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fish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Experimental infec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wild crab, Gaetice depressus

  • Kim, Chun Soo;Kim, Ki Ho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3-216
    • /
    • 2004
  •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 wild marine crab, Gaetice depressus, as a carrier for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nd to develop an alternative experimental model for WSSV in winter season, the susceptibility of the crab to WSSV was assessed by artificial challenge and subsequently tested for infection by PCR assa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rabs were as highly susceptible as penaeid shrimps. WSSV caused 100% mortality in G. depressus within 16 days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The presence of WSSV in the moribund crabs was confirmed by PCR and was found in gills and muscle tiss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 depressus can be naturally infected by WSSV via moribund shrimps, and can act as a potential carrier of WSSV. In addition, G. depressu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experimental animal for WSSV.

Myxobolus episquamalis (Myxosporea: Myxobolidae) on the scales of wild mullet, Mugil cephalus L, in Korea

  • 조재범;허민도;김기홍;권세련;이무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06
  • Numerous large whitish cysts were found on the scale of wild mullet, Mugil cephalus captured in Jin-Hae bay of southern coastal sea of Korea. The cyst consisted of many trophozoites, mature spores and interstitial tissues of host origin. Spores were 8.25 ㎛ (7.26-9.35) in length, 6.3 ㎛ (5.63-6.78) in width, 4.34 ㎛ (3.96-5.04) in thickness. Polar capsules were 4.45㎛ (3.8-5.4) in length and 2.35 ㎛ (1.62-2.86) in width, and the length of polar filament was about 39.57 ㎛ (26.3-56.33). Based on the spore morphology and the host & tissue specificity, the present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Myxobolus episquamalis Egusa, Maeno & Sorimachi, 1990. Deformation of bony plate of the scale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in the histological sections.

자연산 숭어(Mugil cephalus)의 Myxobolus sp. 감염증 (The infection of Myxobolus sp. in wild mullet, Mugil cephalus)

  • 김위식;이무근;박경희;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8
    • /
    • 2003
  • The mortality of wild mullet, Mugil cephalus was detected in Kwang- Yang bay on February, 2002. The mullet were infected with Myxobolus sp., the cysts of Myxobolus sp. were found in the mesentery, liver, gill and pharyngeal pocket. The histological findings suggested a systemic infection by the Myxobolus sp.. The spores were measured 10-12 (10.9)${\mu}m$ in length, 9-10 (9.4) ${\mu}m$ in width, 6.4-7.2 (6.8) ${\mu}m$ in thickness, with polar capsules of 4-5.2 (4.4) ${\mu}m$ in length and 2.5-3.3 (2.9) ${\mu}m$ in width.

산지 및 성장조건별 참돔, 조피볼락, 넙치의 정미성분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Taste Compounds of Red Sea Bream, Rockfish and Flounders Differing in the Localities and Growing Conditions)

  • 김희연;신재욱;박희옥;최성희;장영미;이수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50-563
    • /
    • 2000
  • 본 조사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주요 해산어로서 뿐만 아니라 식품원으로서, 또한 고급 경제 어종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참돔, 조피볼락 및 넙치 등을 대상으로 동원한 지역에서 어적되는 친연산과 양식산으로 대별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정미성분에서 구명하고자 충무와 완도 2개 지역의 시료어를 채취하여 일반성분, 핵산관련물질 함량, 구성아미노산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유기산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산지별로는 어느 시료에서도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성장보건별로 보아 전체적으로 양식산 어류가 천연산어류에 비하여 조지방 함량은 높았고 수분 함량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과 회분 함량은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핵산관련 물질 함량 중 ADP, AMP, IMP 및 inosine 등이 검출되고 ATP 및 hypoxanthine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산지별, 성장조전별로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분석된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구성아미노산은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분석된 시료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proline, leucine 등의 함량이 많았으며 cysteine,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의 함량이 비교적 적었다. 그 외의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대체로 비슷하였다. 참돔과 조피볼락은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넙치는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함량이 많았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분석된 모든 시료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 시료에서 taurine이 $39%{\sim}6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hydroxyproline, lysine, alanine, glycine둥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산지별, 성장조건별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천연산에 비하여 양식산에 유기산 함량이 많았다.

