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3초

다문화 가정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도가 의료기관 이용과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Use Satisfa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on Korean Society Adapt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oman)

  • 최성숙;윤현경;최규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875-5881
    • /
    • 2012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우리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많은 문제들을 한국적응도와 관련하여 의료기관이용과정과 만족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나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다문화가정여성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여성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ANOVA, 다중회귀분석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가별에 따른 각급 의료기관의 만족도 중 보건소는 베트남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으로 필리핀, 중국 순이었고 일본이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병원의 경우 보건소와는 반대로 일본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필리핀, 중국 순이었고 베트남이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적, 학력, 소득, 적응도와 의료기관 교통접근도 만족도'에서는 한국사회 적응도가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도가 높을수록 의료기관 교통 접근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적, 학력, 소득, 적응도와 병원행정수준 만족도'는 소득면에서는 먼저 100만원-150만원 보다 150만원-200만원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도가 높을수록 의료기관 병원행정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구 결론은 국적, 학력, 소득, 한국사회의 적응도는 의료기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의료기관의 만족요인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적별, 학력별, 소득별로 다각적 접근이 요구되고 특히 기본적인 한국적응도를 높이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베트남 미혼여성의 결혼이주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Marriage Migrant Recognition for Unmarried Vietnamese Women)

  • 이은주;전미경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95-208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general marriage migration for 180 un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identifi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after the choice of marriage. The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kai verification, and independent 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unmarried Vietnamese women showed a receptive attitude towards marriage migration with the less-educated group more likely to opt for marriage migration. Economic benefit expectations topped other factors in regards to the image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motivation. Dual national identity benefits were also indicated. Second, the perception of external and illusionary images of the spouses of marriage migrant women was low; however, the perception of good occupations and gender equality was high. A vague expectancy of marriage was also found. The perception was high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ould be global bilingual talents and adjust to school; however,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or prejudice was low. The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was low concerning the perception of social integration towards marriage migrant women; however, the perception of identities, cultural differences and employment was present. By contrast, the group opting for marriage migration showed a significantly low perception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in employment. The suggested measures are to regulate and maintain forms of marriage type, reinforce prior training systems for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spouses), enhance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supplement multicultural policies.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focusing on ecosystem perspectives)

  • 권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9-250
    • /
    • 2018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교육수준 월소득, 수급여부, 동거기간), 개인체계 요인(한국어 능력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 다문화지향성), 가족체계요인(배우자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부부대화시간, 의사결정 수준), 사회체계요인(사회적지지, 모임참여, 차별경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용 경험)으로 구분하여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결혼이주여성 14,46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 요인 즉,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요인들 모두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체계 요인과 가족체계 요인이 생활만족도의 설명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러 요인들 중 배우자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중에서는 소득수준이, 개인체계 요인중에서는 우울감이,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배우자 관계만족도가, 사회체계 요인중에서는 사회적 차별경험이 가장 큰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입이나 증진을 위해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Effects of Parental Support, Bicultural Acceptance, and Self-Estee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Choi, So-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61-70
    • /
    • 2021
  • At a time wh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gun to enter adolescence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bicultural acceptance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career pa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verifying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bicultural accepta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Using the 8th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data (MAPS), the relative influence of antecedent variabl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confirm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from 1,197 respondents. Model 1 included gender and parental support, Model 2 added bicultural acceptance to Model 1, and Model 3 added self-esteem to Model 2. As a result of the study, in Model 1, women had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than men, and the more supportive their parents were, the more positive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adjusted R2 of Model 1 was .058, which did not have much influence. In Model 2, gender, parental support, and bicultural accepta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amount of change in F was also significant. The adjusted R2 of Model 2 was .132. In Model 3, parent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gender, bicultural acceptance, and self-estee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amount of change in F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djusted R2 was .185.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the women, the more the bicultural acceptance,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more prepared and determined the career pa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esented.

