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ki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 online storytelling authoring and viewing tool using user defined sketch (사용자 스케치를 이용한 온라인 이야기 저작 및 감상 도구)

  • Kim, Jeong-Sik;Lee, Eun-Woo;Nam, Y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79-182
    • /
    • 2002
  • 웹을 저작 공간으로 사용한 Wiki Wiki Web[4]은 텍스트 자원을 사용한 복잡하고 다양한 이야기의 표현이 가능하며 실시간은 아니지만 시분할 방식의 이야기 공동 저작과 감상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림일기와 같은 그림과 텍스트 내공이 복합된 이야기를 저작하는 경우, 저작자는 텍스트 자원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그림이 표현되어야 하는 부분을 표현할 수 없으며 공동저작을 손쉽게 하는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도구의 사용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그림일기나 동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하고 손쉬운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저작자가 온라인상에서 직접 그린 스케치 영상을 사용하여 이야기의 배경과 캐릭터를 만들고 그것을 이야기 저작 소재로 사용하도록 하는 배경 및 액터 생성도구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를 저작자가 손쉽게 표현하도록 하는 이야기 구성의 자동화 도구를 제공하면서 여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이야기 저작과 감상에 공동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저작된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Digital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 Jing, Xiuli;Tan, Fang;Zhang, Mu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v.1 no.1
    • /
    • pp.41-52
    • /
    • 2021
  • This paper explored the digital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Through field investigations, combined with cultural ecology theory, an ontology-based semantic web technology was proposed, and Nanjing "Yunjin" brocade weaving technique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 The specific steps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field surveys and cultural ecology theory, the intangible 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Next, construct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tology was constructed, including the collection and collation of Nanjing Yunjin weaving technique knowledge corpus, based on user needs analysis and corpus analysis, CIDOC CRM was used to create rules to build the ontology. Finally, based on the MediaWiki platform and Semantic MediaWiki, the semantic web model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esigned, and its semantic retrieval function was realized, thereby achiev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iz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a set of intangible digital application models was proposed, which expanded the digital application of the cultural ecology theory, verified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and provided refere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Designing a Personalized Portal Model based on Enterprise 2.0 (Enterpise 2.0 기반의 업무 맞춤 포털 모델 설계)

  • Song, Sang-Sup;Kim, Sun-Mi;Kim, Sun-Ho;Kang, Yoo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364-367
    • /
    • 2008
  • Cyber office is a personalized enterprise portal model for knowledge workers. The key services of cyber office are both personalization and emergent collaboration. Personalization service is provided by choosing service from service repository and then dropping it in the cyber office. Service repository contains various kinds of services supporting business activities. Cyber office provides blog service and profile service for knowledge workers to participate in knowledge based collaboration voluntarily.

  • PDF

Analysis and Design of Co-creation Platform Software by Object-Oriented Analysis Method (객체지향 분석 방법에 의한 Co-Creation 플랫폼 소프트웨어의 분석 및 설계)

  • Cho, Byung-Ho;Ahn, Heui-Ha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6
    • /
    • pp.75-81
    • /
    • 2016
  • My proposed Co-creation platform software analysis and design method in my paper, presents build technology of co-creation platform using Co-creation concepts refer to all process from products' idea level to products' design, manufacturing and marketing level. And this method can be possible to design and implement to be interlocked with company's cloud service and system through own SNS functions and OPEN API to build co-creation platform. Also owing to apply Wiki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idea modification and completion level and provide cooperative work tools of story-board prototyping, it can be participate actively in the design process with customer and stakeholder together and realize functions to apply opinions. Therefore, Co-creation platform software analysis and design by objected-oriented analysis method is presented to show these design process effectively.

A WordNet-based Open Market Category Search System for Efficient Goods Registration (효율적인 상품등록을 위한 워드넷 기반의 오픈마켓 카테고리 검색 시스템)

  • Hong, Myung-Duk;Kim, Jang-Woo;Jo, Geun-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9
    • /
    • pp.17-27
    • /
    • 2012
  • Open Market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accelerate the profit. Usually retailers sell items in several Open Market. One of the challenges for retailers is to assign categories of items with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n item category recommendation method to support appropriate products category registration. Our recommendations are based on semantic relation between existing and any other Open Market categorization.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s of categories, we use Morpheme analysis, Korean Wiki Dictionary, WordNet and Google Translation API. Our proposed method recommends a category, which is most similar to a guide word by measuring semantic similar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improves the system accuracy in term of search category, and retailers can easily select the appropriate categories from our proposed method.

