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llastonit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볏짚과 규회석(珪灰石)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Rice Straw and Wollastonite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Rice Plant)

  • 정광용;조성진;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8-155
    • /
    • 1985
  •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볏짚과 규회석(珪灰石)의 효과(效果)를 규명코져 볏짚은 무시용(無施用)과 88g/pot(1000kg/10a)로 2수준, 규회석(珪灰石)은 무시용(無施用)(50ppm), 27(150ppm), 85(300ppm), 135g/pot(450ppm조절량) 4수준을 각각 다르게 처리하고 pot 시험(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볏짚이나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을 수도(水稻)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억제(抑制)시켰으나 이들의 병용구(倂用區)에서 이상적인 초형(草型)으로 발달(發達)되어 특히 최고분운기(最高分芸期) 이후(以後)에 효과(效果)가 매우 커서 정조수량(正租收量)이 증가(增加)되었다. 2. 볏짚 무시용구(無施用區)는 규회석(珪灰石) 27g/pot구(區)에서 모두 정조수량(正租收量)이 많았고 볏짚 시용구(施用區)에서는 시용당년(施用當年)에는 규회석(珪灰石) 85g/pot구(區), 그리고 다음해의 잔효구(殘效區)에서는 규회석(珪灰石) 135g/pot구(區)에서 정조수량(正租收量)이 가장 많아 볏짚시용(施用)은 규산(硅酸)의 요구량(要求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처리간(處理間)에 최고수량(最高收量)을 낸 구(區)는 시비년도(施肥年度)에는 볏짚+규회석(珪灰石) 85g/pot구(區)로서 대조구(對照區)보다 25%의 정조수량(正租收量)이 증대(增大)되었다. 볏짚과 규회석(珪灰石)의 잔효(殘效)를 본 익년도(翌年度)에서는 볏짚+규회석(珪灰石) 135g/pot구(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30%의 증가(增加)를 보여 볏짚이나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보다 병용효과(倂用效果)가 컸었다.

  • PD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Anorthite-Based Traditional Ceramic Materials to Suppress Sintering Deformation

  • Choi, JungHoon;Kim, UngSoo;Cho, WooSeo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5-60
    • /
    • 2017
  • An anorthite-based traditional ceramic was developed by adding secondary flux materials to a mixture of kaolin and $CaCO_3$ in order to minimize the deformation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ree flux materials, feldspar, talc, and frit, were evaluated by comparison with two commercial chinaware bodies. Anorthite body with glass frit exhibited poor firing shrinkage. Poor mechanical properties (modulus of rupture, MOR < 30 MPa) was observed for the bodies with feldspar. Another anorthite body was formulated with wollastonite as a Ca source. The fired body showed a MOR of 81 MPa and a shrinkage rate of 6% when wollastonite was added up to 50%. In the XRD analysis, the phase ratio between anorthite and quartz was the highest in the specimen with 50% wollastonite addition. Homogeneous and relatively small closed pores were observed in the microstructural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eramic body formulated with 50% kaolin and 50% wollastonite can be fired at $1200^{\circ}C$ with a 6% firing shrinkage rate, giving rise to minimal sintering deformation.

기상재해 대응 긴급보수용 패브릭 콘크리트 혼합물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 평가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Fabric Concrete Binder for Emergency Repair)

  • 전상민;조성문;오리온;김황희;차상선;박찬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4호
    • /
    • pp.23-31
    • /
    • 2020
  • Recently, meteorological disasters have been increasing by climate change, excessive rainfall, and landslide. The purpose is to develop new fabric concrete that can prevent and recover from damages because some of areas are vulnerable to meteorological disaster. Specifically, this technology can minimize time and space constraint when repairing the concrete structure and installing a formwork. The structure of fabric concrete is a mixture of fabric concrete and a high-speed hardened cement, Silica sand, wollastonite mineral fiber, fabric material and waterproof PVC fabric. In this study, the ratio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the fabric concrete mixture was evaluated by deriving the binder: silica sand mix ratio of the fabric concrete mixture and substituting part of the cement amount with wollastonite mineral fiber. Best binder in performance evaluation: Silica sand mix ratio is 6: 4 and the target mechanic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are the best when over 15% wollastonite binder is replaced by silicate mineral fiber.

규회석(珪灰石)의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수도(水稻)의 규산흡수(珪酸吸收)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Wollastonites on Silica Uptake by Rice Plant)

