, 1.0일, 15일 주기와 7~10일 전후이다. 수온변동특성에 따라 해역을 분류하면 (1)원산도 남동연안의 혼합수역 (2)삽시도~용도, 장고도~삽시도, 장고도~안면도 남쪽의 서쪽 외해수역 (3)용도~독산의 남쪽 외해수역 (4)송도~대천항~무창포항의 조간대 연안수역으로 구분된다.

동해 연안에서 발생하는 중규모 와동류의 분포와 시간적인 변동에 관한 연구

  • 김순영;김동주;이형선;이재철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9년도 임시총회 및 가을 학술발표회 초록집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pp.88-91
    • /
    • 1999
  • Temperature data observed by NERDA and the satellite infrared imagery off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1994 to 1998 for 5 years were analyzed to study the distribution, temporal change, and structure of mesoscale eddies appearing almost permanently off the east coast of Korea. Typically, the eddy distribution can be characterized by two cases; two-eddy case and three-eddy case. In 1995 and 1996, there were only two eddies, one northeast of Sokcho and the other around the Ulleung Island. In 1994, 1997 and 1998, three eddies were located off Wonsan, Sokcho and Youngduk. For two-eddy case, the Ulleung Eddy surrounded the Ulleung Island, whereas this eddy is located south of the island in three-eddy case.

  • PDF

Sea level observations in the Korean seas by remote sensing

  • Yoon, Hong-Jo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58-60
    • /
    • 2004
  • Sea level variations and sea surface circulations in the Korean seas were observed by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from 1993 through 1997. In sea level variations, the West and South Sea showed relatively high variations with comparison to the East Sea. Then,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 in the West Sea showed the range of 20∼30cm and 18∼24cm, and the northern west of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west of Tsushima island in the South Sea showed the range of 15∼20cm and 10∼15cm, respectively. High variations in the West Sea were results to the inflow in sea surface of Yellow Sea Warm Current (YSWC) and bottom topography. Sea level variations in the South Sea were due to two branch currents (Jeju Warm Current and East Korea Warm Current) originated from Kuroshio Current (KC). In sea surface circulations, there existed remarkably three eddies circulations in the East Sea that are mainly connected with North Korea Cold Current (NKCC),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and Tushima Warm Current (TWC). Their eddies are caused basically to the influence of currents in sea surface circulations; Cyclone (0.03 cm/see) in the Wonsan bay off shore with NKCC, and anticyclone (0.06 cm/see) in the southwestern area of Ulleung island with EKWC, and cyclone (0.01 cm/see) in the northeastern area of Tushima island with TWC, respectively.

Sea level observations in the Korean seas by remote sensing

  • Yoon, Hong-Joo;Byon, Hye-Ky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79-881
    • /
    • 2003
  • Sea level variations and sea surface circulations in the Korean seas were observed by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from 1993 through 1997. In sea level variations, the West and South Sea showed relatively high variations with comparison to the East Sea. Then,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 in the West Sea showed the range of 20${\sim}$30cm and 18${\sim}$24cm, and the northern west of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west of Tsushima island in the South Sea showed the range of 15${\sim}$20cm and 10${\sim}$15cm, respectively. High variations in the West Sea was results to the inflow in sea surface of Yellow Sea Warm Current (YSWC) and bottom topography. Sea level variations in the South Sea was due to two branch currents(Jeju Warm Current and East Korea Warm Current) originated from Kuroshio Current (KC). In sea surface circulations, there existed remarkably three eddies circulations in the East Sea that are mainly connected with North Korea Cold Current (NKCC),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and Tushima Warm Current(TWC). Their eddies are caused basically to the influence of currents in sea surface circulations; Cyclone (0.03 cm/sec) in the Wonsan bay off shore with NKCC, and anticyclone (0.06 cm/sec) in the southwestern area of Ulleung island with EKWC, and cyclone (0.01 cm/sec) in the northeastern area of Tushima island with TWC, respectively.

  • PDF

An updated list of mosses of Korea

  • Kim, Wonhee;Higuchi, Masanobu;Yamaguchi, Tomi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377-412
    • /
    • 2020
  • Cardot(1904) first reported 98 Korean mosses, which were collected from Busan, Gangwon Province, Mokpo, Seoul, Wonsan and Pyongyang by Father Faurie in 1901. Thirty-four of these species were new species to the world. However, eight of these species have been not listed to the moss checklist of Korea before this study. Thus, this study complies the literature including Korean mosses, and lists all the species there. As the result, the moss list of Korea is updated as including 775 taxa (728 species, 7 subspecies, 38 varieties, 2 forma) arranged into 56 families and 250 genera. This list include species that have been newly recorded since 1980. Brachythecium is the largest genus in Korea, and Fissidens, Sphagnum, Dicranum and Entodon are relatively large. Additionally, this study cites specimens collected from Jeju Island, Samcheok, Gangwon Province, and Socheong Island,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338 species in Korea.