Development of Web-based Discussion Learning Model using Wiki (위키기반 웹토의 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 Kwak, Jin-Seok;Moon, Gyo-S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8
    • /
    • 2010
  • 정보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사이버 공간의 영향력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이면에는 역기능 또한 적지 않다. 자아 정체성의 혼돈, 바이러스 유포, 개인 정보의 오남용, 지적 재산권 침해, 불건전 정보의 유통, 사이버 폭력 등과 같은 역기능의 폐해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으나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방법으로는 효과적인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위키 기반의 웹기반 토의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실험적으로 적용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Desig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Document Manage in the Mobile Environment (이동환경에서 문서관리를 위한 지식관리 시스템의 설계)

  • Park, Yu-Ri;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85_1886
    • /
    • 2009
  • Wiki시스템은 공유와 참여의 장점을 갖고 있지만 이로 인해 정확성과 유효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잘못된 자료들이 많아 질수 있는 점과 재사용이 어렵다는 취약점이 있다. 그러므로 효율적으로 지식의 획득, 유지, 및 공유할 수 있는 지식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지능형 문서검색 시스템은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식그룹을 생성하고 랭킹기법을 활용한 지능형 문서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Dokuwiki를 활용한 지능형 문서검색 시스템은 이동성과 효율성 정확성이란 특징을 갖는다. Dokuwiki는 미니 웹 서버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Mobile또는 PDA등 이들 첨단 정보통신 기기를 사용한다면 지식관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지식관리 시스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Microteaching supporting tool based on multimedia wiki (동영상 위키 기반 마이크로티칭 지원 도구 개발)

  • Kwon, Sukjin;Jung, Hyojung;Cho, Hangchol;Kim,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1-232
    • /
    • 2011
  • 마이크로티칭은 교사들의 모의수업을 녹화한 후 피드백, 평가, 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수업 스킬을 개선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교직수업 및 교원연수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티칭을 진행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적, 물리적 부담이 부가되며, 때문에 더욱 의미있는 학습, 평가와 성찰의 기회가 허락되지 않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위키 시스템에 기반을 둔 마이크로티칭 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텍스트, 음성 기반 피드백 기능을 지원하여 교수자의 피드백을 보다 원활하게 도우며, 동영상 위키의 속성을 활용하여 동료피드백을 지원하여 능동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Scaling Reuse Detection in the Web through Two-way Boosting with Signatures and LSH

  • Kim, Jong Wo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6
    • /
    • pp.735-745
    • /
    • 2013
  • The emergence of Web 2.0 technologies, such as blogs and wiki, enable even naive users to easily create and share content on the Web using freely available content sharing tools. Wide availability of almost free data and promiscuous sharing of content through social networking platforms created a content borrowing phenomenon, where the same content appears (in many cases in the form of extensive quotations) in different outlets. An immediate sid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that identifying which content is re-used by whom is becoming a critical tool in social network analysis, including expert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flow. Internet-scale reuse detection, however, poses extremely challenging scalability issues: considering the large size of user created data on the web, it is essential that the techniques developed for content-reuse detection should be fast and scalable.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 $qSign_{lsh}$ algorithm, a mechanism for identifying multi-sentence content reuse among documents by efficiently combining sentence-level evidences.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qSign_{lsh}$ significantly improves the reuse detection speed and provides high recall.

A Control System for Creation of Collaboration Documents based on Keyword Similarity Anaysis (주제어의 유사도 분석에 기반한 협업문서 생성제어 시스템)

  • Cho, Sung-Woong;Won, Yong-Kwan;Lee, Do-Heon;Lee, Gue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1761-1764
    • /
    • 2002
  • 인터넷은 공동작업과 지식정보 공유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동적인 협업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새로운 형태의 지식공유 시스템인 위키(WIKI)는 연구원간의 자유스러운 정보교환을 보장하는 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식정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킨다. 하지만 정보량이 방대해짐에 따라 공동의 주제를 가진 문서들이 중복되어 생성됨으로써 주제의 분산이 이루어져 정보공유의 힘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파서(parser), 문서 분류시스템, 유사성 측정시스템으로 구성된 협업문서 생성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