  • 이윤환;최대웅;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21-226
    • /
    • 1973
  • 현(現) 비료(肥料) 공정규격(公定規格)에 보증성분(保證成分)이 미달(未達)되는 규회석(珪灰石)의 비효(肥效) 및 규회석(珪灰石)의 가용(可溶) 규산분석법(珪酸分析法)을 검토(檢討)코져,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이 상이(相異)한 수종(數種)의 규회석(珪灰石) 및 규회석(珪灰石)과 가용성규산(可溶性珪酸)을 함유(含有)하지 않은 암석(岩石)의 혼합분말(混合粉末)을 광재(鑛滓)와 대조(對照)하여 벼에 대한 재배시험(栽培試驗)을 수행(遂行)하여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하고, 공시(供試) 규회석(珪灰石)을 수종(數種)의 완형용액(緩衡溶液)에 침출(浸出)하여 규산가용율(珪酸可溶率)과 식물체(植物體)가 흡수(吸收)한 규산함량(珪酸含量)과 상관관계(相關關係) 및 규회석(珪灰石)의 X-선회절분석(線回折分析)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N/2 HCl)이 높은 규회석(珪灰石)일수록 식물체중의 규산함량 및 흡수량(吸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2. 광재(鑛滓) 처리구(處理區)의 벼 짚중(中)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은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4.1%인 규회석분말구(珪灰石粉末區)와 같이 가장 낮았다. 3.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은 규회석(珪灰石)에 잡석(雜石)을 혼합(混合)하여 시비(施肥)하여도 수도체(水稻體)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동량(同量)의 가용성규산함량(可溶性珪酸含量)을 함유(含有)한 규회석(珪灰石)과 같은 효과이었다. 4. 각종(各種) 완형용액(緩衡溶液)에 침출(浸出)된 가용규산(可溶珪酸)과 짚중(中) 규산함량(珪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었으며 N/2염산(鹽酸) 침출규산(浸出珪酸) 분석법(分析法)도 규회석(珪灰石)의 규산분석법(珪酸分析法)으로써 충분(充分)히 사용(使用)될 수 있는 방법(方法)이었다. 5. 규회석(珪灰石)의 X-선(線) 회절(回折)은 규회석(珪灰石)의 조성(造成)을 찾아낼 수 있으며, 결정(結晶)이 불량(不良)한 규회석(珪灰石) 일수록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이 높았다.

  • PDF

특이산성토에 대한 석회 및 규회석의 효과 (The Effect of Lime and Wollastonite on an Acid Sulfate Soil)

  • 박내정;박영선;이규하;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2
    • /
    • 1972
  • 특이산성토양에서 석회 및 규회석의 효과를 검토하고 규회석중에 있는 석회와 규산의 개발 효과를 분리 해석하기 위하여 석회 및 규회석을 석회당량을 기준으로 처리하여 포장 벼 재배시험과 실내정온 담수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회물질로서 석회 및 규회석을 석회당량으로 시용했을때는 산성중화 효과는 꼭 같았다. 2. 석회는 반응성이어서 실내에서 토양과 잘 섞을경우에는 $25^{\circ}C$에서 3일이면 거의 중화점에 이르고 포장에서는 2주일전에 시용하여도 이앙묘에 알카리해를 주어 현저히 생육초기 분얼수을 감소시켰으나 규회석은 반응성이 약하여 1~2주후에 중화점에 이르렀고 포장에서도 전연 알카리 피해를 주지 않았다. 3. 석회, 규회석 모두 토양 및 토양용액중의 Al 함량을 같이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나 $Fe^{2+}$은 일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에서 이들의 피해증상이 미미하게 나타나는 정도로 이들 유해물질 감소에 의한 증수효과는 크게 인정되지 않았다. 4. 석회시용은 토양중 규산의 유효도를 현저히 높였고 수도체중 $SiO_2$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규회석은 석회효과 이외에도 자체에서 $SiO_2$를 방출하여 수확기 볏짚중 $SiO_2$ 함량을 더욱 증가시켰다. 5. 따라서 석회물질시용시 식물체중 규산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목도열병 이병율을 감소시키고 등숙율을 높임으로서 증수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6. 석회, 규회석중 어느하나를 시용함으로서 다른것의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7. 규회석은 생육초기 분얼수 증가에 현저한 효과가 있었으나 유효경비율의 감소로 주당수수의 증가는 없었다. 8. 이들 석회물질은 수당입수를 어느 정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 PDF

결정화 소결에 의한 생체활성재료의 제조 (Preparation of bioactive materials by crystallization sintering)

  • 명중재;이안배;정용선;신건철;김호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9-178
    • /
    • 1998
  • CaO-$SiO_2-P_2O_5$ 3성분계 유리화 영역(glass forning region)내의 여러조성(A:$SiO_2$- rich조성, B:CaO-rich조성, C:$P_2O_5$-rich조성, D, E:A, B, C의 중간조성)을 가지는 유리분말을 결정화시켰을 때 유리중에 석출되는 결정상(crystal phase)을 분말 XRD로 확인하였다. 여러조성중 apatite(($Ca_{10}(PO_4)_6O$)와 $\beta$-wollastonite($CaSiO_3$)결정이 석출되고, 굽힘강도가 우수한 E조성(CaO 49.4, $SiO_2\;36.8,\;P_2O_5$8.8wt%)을 선택하여 이 조성의 유리분말을 일방향으로 결정화 소결하였다. 제조된 결정화 소결체에 대하여 charaterization을 하고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결정화 소결체와 생체뼈와의 결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사체액(simulated body fluid)내에서 침적실험을 하였으며, 결정화 소결체의 표면을 thin-film XRD, FT-IR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apatite와 wollastonite 결정이 석출된 치밀한 결정화 소결체가 얻어졌으며, 이들 결정은 wollastonite 결정의 (202)면이 인상방향에 수직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제조된 결정화 소결체는 평균 186.9MPa의 굽힘강도를 나타내어 일반적 방법으로 제조되는 결정화 소결체보다 높은 역학적 성질을 보였다. 유사체액내의 침적실험결과, 시료표면위에 apatite 결정층이 3일후부터 형성되어 생체뼈와 화학결합을 이룰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 PDF

