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green barle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Relationships Between Soil-Borne Virus Infection and Root Growth Damage in Korean Hulless Barley Cultivars

  • Park, Jong-Chul;Jonson, Gilda;Noh, Tae-Hwan;Park, Chul-Soo;Kang, Chon-Sik;Kim, Mi-Jung;Park, Ki-Hoon;Kim, Hyung-M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31-235
    • /
    • 2009
  • Viral infections and root growth were examin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ral resistance and root growth in 26 Korean hulless barley cultivars. Viral resistance was estimated in experimental filed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for 3 years. Length and number of seminal and adventitious roots were examined for evaluation of root growth in both field and green-house conditions 30 days after seeding. Dominant viral infection occurred in Korean hulless barley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in fields; however, susceptible cultivars were infected by either BaYMV,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or both. Only four cultivars, including Donghanchalssalbori, Kwangwhalssalbori, Namhossalbori and Naehanssalbori, presented stable resistance to viral infections. Susceptible cultivars to viral infection in fields showed shorter seminal root length and fewer adventitious root number than resistant cultivars. Resistant cultivars showed better root growth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ntitious root length in green house conditions. Increase in the number of seminal roots in resistant cultivars was derived from decreased damage of roots by the viral infection compared to the susceptible cultivars.

Comparison of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 of Winter Cover Crop Cultivation in Rice Paddy Soil

  • Lee, Seul-Bi;Haque, Mozammel;Pramanik, Prabhat;Kim, Sang-Yoon;Kim, Pil-Joo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4-242
    • /
    • 2011
  • BACKGROUND: Cultivation of winter cover crops is strongly recommended to increase land utilization efficiency, animal feeding material self-production, and to improve soil and environmental quality. METHODS AND RESULTS: Four major winter crops (barley, Chinese milk vetch, hairy vetch, and rye) having different C/N ratio were seeded in silt loam paddy soil in the November 2007 and the aboveground biomass was harvested on the late May 2008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s green manure, and root biomass distribution was characterized at the different depth (0-60 cm) to study its effect on physical properties and carbon sequestration in soil. During this experiment, the naturally growing weed in the rice paddy soil in Korea, short awn foxtail (Alopecurus aequalis Sobol), was considered as control treatment. Above-ground biomass of all cover crops select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2.8 Mg/ha). Comparatively higher above-ground biomass productivity of rye and barley (15.8 and 13.5 Mg/ha, respectively) suggested that these cover crops possibly had the highest potential as a green manure and animal feeding material. Root biomass production of different cover crops followed the same trend as that for their above ground biomass. Rye (Secale cereal) might have the highest potential for soil C accumulation (7893 C kg/ha) by root biomass development, and then followed by barley (6985 C kg/ha), hairy vetch (6467 C kg/ha), Chinese milk vetch (6671 C kg/ha), and control (5791 C kg/ha). CONCLUSION(s): Cover crops like rye and barley having high biomass productivity might be the most effective winter cover crops to increase organic carbon distribution in different soil aggregates which might be beneficial to improve soil structure, aeration etc. and C sequestration.