  • PDF

자연산 홍가자미 (Hippogossoides dubius) 의 피부 종양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s on skin papilloma in wild red halibut (Hippogossoides dubius))

  • 박성우;유진하;정은빈;송재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3-247
    • /
    • 2012
  • 2009년 1월 6일경 어청도~고군산군도 사이에서 채낚기로 어획되어 군산수협 위판장에서 입수한 홍가자미의 피부 유두종을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한 결과 저서성 어류에 발생되고 있는 상피성 유두종으로 종양의 내부는 특징적인 x-cell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x-cell의 핵내의 특징인 대형의 핵인은 시료채취 후의 자가 분해에 의한 탓인지 관찰할 수 없었다.

Movement Ranges and Routes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Summer and Autumn from Acoustic Telemetry

  • Kang Kyoung-Mi;Shin Hyeon-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91-96
    • /
    • 2006
  • The movement range and diurnal behavior of 17 wild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ere monitored within the marine ranching area of Tongyeong from 27 July to 7 November, 2005 using acoustic telemetry. Coded transmitters were surgically implanted into the abdomen of fish. Two of ten fish released in summer moved about 2 km away from the capture point for 1 day. The others stayed within a 500-m radius of the release point for 1 week after release. The seven fish released in autumn stayed within 500 m of the release point. Most fish were more active and had a greater range of horizontal diurnal movement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Additionally, the range of horizontal diurnal variation was greater in summer than in autumn. While fish released in summer were more vertically active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those released in autumn preferred to move vertically during the day.

천연 및 양식산 담수어의 식품성분 (Food Components of Wild and Cultured Fresh Water Fishes)

  • 김경삼;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211
    • /
    • 1986
  • 한국산 양식어의 식품성분을 개선하기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뱀장어, 가물치, 잉어를 천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고, 식품성분에 관하여 분석비교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담수어의 일반 성분중 공통적 특징은 천연산은 조단백질 함량이 많고 양식산은 조지질 함량이 많았다. 2. 천연산 뱀장어, 가물치, 잉어육 중의 무기질중 나트륨, 칼리움, 칼슘, 마그네슘 등은 분석한 9종의 무기질 총량의 $99.75{\sim}99.90%$를 차지하였으며, 양식산에서도 이들 4종의 무기질이 $99.52{\sim}99.92%$의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도 이들 4종의 무기질이 $99.68{\sim}99.92%$로 많았다. 3. 지질획분은 중성지질이 뱀장어, 가물치, 잉어 모두 $55.7{\sim}95.8%$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가물치는 인지질이 $24.5{\sim}41.5%$로서 뱀장어, 잉어에 비하여 많았다. 4. 천연산 및 양식산 뱀장어, 가물치, 잉어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가 $85.0{\sim}95.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에 diglyceride, monoglyceride, free sterol 및 sterol ester, hydrocarbo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5. 뱀장어와 잉어의 지질의 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이 $71.3{\sim}83.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of $12.1{\sim}23.5%$, phosphatidyl serine이 $2.1{\sim}9.8%$로 소량 확인되었다. 또한 가물치의 인지질조성은 phosphatidyl choline이 $50.7{\sim}64.5%$로서 그 함량이 뱀장어와 잉어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phosphatidyl choline은 천연산이 양식산에 비해 그 함량이 많았으며 phosphatidyl ethanolamine 및 phosphatidyl serine은 양식산이 많았다. 6.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뱀장어, 가물치, 잉어 모두 천연산은 $C_{16:0},\;C_{20:5}$가 많았고, 양식산에는 $C_{18:1},\;C_{18:2}\;,C_{22:6}$이 많았다.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과 유사하였으며, 인지질은 양식산이 $C_{18:1}$$C_{18:2}$가 많았고, 또한 당지질은 천연산이 $C_{20:5}$$C_{22:6}$이, 양식산은 $C_{18:2}$가 많았다. 7. 양식어와 이들 사료중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mono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의 함량이 높았고, 포화산과 poly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이 낮은 경향이었다. 8.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의 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6.65\%$$15.99\%$로서 양자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leucine, aspartic acid, lysine 순이었다. 가물치는 천연산이 $18.06\%$이며, 양식산은 $18.52\%$이며 천연산은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및 leucine은 많았으며 양식산은 aspartic acid 및 proline이 많았다. 또한 잉어는 천연산이 $16.94\%$, 양식산은 $20.95\%$로서 양식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proline 및 alamine이 천연산에 비해 그 함량이 다소 많았으나 이외의 아미노산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9. 양식산 뱀장어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가 총 유리아미노산의 약 $1.0\%$였으나 천연산은 $2.9\%$를 차지하였다. 반면 histidine, arginine 및 tyrosine등은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약 2배 가량 많았다. 그러나 양식산지에 따른 유리 아미노산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가물치의 경우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methionine, phenylalanine 함량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그 함량이 많았으나 lysine, histidine, glycine 및 alanine은 그 반대였다. 천연산 잉어의 유리아미노산 중 histidne, glycine 및 lysine 함량이 총유리아미노산의 $76.9\%$를 차지하였다. lysine, histidine, aspartic acid, alanine, valine 및 leucine은 양식산에 비해 천연산의 함량이 많았으나 glycine과 tyrosine은 그 반대였다. 10. 양식 뱀장어 육중의 유리아미노산의 필수아미노산패턴과 사료중의 필수아미노산패턴과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다.