규회석-증류수 현탁액을 이용한 고농도 CO2 가스의 탄산염 광물화 (Mineral Carbonation of High Carbon Dioxide Composition Gases Using Wollastonite-distilled Water Suspension)

  • 송해정;한상준;위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2-35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CO_2$ 포집 및 저장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25-65^{\circ}C$ 범위의 온도 및 대기압에서 비교적 높은 $CO_2$ 조성을(15-50 vol%) 갖는 가스 중 $CO_2$를 고정화하기 위해 규회석($CaSiO_3$)-증류수 및 초산 현탁액을 이용한 직접적 습식 탄산염 광물화를 수행하여, 각 현탁액에서의 Ca 침출률과 $CO_2$ 흡수 특성 및 탄산화율에 대해 규명하였다. 규회석-증류수 현탁액의 탄산화 결과 규회석 표면에 고정화된 탄소를 확인하였고 $CO_2$ 조성이 높을수록 저장량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CO_2$ 조성이 50%일 때 규회석 내 Ca 침출률은 13.2%, 탄산화율은 약 10.4%지만 같은 조건에서 규회석-초산 현탁액의 침출률은 약 63%, 탄산화율은 1.39%로 확인되었다.

원료 배합에 따른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 클링커의 성분 및 상 분석 (Component and Phase Analysis of Calcium Silicate Cement Clinker by Raw Materials Mix Design)

  • 이향선;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1-258
    • /
    • 2022
  • 시멘트산업에서는 CO2 배출량 감축을 위해 원료대체 및 전환기술, 저탄소 신열원 활용 공정효율 향상기술, 공정발생 CO2 포집 및 재자원화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공정발생 CO2 포집 및 재자원화는 대규모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서 CO2를 분리 및 포집하는 기술로 지중저장과 해양저장, 탄산염 광물화로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2를 탄산염광물로 저장할 수 있는 CSC를 개발하고자 기초 실험을 진행하였다. 클링커 원료 배합에서 SiO2/(CaO+SiO2) 몰비가 다른 세 가지의 CSC 클링커를 제작하여 클링커의 성분 및 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조한 CSC 클링커는 Wollastonite와 Rankinite가 생성되었다. 또한, CSC 페이스트 탄산화 시험편은 탄산화 생성물로 Calcite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SC 클링커와 CSC 탄산화 시험편은 CSC 클링커 화학조성에서 SiO2/(CaO+SiO2) 몰비가 낮을수록 Wollastonite 생성량이 감소하고 Rankinite의 생성량이 증가하였고, CSC 페이스트 시험편의 탄산화 진행에 따라 Calcite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Rankinite가 Wollastonite보다 CO2를 광물화하는데 반응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 규회석을 이용한 신속소성소지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st-firing Body with Natural Wollastoitne)

  • 안영필;최의석;김복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08
    • /
    • 1982
  • As raw materials wollastonite, kaolin and pyrophyllite were used to synthesize mullite, anorthite and pseudowoll-astonite which were known as low thermal expansion substance. Increasing the amount of wollastonite in the composition resulted in a linear thermal expansion behavior. However, the increases of pyrophyllite indicated the relatively unstable themmal expansion behavior, because the phase transition occured in quartz of the pyrophyllite compositon. To lowering sintering temperature feldspar (Kebook and Anyang) were added in the composition that showed the linear thermal expantion behavior, and over 50'C were lowered.

  • PDF

LTCC 기판재료 응용을 위한 다양한 충전제 함유 CaO-Al2O3-SiO2 유리복합체 연구 (Various Filler Added CaO-Al2O3-SiO2 Glass Composites for LTCC Substrate Applications)

  • 김관수;장호순;신현호;김인태;김신;한용현;윤상옥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3-329
    • /
    • 2009
  • Influences of ceramic filler types and dose on the sintering, phase evolution,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ceramic/CaO-$Al_2O_3-SiO_2$ glass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All of the specimens were sintered at $900^{\circ}C$ for 2 h, which conditions are required by the lowtemperature co-firing ceramic (LTCC) technology. Ceramic fillers of $Al_2O_3,\;SiO_2$, kaolin, and wollastonite were used. The addition of $Al_2O_3$ filler yielded the crystalline phases of alumina and wollastonite, and the densification over 95% of the relative density was achieved up to 50 wt% addition of the filler. For the cases of the fillers of $SiO_2$, kaolin, and wollastonite, crystalline phases of quartz, mullite, and wollastonite formed, while the densification decreased monotonically with the filler addition. In overall, all the investigated fillers with 10 wt% addition resulted in a reasonable sintering (over 95 %) and low dielectric constants (less than 6),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the investigated composites for application to a LTCC substrate material with a low dielectric cons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