서해안의 바지락(Venerupis philippinarum)에서 장구균(Enterococcus spp.)의 분포 및 동정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Enterococcus spp. Strains Isolated from Venerupis philippinarum i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신혜;김희대;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20-525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tect Enterococcus spp. strain, a fecal contamination indicator, by PCR assay from short neck clams Venerupis philippinarum in Cheonsu Bay area, Chu Island area and Wonsan Island area,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November 2022 to February 2023 of Enterococcus spp. strain was detected in 19 (79.2%) among 24 samples, and its concentration ranged from <18 to 33,000 MPN (most probable number)/100 g. The 269 isolated Enterococcus spp. strains were identified by PCR assay, and Enterococcus spp. distribution in short neck clams were E. faecium (39.8%), E. faecalis (23.0%), E. hirae (21.9%), E. gallinarum (10.4%), E. casseliflavus (1.5%), E. durans (1.5%) and unidentified strains (1.9%). Thus, E. faecium was the most dominant strain followed by E. faecalis. Overall, these results provide novel insight into the necessity for shellfish sanitation in the sea and could help reduce the fecal contamination risk.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한 동해 원산연안의 재발생 와동류 연구 (Study of a Recurring Anticyclonic Eddy off Wonsan Coast in Northern Korea Using Satellite Tracking Drifter, Satellite Ocean Color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magery)

  • 서영상;장이현;김정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20
    • /
    • 2000
  •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동해북부 원산 연근해역의 재발생 와동류에 대한 형태변동, 유속, 발생기작 등을 연구하였다. 1999년 1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의 기간에 대한 ARGOS의 표류부이 자료(위치정보 및 수온), NOAA 위성의 AVHRR 자료(표면수온) 그리고 Orbview-2 위성의 SeaWiFS 자료(클로로필 a)를 이용하여 재발생 와동류의 수평공간 규모를 파악하였다. 또한 재발생 와동류의 기작과 변동원인을 규명하고자 속초와 울릉도에서의 풍향, 풍속자료, 묵호-울릉도간 해수면 차 값 및 해저지형과 와동류에 포획되어 있는 표류부이의 시.공간적 위치변동간의 상관정도를 파악하였다. 원산 연안해역에서의 와동류의 72일간 평균유속은 153 km/h (42 cm/sec)로 분석되었다. 이 와동류는 cold core, 시계방향의 회전, 직경 110 km의 수평공간을 가진 재발생 와동류로서 와동류의 중심은 위도 $39^{\circ}N$, 경도 $129^{\circ}E$로 분석되었다.

조간대 모의를 위한 2차원 유한요소해석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idal Flat Simulation)

  • 서승원;박원경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3-113
    • /
    • 1996
  • 장파를 모의하는 2차원 유한요소 수동역학모형들은 대부분 고정육지경계를 사용하여 왔으나 우리나라의 서ㆍ남해안과 같이 조간대가 넓게 발달한 연안에서는 이동경계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경계 처리방법에 장파의 파형경사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수치기법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이동경계 처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립된 2단계 양해법 유한요소모형은 직선형수로에서 기존의 조간대 처리 연구결과와 비교되었으며 수치적인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간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된 천수만에 적용하여 실제해역에 대한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수치실험결과 천수만에서의 해수유동은 낙조시간이 창조시간 보다 긴 비선형성 조류흐름을 나타내며, 만족스럽게 조간대가 처리되었고 최강 창조시부터 고조시까지 지형적 요인에 의한 순환현상이 원산도 후면에서 재현되었다.

  • PDF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면변화 및 표층순환 (Sea level observations in the Korean seas by remote sensing)

  • 윤홍주;김승철;변혜경;황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39-342
    • /
    • 2003
  • 1993년에서 1997년까지의 위성고도계 자료(Topex/Poseidon)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면 변화와 표층흐름을 조사하였다. 해면변화를 보면, 동해에 비해서 서해와 남해는 항상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 조사 기간에 걸쳐서 서해는 북부와 남부 해역에서 각각20-30cm와 18-24cm의 변화범위를 보였으며, 남해는 제주도 북서부 해역에서는 15-20cm 그리고 쓰시마섬 남서부 해역에서는 10-15cm의 변화범위를 각각 나타내었다. 서해의 경우에 황해난류의 표층 유입류와 해저 지형류의 영향을 받아 높은 변화를 보였다. 남해의 경우는 변화가 일어나는 두 곳 모두가 근원적으로는 쿠로시오 해류의 흐름에서 분기된 지류들의 흐름(제주난류와 동한난류) 때문에 해면변화를 보였다. 표층 순환은 동해에서 북한한류, 동한난류와 쓰시마 난류와 관련한 세가지 와류운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와류운동은 기본적으로 표층 순환에서 해류의 영향을 받았다; 원산만 앞바다의 반시계방향(0.03 cm/sec)의 흐름은 북한한류, 울릉도 남서쪽 해역의 시계방향(0.06 cm/sec)의 흐름은 동한난류, 그리고 쓰시마섬 북서쪽 해역은 쓰시마 난류와 각각 관계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