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connectivity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54초

무선 센서 망을 위한 K-연결 (K+1)-감지도 고장 감내 위상 제어 프로토콜 (K-connected, (K+1)-covered Fault-tolerant Topology Control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 박재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1B호
    • /
    • pp.1133-11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망으로 k-연결 (k+1)-감지 고장 감내 위상을 구성하는 분산 위상 제어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센서 망에 있어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는 최소한의 활동하는 노드들로 위상을 구성하며, 다양한 응용과 환경에 적합한 감지도와 망 연결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망의 수용 능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고 더불어 망의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위상 제어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어 왔다. 대부분의 알고리즘들은 연결되는 링크들의 수를 줄임으로써, 노드들의 고장이나 파손시에 여분의 경로배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정 감지도를 보장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토콜이 제안되었으나, 감지도 계산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하고, k-감지인 경우에 대부분의 활동 센서들이 2k-연결을 유지한다. 우리는 감지범위의 반지름이 통신 범위의 반지름의 두 배인 조건이 연결이 감지범위를 함의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임을 증명하고, 이에 기반하여 무선 센서 망에서 k-연결을 제공하며 (k+1)-감지를 보장하는 고장 감내 위상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제안한 분산된 알고리즘은 정확한 위치정보 없이 (k+1)-감지를 보장하며, 복잡도는 O(1) 이다. 모의 실험하여 패킷손실율과 전송 지연시간 그리고 에너지 소비율을 분석 하였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프로파일을 고려하는 채널 할당 및 라우팅 (Channel Assignment and Routing using Traffic Profiles in Wireless Mesh Networks)

  • 박숙영;이상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7권5호
    • /
    • pp.374-385
    • /
    • 2010
  • 최근 유선 네트워크의 설치가 어려운 먼 거리의 인터넷 접속을 낮은 비용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인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의 각 노드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호스트의 역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전달하는 라우터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 때 메쉬 라우터는 기존 유선 망 또는 다른 무선 통신망으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백본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멀티 채널 멀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하여 동시에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천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멀티 채널 멀티 인터페이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각 인터페이스에 채널들을 할당하고 라우팅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따라서 멀티 채널 멀티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할당 및 라우팅의 목적은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간섭을 최소화하며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 채널 멀티 인터페이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전체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며, 평균 종단간 지연시간을 줄이는 중앙 집중적이며 휴리스틱한 방법의 채널 할당 및 라우팅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링크의 잔여 채널 용량을 고려한 라우팅 방법과 링크의 통신 참여 수를 고려한 채널 할당 및 라우팅 방법, 그리고 우회 경로를 허용하는 라우팅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NS-2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기존 관련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종 관련 연구에서의 방법보다 우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평균 데이터 처리량을 증가시키며 평균 종단간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ptical Wireless Access Point Agent Networks

  • Lee, Tae-Gyu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3권1호
    • /
    • pp.98-106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n optical wireless transfer agent method which realizes the continuous and swift data transfer of optical wireless terminals in optical wireless networks. The unguided wireless channel generally shows frequent link disconnections and propagation delays due to weak wireless links. Specially speaking, optical wireless channels have more vulnerable links and roaming propagation delays relative to the weakness of the previous RF channels due to their low signal connectivity and small geographic coverage. Conventional optical wireless network protocols did not consider any fault models about physical link faults. Consequently, they have shown data transfer inefficiency for both data link control and physical wireless link control. To overcome these optical wireless environmental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a new wireless access point (or base station) agent system, which provides wireless or mobile clients with previous link layer protocols compensated.

Dimensioning of linear and hierarchic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infrastructure monitoring with enhanced reliability

  • Ali, Salman;Qaisar, Saad Bin;Felemban, Emad 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9호
    • /
    • pp.3034-3055
    • /
    • 2014
  •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extensively been utilized for ambient data collection from simple linear structures to dense tiered deployments. Issues related to optimal resource allocation still persist for simplistic deployments including linear and hierarchical networks.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case of dimensioning parameters for linear and tiered wireless sensor network deployments with notion of providing extended lifetime and reliable data delivery over extensive infrastructures. We provide a single consolidated reference for selection of intrinsic sensor network parameters like number of required nodes for deployment over specified area, network operational lifetime, data aggregation requirements, energy dissipation concerns and communication channel related signal reliability. The dimensioning parameters have been analyzed in a pipeline monitoring scenario using ZigBee communication platform and subsequently referred with analytical models to ensure the dimensioning process is reflected in real world deployment with minimum resource consumption and best network connectivity. Concerns over data aggregation and routing delay minimization have been discussed with possible solutions. Finally, we propose a node placement strategy based on a dynamic programming model for achieving reliable received signals and consistent application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with multi hop and long distance connectivity.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지역밀집도를 고려한 활성노드 선택기법 (An Active Node Selection Scheme based on Local Dens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정삼;류정필;한기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0호
    • /
    • pp.37-46
    • /
    • 2007
  •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을 설계하는데 가장 중요한 목표는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많은 수의 노드를 임으로 살포하기 때문에 노드는 주변의 많은 노드들과 센싱영역과 통신영역에 있어 중첩되는 부분이 많다. 이렇게 심한 중첩으로 인한 부하는 네트워크 수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든 노드들이 항상 센싱과 통신을 위해 활성화도리 필요는 없다.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시키는 최적의 방법 중의 하나가 네트워크 커버리지와 연결성 보장을 유지하기위해 필요한 주변노드의 수를 구하는 것이다. 최근까지 무선 네트워크 분야에서 이를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만일 네트워크 커버리지와 연결성을 만족시키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이웃노드들을 확보할 수 있다면, 노드들의 상태를 스케줄 하는 것이 아주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이 자신만의 확률 값을 가지고 자신을 활성화 할지를 판단하는 새로운 활성 노드선택기법을 제안한다. 이 확률 값은 네트워크 커버리지와 연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이웃노드의 개수와 확보된 이웃 노드의 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 Xue et al과 S. Song et al 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였으며, 필수적으로 필요한 노드수의 검증을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일정한 확률 값을 가지는 기법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Density-Based Opportunistic Broadcasting Protocol for Emergency Situations in V2X Networks

