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Ad hoc Network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23초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위장 공격 방지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ive Prevention Mechanism of Masquerade Attacks on Wireless Ad hoc Network)

  • 홍순좌;박현동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5-149
    • /
    • 2006
  • 무선 Ad hoc 네트워크는 통신 채널의 취약성, 노드의 보안 취약점, 기반 구조의 부재, 동적인 위상 변화 등의 특성으로 인해 보안 메커니즘 설계 및 구현이 기존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선 네트워크의 보안을 무선 Ad hoc 네트워크로 적용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본질적인 문제로 인하여 효과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보안 분야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협업된 위장노드들의 대량의 위장 패킷 공격으로 인해 네트워크 자체의 생존성 및 가용성에 새로운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고 그 결과를 증명한다. 또한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생존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 기존 방식의 기준을 탈피하여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하는 생존성 강화를 위하여 효율적인 위장 공격 방지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무선 에드-혹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동적다중경로라우팅 프로토콜 (Dynamic Source Multi-path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Ad-hoc Network Environments)

  • 김문정;엄영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8권3호
    • /
    • pp.336-346
    • /
    • 2001
  • 무선 ad-hoc 네트워크란 기존에 설치된 유선망이나 기지국의 도움 없이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구성되는 임시적인 네트워크이며 현재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들간의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여러종류의 라우팅 프로토콜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ad-hoc 네트워크의 응용 도메인은 매우 다양하며 그 활용의 범위 또는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적절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받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선망 서비스를 지원받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선망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ad-hoc 네트어크와 유선망과의 연동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SMR(Dynamic Source Multipath Routing) 프로토콜은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들간의 끊김 없는 통신 환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면서 필요시에 각 호스트가 주기적으로 라우팅 메시지를 방송할 필요가 없도록 하며 경로 요청 및 경로 설정이 데이터 패킷을 보내고자하는 이동 호스트 주체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다중 경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경로의 빠른 재설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 PDF

Architectures and Connection Probabilities forWireless Ad Hoc and Hybrid Communication Networks

  • Chen, Jeng-Hong;Lindsey, William C.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4권3호
    • /
    • pp.161-169
    • /
    • 2002
  • Ad hoc wireless networks involving large populations of scattered communication nodes will play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low power, high capacity, interactive,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s. Such networks must support arbitrary network connections and provide coverage anywhere and anytime. This paper partitions such arbitrarily connected network architectures into three distinct groups, identifies the associated dual network architectures and counts the number of network architectures assuming there exist N network nodes. Connectivity between network nodes is characterized as a random event. Defining the link availability P as the probability that two arbitrary network nodes in an ad hoc network are directly connected, the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 \integral_n$(p) that any two network nodes will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s derived. The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 \integral_n$(p) is evaluated and graphically demonstrated as a function of p and N. It is shown that ad hoc wireless networks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network nodes possesses the same network connectivity performance as does a fixed network, i.e., for p>0, $lim_{N\to\infty} Integral_n(p)$ = 1. Furthermore, by cooperating with fixed networks, the ad hoc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is used to derive the global network connection probability for hybrid networks. These probabilities serve to characterize network connectivity performance for users of wireless ad hoc and hybrid networks, e.g., IEEE 802.11, IEEE 802.15, IEEE 1394-95, ETSI BRAN HIPERLAN, Bluetooth, wireless ATM and the world wide web (WWW).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망에서 지연시간 보장 공정큐잉(DGFQ)의 분산적 구현 (Distributed Implementation of Delay Guaranteed Fair Queueing(DGFQ) in Multimedia Ad Hoc Wireless Networks)

  • 양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45-253
    • /
    • 2005
  •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망은 매우 매력적인 화두이며 이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고정된 기간망이 없이도 이동중인 최종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한 설계상의 제약점으로 인하여 Ad Hoc 무선망에서 자원을 공정하게 분배하면서도 지연시간을 보장하는 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적인 방법으로 지연시간 보장 공정 큐잉(DGFQ, Delay Guaranteed Fair Queueing) 방식을 멀티미디어 Ad Hoc 무선망에서 구현하고 성능 평가의 결과를 통하여 DGFQ 방식이 멀티미디어 무선망 환경에서도 제한된 지연시간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무선 백본 기반 Ad Hoc 네트워크에서의 Mobile IP지원 (Supporting Mobile IP in Ad Hoc Networks with Wireless Backbone)

  • 신재욱;김응배;김상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통신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3-226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agent discovery and route discovery schemes to support Mobile IP (MIP) in Ad Hoc networks with wireless backbone. The wireless backbone consisting of stationary wireless routers and Internet gateways (IGs) is a kind of wireless access network of IP-based core network. The proposed scheme utilizes favorable features of wireless backbone such as stable links and no energy constraints. In the agent discovery scheme, backbone-limited periodic Agent Advertisement (AA) and proxy-AA messages are used, which reduce network-wide broadcasting overhead caused by AA and Agent Solicitation messages and decentralize MIP processing overhead in IGs. In order to reduce delay time and control message overhead during route discovery far the destination outside Ad Hoc network, we propose a cache-based scheme which can be easily added to the conventional on-demand routing protocols. The proposed schemes can reduce control overhead during agent discovery and route discovery, and efficiently support MIP in Ad Hoc network with wireless backbone.