무인기 기반 동계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예측을 위한 최적 식생지수 선정 (Selection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for Predicting Winter Crop Dry Matter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신재영;이준민;양승학;임경재;이효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6-202
    • /
    • 2020
  •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의 무인기기반 생육모니터링을 위하여 호밀, 총체보리, IRG를 대상으로 다중분광영상으로 건물수량을 예측하기 위한 최적식생지수를 테스트하였다.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나주의 실경작지에서 무인기 다중분광카메라로 분광영상을 수집하여 4종류의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Gree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GNDVI, Normalized Green Red Difference Index; NGRDI and Normalized Difference Red Edge Index; NDREI)를 산출하고 지상에서 건물수량을 조사하여 식생지수와 건물수량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호밀, 총체보리, IRG에 대하여 건물수량과 NDVI의 상관관계(R2)는 0.91~0.92, GNDVI는 0.92~0.94, NGRDI는 0.71~0.85, NDREI는 0.84~0.91로 GNDVI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남부지역 논에서 동계 맥류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 (Growth, Productivity and Forage Values of Winter Cereal Crops at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오서영;서종호;최지수;김태희;오성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1-70
    • /
    • 2023
  • 조사료 생산성이 높고 양질의 동계 사료작물을 선택하여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남부지역 논에서 겨울철에 수종의 맥류를 재배하여 생육, 생산성, 사료가치 등을 평가하였다. 출수는 밀과 청보리가 4월 초중순에, 귀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5월 상순에 이루어졌다. 생초 수량은 밀, 청보리, 귀리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건물수량은 밀과 청보리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물론이고 귀리보다도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청우밀의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밀의 무기질 함량은 귀리, 청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낮았지만, 소와 어린 암소가 필요로 하는 적정 범위에 있었다. 밀의 조단백질 함량도 귀리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청우밀의 경우는 7.6%로 반추위 동물의 요구량인 7.0%를 충족하였다. 사료가치를 나타내는 측도인 가소화양분총량(TDN)과 상대적 사료가치(RFV)도 밀과 청보리가 귀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밀 4품종과 청보리는 출수 후 30일에 건물률이 30~40% 범위여서 청예사료(풋베기), 건초, 사일리지(담근먹이) 등 여러 용도로 활용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밀과 청보리는 겨울철에 논에서 재배를 장려할 만한 사료작물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청우밀은 조단백질 함량도 높아서 양질의 조사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녹비작물 환원에 따른 벼 재배지 인산수지 평가 (Evaluation of Phosphorus Balance in Green Manure-Rice Cropping Systems with Different Incorporation Rate of Green Manure Crops)

  • 김태영;아일린;파리둘;김필주;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8-380
    • /
    • 2012
  • BACKGROUND: In Korea, green manure has been cultivated for reducing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maintaining soil fertility, and feeding livestock in winter season. We evaluated the phosphate balance under green manure-rice cultivating system with different removal rates of green manure for maintaining soil fertility. METHODS AND RESULTS: The barley and hairy vetch mixture was selected as the green manure in this study. The barley and hairy vetch was sowed at a rate of 135 and 23 kg/ha, respectively, without fertilizer application. Total aboveground biomass was 12000 (barley: 5400 kg/ha, hairy vetch: 6600 kg/ha) kg/ha, and these green manure were incorporated with different input rates before rice planting. The input rates of green manure in this study were 0 (NPK+0%), 25 (NPK+25%), 50 (NPK+50%), 75 (NPK+75%) and 100 % (NPK+100) and the standard fertilization (NPK) without green manure cultivation. All treatments were applied with standard fertilizer (N-P-K: 90-19.6-48.3 kg/ha) before rice planting. The highest rice yield was observed in NPK+50% which was 20% higher compared with NPK. The phosphate balance with different incorporation rates of green manure was-104.0,-76.8,-52.9,-27.4, and 6.0 kg/ha for NPK+0%, NPK+25%, NPK+50%, NPK+75%, and NPK+10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use of green manure for livestock feeding in green manure-rice cropping systems could remove a huge amount of phosphate. This cropping system strongly requires phosphate application before green manure seeding for maintaining soil fertility.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Incorporation with Rice Cultivation on Soil Fertility Improvement in Paddy Field)