유학생 참여 기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홍경진;한정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9-39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and to report on the program's effect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d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was developed, and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32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26 participa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to collect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mean scor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before the intervention were 3.67 and 3.84, respectively, while their mean scores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87 and 3.69, respectively. After the intervention, both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ore an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improved to 4.0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Conclusion: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cluding contact and communication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im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중국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 양성평등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gender equality experience of Chin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정상우;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657-666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계 결혼이주여성들은 결혼생활에서 양성평등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중국계 결혼이주여성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인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5명의 연구참여자들의 이주전 양성평등 인식과 이주 후 양성평등 갈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의 양성평등 인식차이로 나타나는 부부갈등은 본국의 가족생활문화, 남편과의 만남의 경로, 남편의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사회에 적극적으로 동화하려는 시도로 불평등을 감수하면서도 한국형 가부장제에 순응하는 모습의 형태로 한국형 여성가치관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그중 일부는 한국인 남편의 가부장적 가치관 때문에 가정이 파탄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 다문화가정 양성평등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Life Satisfaction-Related Variables for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공은화;신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756-765
    • /
    • 2016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 관련변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생활만족도는 관련변인들과 Cohen(1992)의 기준으로 작은 효과크기와 중간 효과크기의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개인특성 변인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한국어 능력과 국적취득여부가 작은 효과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심리변인 및 다문화 관련변인의 하위변수 중에서 자아존중감, 다문화 수용태도의 효과크기가 중간 효과크기와 큰 효과크기 사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여성의 사회적지지 변인의 하위변수들과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상생활 및 배우자 관련변인의 하위변수에서는 전체적으로 아주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론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이주여성의 주관적 사회수준과 주관적 건강 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Perceived Health among Immigrant Women in Korea)

  • 목형균;조규희;이준협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5
    • /
    • 2017
  • Objectives: About for twenty years,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have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immigrant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SES) as well as objective SES such as income, occupation and level of education predict health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perceived health among immigrant women. Methods: We analyzed 12,531 participants from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Study variables included subjective SES in Korea, subjective SES in community and perceived health. Control variables were age, household income, employment, education, marital status, ethnicity, language proficiency. For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immigrant women, after adjusting for control variables, level of education in community was not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Otherwise, subjective social status in Korea(low subjective social status reference group vs high subjective status : OR 2.056) wa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Conclusions: Immigrant women in Korea would be culturally affected by inherent characteristic rather than social economic status.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health inequality among immigrant women, we should consider developing social supports and networks.

  • PDF

전북지역 다문화가족 어린이의 구강건강 실태조사 (A SURVEY ON DENTAL HEALTH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HONBUK PROVINCE)

  • 서윤진;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7-145
    • /
    • 201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어린이의 치아 우식 발생 양상과 빈도, 그리고 유구치 교합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익산시 인큰 지역의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와 협의하여 만 3-5세 유치열기 어린이 190명을 대상으로 각 치아 및 치면별 우식 발생 양상과 교합관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어린이의 유치우식경험자율(dmf rate) 는 3세에서 61.7%, 4세에서 88.7%, 5세에서 92.6%로 나타났으며 남녀간 유의 한 차이 가 없었다(p>0.05). 2. 우식경험유치지수는 3세에서 22.2, 4세에서 4.97, 5세에서 6.62로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전체 연령을 대상으로 보았을 때 우식경험유치율은 3세에서 28.8%, 5세에서 56.7%를 나타낸 상악 유중절치가 높은 빈도를 보여주고 있다. 4. 필리핀, 캄보디아,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여성의 어린이 우식경험유치지수와 우식경험유치면지수가 중국이나 일본 여성의 어린이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5. 유구치 교합관계에 있어 flush terminal plane type인 경우가 82.6%, distal step type이 5.4% 그리고 mesial step type이 8.4%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 영향요인: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 이가언;전혜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5-388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dataset from the Korean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ao-Scott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Results: The proportion of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subjects in Korea who experienced depression was 27.7%.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were age, length of stay in Korea, living area, economic status, difficulties in using medical care, difficulties faced during their stay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skills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parents-in-law marital conflicts, cultural differences, their experience of social discrimination, life satisfaction, and meeting with friends from their homeland.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could be aided by acculturation programs that deal with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and social sup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