  • Park, Hyunhee;Singh, Kamal Deep;Piamrat, Kandaraj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1호
    • /
    • pp.26-32
    • /
    • 2014
  • Vehicular-to-anything (V2X) technology is attractive for wireless 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s) because it allows for opportunistic choice of a vehicular protocol between vehicular-to-vehicular (V2V) and vehicular-to-infrastructure (V2I) communications. In particular, achieving seamless connectivity in a VANET with nearby network infrastructure is challeng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nsity-based opportunistic broadcasting (DOB) protocol, in which opportunistic connectivity is carried out by using the nearby infrastructure and opposite vehicl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disconnection and long end-to-end delay tim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DOB protocol outperforms the considered comparative conventional schemes, i.e., the shortest path protocol and standard mobile WiMAX, in terms of the average end-to-end delay, packet delivery ratio, handover latency, and number of lost packet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중 커버리지와 연결성을 위한 삼각 배치 패턴 (Triangular lattice Deployment Patterns for p-Coverage and q-Connectiv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용환;김찬명;한연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62-664
    • /
    • 2011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관심지역이 각 센서에 의하여 얼마나 잘 센싱되는지의 정도에 대한 커버리지(coverage)와 센서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를 싱크노드까지 얼마나 잘 전달될 수 있는지의 정도에 관한 연결성(connectivity)은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p-coverage와 q-connectivity ($q{\leq}6$)를 만족하는 최적의 센서 배치패턴 문제에 관한 연구 결과를 기술한다. 특히, 1-coverage의 경우 최적이라 알려진 삼각 격자 패턴에 대하여 p-coverage와 6-connectivity을 만족하도록 하는 배치 방법을 제시한다.

WSN의 연결 복구 기법 및 알고리즘 연구 동향 (A survey of connectivity restoration thchniqus &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

  • 송병후;김경태;이정준;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65-66
    • /
    • 2016
  • 최근 과학의 발달로 사물에 대한 다양한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사람 대 사람 또는 사물 대 사물 서로 교류하는 개념인 IoT(Internet of Things)가 화제이다. IoT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 하나인 Wireless Sensor Networks(WSN)에 대한 연구를 한다. WSN은 전쟁터의 정찰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 적용되며 이를 구성하는 센서는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장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호 통신이 외부 요인에 의해 단절된 네트워크의 연결 복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WSN 네트워크의 연결 복구 방식, 연결 복구기법 및 알고리즘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서술한다.

  • PDF

실시간 처리 기반의 모바일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Cliented-Server System for Real-Time Processing)

  • 주해종;홍봉화
    • 정보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35-47
    • /
    • 2006
  • Many researches are going on with regard to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mobile database systems, which are caused by the weak connectivity of wireless networks, the mobility and the portability of mobile clients. Mobile computing satisfies user's demands for convenience and performance to use information at any time and in any place, but it has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aspect of data management.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Implement Real-Time Mobile Query Processing System(MQP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database hoarding, the maintenance of shared dataconsistency and the optimization of logging, which are caused by the weak connectivity and disconnection of wireless networks inherent in mobile database systems under mobile client server environments. In addition, we prov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QPS by comparing its performance to the C I S(Client-Intercept-Srever) model.

  • PDF

IoT 무선 센서를 위한 RF 스펙트럼 인지 기술 (RF Spectrum Cognition Technologies for IoT Wireless Sensors)

  • 윤원상;한상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1호
    • /
    • pp.122-127
    • /
    • 2016
  • In this paper, new spectrum sensing schemes based on analog/RF front-end processing are introduced for IoT wireless sensor networks. While the conventional approaches for wireless channel cognition have been issued in signal processing area, the RF spectrum cognition concept makes it feasible to achieve cognitive wireless sensor networks (C-WSNs). The spectrum cognition at RF processing is categorized as four kinds of sensing mechanisms. Two recent reseaches are described as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C-WSN. One senses spectrum by the frequency discriminating receiver, the other senses and detects from the frequency selective super-regenerative receiver. The introduced systems with simple and low-power RF architectures play dual roles of channel sensing and demodulation. simultaneously. Therefore, introduced spectrum sensing receivers can be one of the best candidates for IoT wireless sensor devices in C-WSN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