  • 양창휴;유진희;김택겸;이상복;김재덕;백남현;김선;최원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71-378
    • /
    • 2009
  • 본 시험은 벼 재배시 녹비작물로 녹비용 보리의 투입효과를 구명하여 호밀 대체 가능성을 검토코자 수행하였다. 호밀은 출수기, 녹비용 보리는 출수기, 출수 후 3일 및 출수 후 10일에 경운로타리 작업을 하고 담수시켜 부숙을 촉진한 다음 녹비작물 무시용구는 표준시비, 녹비작물 시용구는 토양검정시비 및 무시비 하여 동진 1호를 재배 후 토양물리화학성, 녹비작물 부숙정도,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 투입시기별 생체중은 각각 10a당 2,715, 2,352, 2,867 kg이였고 건물중에 있어서 총질소 함량은 1.31, 1.46, 1.38%이었으며 탄질률은 33.4, 28.7, 34.6이였다. 녹비작물 투입으로 작토심이 깊어졌고 토양경도와 용적밀도가 낮아졌으며 공극률이 증가하여 물리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시험 전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 환원으로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아졌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쌀 수량은 관행($559kg\;10a^{-1}$)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토양검정진단시비구에서 3~9% 증수되었으며, 현미 외관품위 중 완전립비율은 관행(73.0%)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 투입시 73.6~78.7%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녹비용 보리를 출수 후 10일경 투입하여 벼 재배시 질소비료 절감과 지력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친환경 고추 재배에서 유박 비료 대체재로서 동계 풋거름 작물의 이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as Alternative of Expeller Cake Fertilizer on Environment-friendly Red Pepper Production)

  • 최장용;윤여욱;이진일;홍기흥;강영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9-290
    • /
    • 2022
  • 본 연구는 겨울철 휴한기에 동계 풋거름작물 재배 및 토양에 환원하여 고추 비가림 친환경 재배 시 원료가 대부분 수입되고 있는 유박 비료를 양분적으로 대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유박 시용구, 보리 단파구, 헤어리베치 단파구와 보리/헤어리베치 혼파구로 풋거름작물을 통한 질소공급량은 보리 단파구에서 ha당 172 kg이었으며, 헤어리베치 단파구에서 193 kg, 보리/헤어리베치 혼파구는 198 kg로 질소 표준 시비량 보다는 적었으나 토양 검정에 의한 질소 기비 요구량 보다는 많았다. C/N율은 풋거름작물 중 두과인 헤어리베치가 11.8로 가장 낮아 유박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화본과인 보리는 30.6으로 가장 높았다. 고추의 초장은 C/N율이 높은 보리 단파구가 헤어리베치 단파구와 보리/헤어리베치 혼파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며, 고추 초기 수량에서도 보리 단파구가 다른 풋거름작물 파종구보다 낮은 수량을 보였다. 총 수량은 보리/헤어리베치 혼파구가 가장 많았지만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수량 차이는 없었다. 즉 헤어리베치 단용재배와 보리/헤어리베치 혼용재배 시 고추 수량 측면에서 초기 수량 및 총 수량이 유박을 시용한 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풋거름 작물만으로는 토양검정으로 요구되는 총 질소 요구량을 전량 대체하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는 단년에 이루어져 풋거름작물의 유박 비료 대체 가능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토양특성, 재배연차 및 재배방식 등을 세분화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맥류의 세대촉진방법에 관한 연구 1. 온실조건하에서 맥류품종의 미숙종자최아, 춘화처리방법 및 재배조건이 생육촉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cedure for Accelerating Generation Advancement in Wheat and Barley Breeding 1. Influence of Germination Forcing on Premature Seed, Vernalization Method and Nursing Condition on Generation Advancement of Barley Varieties in Greenhouse)

  • 조장환;하용웅;안완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4
    • /
    • 1976
  • Enforcing germination to the premature seed green vernalization under constant vitalux-A illumination and exposing to higher room temperature during ripening stage, were successively applied during wheat and barley raising for the sake of the accelerating generation advancement in greenhouse. By application of this method, the winter habit variety 'Buheung' required only 77 days for 1 generation and could raise 4.5 generations during one year. one year.