  • PDF

남.서해안과 동중국해 자연산 어류에서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VHSV)검출 (Detection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 Western Coastal Area and East China Sea)

  • 이월라;윤현미;김석렬;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1-209
    • /
    • 2007
  •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유럽과 북미지역의 담수 무지개송어에 심각한 바이러스성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체였으나 담수어류 뿐만 아니라 해산어류에서도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며 최근 일본과 우리나라 양식 넙치에서 VHSV에 의한 대량 폐사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VHS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VHS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목적으로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RT-PCR을 이용한 연구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12종 17마리에서 VHSV가 검출되어 검출율 10.6%를 보였으며 조사된 12종의 어류 중 특히 상어목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VHSV G gene을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분석결과 염기서열 분석에서 양식산어류의 분리주 (KVHS01-1)와 98.4%~99%, 아미노산 분석에서 97~99% 유사성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조사되어진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된 VHSV는 GenogroupⅠ에 속하였다.

남.서해안과 동중국해 자연산 어류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의 검출 (Detection of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East China Sea)

  • 이월라;김석렬;윤현미;키타무라신이치;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1-220
    • /
    • 2007
  • Red sea bream iridovius (RSIV)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참돔 (Pagrus major), 돌돔(Oplegnathus fasciatus) 등 주로 돔류에 질병을 유발하는 어류 병원바이러스로 알려져 왔으나, 돔류 이외에도 감수성을 나타내는 어종이 매우 다양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고수온기에 대량 폐사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체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RSIV에 대한 자연산어류에서 검출동향의 모니터링을 통해 금후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RSIVD)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RSI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여 PCR을 이용한 검출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39마리에서 RSIV가 검출되어 24.3%의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특히 조사된 어류 중 상어목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한 RSIV 분리주는 양식산어류에서 분리된 RSIV-K strain과 염기서열 분석에서 97.2%~100%, 아미노산 분석에서 94.7~100%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megalocytivirus Subgroup Ⅲ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FISH Karyotype Analysis of Four Wild Cucurbitaceae Species Using 5S and 45S rDNA Probes and the Emergence of New Polyploids in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 Waminal, Nomar Espinosa;Kim, Hyun H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69-876
    • /
    • 2015
  • Wild relative species of domesticated crops are useful genetic resources for improving agronomic traits. Cytogenetic investigations based on chromosome composition provide insight into basic genetic and genomic characteristics of a species that can be exploited in a breeding program. Here, we used FISH analysis to characterize the ploidy level, chromosome constitution, and genomic distribution o f 5S and 4 5S r ibosomal DNA (rDNA) in four wild Cucurbitaceae species, namely, Citrullus lanatus (Thunb.) Mansf. var. citroides L. H. Bailey (2n = 22), Melothria japonica Maxim. (2n = 22), Sicyos angulatus L. (2n = 24), an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2n = 66, 88, 110 cytotypes), collect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All species were diploids, except for T. kirilowii, which included hexa-, octa-, and decaploid cytotypes (2n = 6x = 66, 8x = 88, and 10x = 110). All species have small metaphase chromosomes in the range of $2-5{\mu}m$. The 45S rDNA signals were localized distally compared to the 5S rDNA. C. lanatus var. citroides and M. japonica showed one and two loci of 45S and 5S rDNA, respectively, with co-localization of rDNA signals in one M. japonica chromosome. S. angulatus showed two co-localized signals of 5S and 45S rDNA loci. The hexaploid T. kirilowii cytotype showed five signals each for 45S and 5S rDNA, with three being co-localiz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hexaploid and decaploid cytotypes in T. kirilowii.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future Cucurbitaceae breed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