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nki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분질과 점질 고구마의 텍스쳐 특성 (Textural Properties of Dry and Moist Type Sweet Potatoes)

  • 신말식;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15-322
    • /
    • 1987
  • 분질 및 점질 고구마의 텍스쳐의 특성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질 고구마인 원기와 점진 고구마인 천미를 시료로 가열 중 성분, 세포의 형태, 호화도, 텍스쳐 등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원기는 천미보다 알코을 불용성고형분, 전분, 프로토펙틴 함량 및 전분 가수분해 효소와 펙틴가수분해 효소의 활성도가 모두 높았다. 세포의 크기는 원기가 천미보다 작았고 세포내 전분입자의 수는 원기가 많았다. 가열에 의한 고구마의 호화는 천미가 더 빨리 진행되었다. 가열에 의하여 두 고구마는 특징적인 텍스쳐를 보였으나 고구마를 완전히 호화시켰을 경우에는 경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분질 및 점질 고구마 전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ry and Moist Type Sweet Potato Starches)

  • 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2-418
    • /
    • 1988
  • 분질 고구마인 원기와 점질 고구마인 천미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입자의 형태, 이화학적 성질, 호화양상을 조사 하였다. 전분입자는 모두 둥근형이고 입자의 크기는 원기 전분은 $11{\mu}m$ 천미 친분은 $12{\mu}m$$17{\mu}m$의 입자가 주를 이루었다. 원기 전분은 천미 전분에 비하여 물결합 능력과 팽화력이 낮았으나 아밀로오스함량, 호화온도, 호화에 필요한 수분량 및 호화에 필요한 최저 온도등이 더 높았다.

  • PDF

고구마 전분에 대한 고구마 조효소와 전분분해 효소의 작용에 관하여 (Action of Crude Amylolytic Enzymes Extracted from Sweet Potatoes and Amylolytic Enzymes on the Sweet Potato Starches)

  • 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31-436
    • /
    • 1986
  • 분질고구마인 원기와 점질고구마인 천미로부터 얻은 전분에 각 고구마에서 추출된 조효소와 분가수분해효소를 작용시켜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천미보다 원기에서 추출한 조효소의 전분가수분해활성이 높았으며 각 전분의 호화온도에 따른 조효소의작용으로 생성된 환원당 함량은 $70^{\circ}C$에서는 천미전분을 기질로 한 것이, $95^{\circ}C$에서는 원기 전분을 기질로 한 것이 더 높았다. 원기 전분에 대한 ${\alpha}-amylase$${\beta}-amylase$ 활성은 천미전분에 대한 것보다 높았다. 효소처리 전분의 요드 반응 후의 흡광도는 생전분보다 낮았으며, 형태는 표면에서 내부로 여러 층을 갖는 구멍이 있고 둥근형이었다. 각 전분의 X-선 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고구마 전분은 효소처리 후에도 생전분과 같이 Ca 형을 유지하였으며 상대적 결정도는 효소처리전분이 생전분보다 낮았다.

  • PDF

가열에 의한 고구마 펙틴질의 변화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in Sweet Potato Cultivars During Baking)

  • 이경애;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21-425
    • /
    • 1985
  • 세품종의 고구마 천미, 신미, 원기의 조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75{\sim}180^{\circ}C$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열 전후의 고구마의 수분함량, 알콜 불용성 고형분 함량, 전분함량, 경도 및 수용성펙틴,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 염산 가용성 펙틴을 측정하였고 polygalacturonase 활성도 비교하였다. 가열중에 고구마의 펙틴질의 조성은 염산 가용성 펙틴이 수용성펙틴과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으로 변하였다. 분질 고구마인 원기는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알콜 불용성 고형분 함량과 경도가 높았다. 또한 원기의 polygalacturonase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가열 후에 염산 가용성 펙틴 함량의 잔존율도 높았다.

  • PDF

세품종 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처리(lintnerization)에 의한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n Lintnerization of Sweet Potato Starches from Three Cultivars)

  • 임서영;신말식;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56-161
    • /
    • 1985
  • 분질 고구마인 원기, 중간질 고구마인 신미, 점질 고구마인 천미의 전분을 추출하여 이화학직 특성과 산처리에 의한 변화를 비교하였다. 세 품종 고구마 전분의 팽화와 호화는 모두 두 단계로 일어났으며, 팽화력은 신미가 가장 높았고 다음 천미, 원기의 순이었다. 원기 품종 고구마의 amylose 함량은 다른 고구마보다 높았다. 산 가수분해는 세 전분 모두 두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원기 전분의 가수분해율은 신미 및 천미 보다 낮았다. 생전분 및 산처리 전분의 X-ray 회절도는 모두 Ca 형이었으며, 상대적 결정화도는 원기, 천미, 신미 순으로 낮았다.

  • PDF

이동원(李東垣) 내외상변(內外傷辨)의 의사학적(醫史學的) 고찰(考察) (Research of discrimination of internal injury from external by Lee Dong-won from medical historical point of view)

  • 진주표;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3-166
    • /
    • 2001
  • Lee Dong-won based on the machanism of internal disease founded on Umhwa and Wonki in discriminating internal injury from external. His general idea of discrimination of internal injury from external could be thought as an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from "Neijing", to Triple heater Wonki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of stomach qi. He distinguished between Yin disease and Yang disease and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injury. "Insufficiency of yang brings about cold syndrome." and "An excess of yang brings about heat syndrome." are considered as external infection, and "Insufficiency of yin brings about heat syndrome." and "An excess of yin brings about cold syndrome." as internal injury.

  • PDF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형상의학적 활용 (Application of Bojungikki-tang in Hyungsang Medicine)

  • 조장수;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90-595
    • /
    • 2005
  •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oduced by the consideration of Bojungikki-tang(補中益氣湯) from the view point of Hyungsang medicine. A review on the explanation and provisions of Bojungikki-tang stipulated in 'Donguibogam(東醫寶鑑)' results in the idea that the main purpose of Dongwon(東垣) and various application in clinic by Jeesan(芝山)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deep comprehension of ki(especially Jungki and Wonki) and the fire. Jungki(中氣, the middle warmer ki) is the ki of stomach. Wonki(元氣, the original ki) is a combination of innate Jung(先天之精, Ki stored between the two kidneys) and acquired Jung(後天之精, Ki of the stomach) and the sources of five Jang and six Bu, twelve meridians and triple warmer. Yin fire is referred to the ministerial fire of spleen, liver and kidney. Excess or lack of the ministerial fire can cause a disease and especially the excess of it is harmful to original ki. Deficiency of original ki is thought to be a cause of allergic diseases. Damages on the original ki by the abdominal surgery lead to a disease. Pale complexion, long face and the long limbs are considered as the Hyungsang of deficiency of Jung ki by Jeesan. Clinical cases of Bojungikki-tang in Hyungsang medicine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 Bojungikki-tang is usually prescribed to the person who has one of the following Hyungsang : Bangkwang type, pale complexion, long face, short-sight, astigmatism and wrinkles on face. Bojungikki-tang can be applied to the every disease caused by the deficiency of original ki regardless of name and symptoms of disease.

난청 환자들을 위한 소음 훈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ise Training System Development for The hard of hearing)

  • 권혁;이원기;권기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54-8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난청 환자들을 위한 소음 훈련 소프트웨어 시스템 제안을 목표로 한다. 일반 병원에서도 난청 환자들을 위한 소음 훈련은 하지만, 이는 몇 가지 한계점들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7.1 사운드 채널을 다루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