  • PDF

Ad-Hoc환경에서 효율적인 라우팅 및 인증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Routing and Authentication Scheme in Ad-Hoc Environment)

  • 강서일;이임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121-1128
    • /
    • 2008
  • Ad-Hoc네트워크는 무선 통신의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구성은 동적이며, 통신 경로의 변경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로 인해 안전한 라우팅 경로와 인증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Ad-Hoc 환경에서 안전한 라우팅과 인증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며, Ad-Hoc 네트워크와 무선랜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이기종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Ad-Hoc네트워크의 라우팅 방식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구성 디바이스가 탈퇴하면 다시 라우팅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홉 수를 이용한 우회 경로를 제공한다. Ad-Hoc네트워크에서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및 라우팅 경로의 설정으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효율적인 경로 유지 기법 (Efficient Route Maintenance Scheme for Wireless Ad-hoc Network Environments)

  • 김문정;엄영익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8A호
    • /
    • pp.639-648
    • /
    • 2005
  •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이란 유선망 하부 구조의 도움 없이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구성되는 임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말한다. 무선 ad-hoc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간 통신을 위해 많은 라우팅 프로토콜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부하 균형 및 005를 지원하기 위한 다중 경로 라우팅 프로토콜들도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ad-hoc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효율적인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데이타 전송률을 향상시키고 단대단 지연을 줄일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각 이동 호스트는 주기적으로 경로 정보를 방송하도록 요구되지 않으며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이동 호스트가 경로 요청을 시작하고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호스트 내에 다중 경로를 유지함으로써 경로 단절 시 보다 빠른 경로 재설정이 가능하고 또한 다중 경로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경로 유지를 위한 오버헤드가 감소됨을 보인다.

Wireless Ad-hoc Network에서 보안 협력 캐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Cooperative Caching Technique in Wireless Ad-hoc Network)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91-98
    • /
    • 2013
  • Node which plays the role of cache server does not exist in the wireless ad-hoc network consisting of only mobile nodes. Even if it exists, it is difficult to provide cache services due to the movement of nodes. Therefore, the cooperative cache technique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access by reducing data access time and use of bandwidth in the wireless ad-hoc network. In this paper, the whole network is divided into zones which don't overlap and master node of each zone is elected. General node of each zone has ZICT and manages cache data to cooperative cache and gateway node use NZCT to manage cache information of neighbor zone. We proposed security structure which can accomplish send and receive in the only node issued id key in the elected master node in order to prepare for cache consistent attack which is vulnerability of distributed caching techniqu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could confirm the excellent performance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of GCC and GC techniques.

무선 Ad Hoc망에서 그룹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호 수락 제어 방안 (Call Admission Control Approach to Support Group Mobility in Wireless Ad Hoc Networks)

  • 서주환;이원열;한기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6호
    • /
    • pp.205-212
    • /
    • 2003
  • 무선 ad hoc 망은 고정된 인프라 망이 없기 때문에 이동 노드들의 그룹 이동성에 대한 호 수락 제어에 활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선 ad hoc 망에서 그룹 이동성 때문에 발생하는 이동 노드들의 그룹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호 수락 제어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호 수락 제어 방안은 선택적 호 수락 제어 방식이며 ad hoc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 방식은 확장된 Hello 메시지를 이용하여 그룹 이동성을 예측하며 능동적으로 버스트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가드 채널의 수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핸드오프 블락킹 확률을 줄이고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핸드오프 블락킹 확률, 신규 호 블락킹 확률, 자원 이용율에 대해서 기존의 무선 방식에서 사용하는 호 수락 제어 방식과 비교하여 제안된 방식이 버스트 핸드오프 지원에 더 효율적임을 보였다.

Ad hoc 네트워크에서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영상 전송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Image Transmission System in Ad-Hoc Network Using AODV Routing Protocol)

  • 이성훈;이형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92-100
    • /
    • 2008
  • Ad-hoc 네트워크는 중앙의 특별한 관리 체계 없이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 호스트들만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최근 Ad-hoc 멀티홉 통신시스템과 같은 확장된 개념의 Ad-hoc 망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있어 QoS에 대한 요구 수준이 증대되고 있다. Ad-hoc 네트워크는 잦은 망 구성의 변화, 라우터의 수, 제한된 사용 자원 등 기존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들을 갖게 된다.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던 라우팅 프로토콜들을 무선 ad-hoc 네트워크에 그대로 적용시킨다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Ad-hoc 네트워크 이동 노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Ad-hoc 네트워크에서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에서 항상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은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NDIS(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기반의 AODV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전송이 성능 저하 없이 동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