  • PDF

간척농경지에서 비종에 따른 동계 청보리 재배 포장의 영양물질 수지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Balance in a Reclaimed Tidal Upland between Chemical and Compost Fertilization for the Winter Green Barley Cultivation)

  • 송인홍;이경도;김지혜;강문성;장정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5
    • /
    • 2012
  • 간척 농경지에 밭작물을 도입하려는 노력은 쌀 과잉 생산문제와 더불어 작물 다양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진을 위해 오랫동안 관심의 정책지원 대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 간척 농경지 전작의 도입에 따른 수질환경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청보리를 대상 작물로 비료 종류에 따른 경지 내 비료성분 물질수지를 분석 비교하였다. 비종처리는 화학비료, 축분퇴비, 무시비 세 수준에 대해, 지표수, 토양수, 토양, 작물체 영양물질을 조사하여, 포장단위 물질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동계 청보리 재배로 강우 유출 사상이 적어 지표 유출을 통한 비료성분 유출은 미미하였다. 토양수의 질소와 인산 농도는 각각 축분퇴비와 화학비료 시비구 표층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그 농도가 낮아져 70cm 깊이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사하여 지하침투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축분퇴비를 시비한 경우 토양유기물 농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인산농도 또한 증가하였다. 이는 축분퇴비의 높은 유기물 함량이 토양 인산보유능력의 향상에 일부 기여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청보리 수확량은 축분퇴비구가 10.6 t/ha로 화학처리구에 비해 약 3.7 t/ha 컸고, 질소 이용율도 52%로 화학비료 처리구 48%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계 청보리 재배에 따른 영양물질의 포장 물질수지 분석 결과 지표 유출이나 지하침투에 의한 손실은 미미하였고, 작물 흡수와 토양 축적이 주요 유출 경로이었다. 다만, 표층 토양 및 토양수의 영양물질 축적은 하계 집중 호우 시 지표나 지하로 손실될수 있어 적절한 영농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인산의 경우 질소에 비해 작물 흡수율이 낮아 토양 축적 가능성이 크고, 특히, 질소 대비 인산의 함량이 높은 축산퇴비 시용 시 토양 인산축적을 고려한 시비량 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장조건에 따른 맥류의 숙기 및 수량구성요소의 품종간 차이 (A Study on the Varietal Differences of Heading,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Wheat and Barley Grown Under Different Photoperiod)

  • 김이열;김흥배;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1-37
    • /
    • 1980
  • 1. 간장에서 소맥의 Ephrat, Combine, Rousalka 대맥의 하가네무기, 무사시노무기, 영월륙각 과맥의 장기조생간, Wasehadaka, CI 09942, Liusanchia 01 등이 비교적 단간이고 일장변화에도 둔감한 품종이 있다. 2. 출수일수는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모두 단일에 의하여 출수기가 늦어졌고 소맥의 Sava 만이 12시간 일장에 비해 8시간에서 빨라졌다. 3. 성숙일수는 수맥의 중국8001 대맥의 올보리, 하가네무기, 경003, 수원006 과맥의 Kochihadaka, Wasehadaka, 장기한생과, 예산29호 등이 숙기도 빠르고 일장변화에도 안정된 품종이었다. 4. 일수입수는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으나 소맥의 원광, 남광, Blueboy, 수원 169호 대맥의 제천005, 시요기무기, Reno 과맥의 백동, Mochihadaka, CI 09867, CI 0968, Tawungmia 02는 수입수도 많고 일장변화에도 안정된 품종이었다. 5..주당수수는 소맥의 신광, Benhur, 관취기6006, 육성003는 단일에 의하여 수수가 증가하였고그 외에는 12시간 일장일 때에 가장 높고 24시간과 8시간에서 낮았으며 대맥은 제천005, 늘보리의 주당수수가 높았으며 Sava, Moldova는 8시간 일장일 때의 수수가 많았다. 과맥중 재래육각은 단일에 의한 증가폭이 컸으나 그 외의 품종은 단일에 둔감하였다. 6. 주당수량은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으나 소맥의 Littotio는 12시간에서 수량이 높았고 대맥의 제천005, 하가네무기, 삼척3006, CI 07296, 시요기무기 등이 안정된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과맥은 재래육각, Tawungmia 02, CI 09867은 수량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