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de space 공법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4초

NDC 및 Wide Space 혼합공법을 통한 발파효율 개선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ombining NDC Blasting Method and Wide Space Blasting Method to Increase Blast Efficiency)

  • 노상림;노승환;이상필;이훈연;이태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5호
    • /
    • pp.387-393
    • /
    • 2006
  • 본 연구는 발파 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발파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NDC(New Deck Charge) 공법 및 Wide space 공법을 혼합하여 발파를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NDC 공법은 종이분리봉을 이용하여 분산장 약을 실시하는 공법으로 발파 시 진동은 저감시키나 공저부에서 발파효과가 저감되는 경향을 보인다. Wide Space 공법은 기존의 일반적인 발파공법에 비해 파쇄입도를 조절하고 발파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한 공법이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두 가지 공법을 혼합하여 현장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진동속도가 감소되고 발파효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조건에서 발파를 실시하여 자료를 축적한다면 민원저감 및 공기단축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파패턴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압지보 터널공법 개발 및 현장적용 사례 분석 (Development of pressurizing support tunneling method and case study of its field application)

  • 김대영;이홍성;이세진;이희광;심보경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97-4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구조물 하부 통과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가압지보 터널공법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가압지보 터널공법은 H-beam으로 제작한 강재의 외부 플랜지면과 굴착면 사이에 자루형태의 토목섬유를 삽입한 후 시멘트 밀크를 가압 그라우팅하여 지반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굴착시 발생한 지반변위을 회복시킬 수 있는 공법이다. 3D 수치해석을 통해 개발된 공법의 변위제어 효과 및 부재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bigcirc}{\bigcirc}$고속도로 하부 구간에 폭 10.7 m, 높이 7.9 m, 연장 85 m의 도로터널에 적용하였다. 현장적용 결과 상부지반의 변위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굴착을 완료하였으며 공법 대비 공사기간을 약 35% 단축하였다.

대공간 건축물 Erection 공법에 관한 사례 조사 연구 (The Case Study on the Erection Method of Large Span Structures)

  • 정환목;이성연;지석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97-104
    • /
    • 2007
  • 최근 산업 발전과 더불어 대공간 건축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 분야 선진 기술은 지간 300m 이상의 대공간 건축물 실현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대공간 구조에는 쉘구조,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막구조, 케이블구조 등이 있다. 대공간 건축물은 기둥 없이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설계초기 단계에서부터 시공문제를 병행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대공간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erection 공법은 공사비용, 공사기간 그리고 안전성 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공간 건축물 erection 공법은 현장 여건 및 제반 조건에 따라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고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공법으로는 Element 방식, Block 방식, Sliding 방식, Lift-up 방식 그리고 복합방식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공간 건축물을 대상으로 시공당시 적용한 erection공법을 조사하여 이것을 규모별, span별, 층고별, 구조형식별로 분석 및 검토하여 향후 대공간 건축물의 효율적 erection 공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대전역사 하부통과 3-arch 터널의 설계사례 연구 (I) (A design case study of the very wide 3-arch tunnel under Daejeon railroad station building (I))

  • 장석부;문상조;권승;허도학;배규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47-260
    • /
    • 2002
  • 본 논문은 대전역사 하부를 대단면 3-arch 터널로 횡단하기 위한 설계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구간의 당초 계획은 파이프루프에 의한 언더피닝 공법이었으나, 시공상의 어려움과 안전상의 문제로 터널공법으로 변경되었다. 터널폭은 약 28m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건설된 터널중 최대폭이고 높이는 10m 이다. 지반조건으로 토피는 터널폭보다 작은 23m 에 불과하며 터널 주변지반은 풍화암이다. 또한, 지상의 대전역사와 경부선 선로의 허용침하기준이 매우 엄격하였다. 따라서, 터널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지반침하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책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RAP의 배치형태에 따른 지지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aring Capacity for Installed Rammed Aggregate Pier)

  • 김영훈;조창구;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9-26
    • /
    • 2009
  • 짧은 쇄석다짐말뚝 공법(RAP)은 깊은 기초와 얕은 기초의 중간개념으로 1989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세계적으로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설계시방이나 지지력 산정방법 등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RAP공법의 구조물 기초로서의 배치형태에 따른 지지력 측정을 통해 사용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지지력 측면에서 최적의 배치에 대한 적용방안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RAP공법이 적용된 지반의 지지력을 실내모형토조시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은 사질토로 조성된 모형지반에 RAP의 배치형태별(정방형, 육각형, 십자형, 마름모형), 직경별(20mm, 30mm, 40mm)로 변위제어시험을 수행하여 RAP의 지지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중심간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인접한 말뚝에 의한 구속효과 및 변형억제 등의 상호작용 효과가 증대되어 지지력이 증가하였으며, 직경이 커질수록 강성이 커져서 지지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말뚝의 중심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주변지반이 조밀해지면서 침하량도 감소하였다. 향후 다양한 현장계측자료의 축적을 통한 지속적인 검증작업과 침하량 및 지지력 측면에서 RAP의 최적 배치형태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침하저감효과를 위한 고강도 지오그리드 보강Stone Column 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ogrid Reinforced Stone Column System for Settlement Reduction Effect)

  • 박시삼;이훈연;유충식;이대영;이부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38-845
    • /
    • 2006
  • Recently construction work in Korea, demands of favorable condition ground had been increased with industrialization acceleration and economic growth. However, because of limited land space, it was so hard to ensure favorable condition grounds that construction work proceeds until soft ground area on plans of road, railroad and industrial complex. In this case, soft ground improvement was required such as a stone column method. Stone column method, making a compaction pile using crushed stone, is a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However, stone column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ground which is not mobilized enough lateral confine pressure because no bulging failure resistance. Hence, in present study, evaluates the stone columns reinforced by geogrid for settlement reduction and wide range of application of stone columns. Triaxial compression tests were conducted for evaluation which is about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one column on replacement rate. Then, 3-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pplication of stone column reinforced by geogrid as evaluat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settlement reduction effect of stone column reinforced by geogrid on reinforcing depth change of geogrid.

  • PDF

부벽식 기법을 사용한 자립식 지하연속벽 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Self-Supported Diaphragm Wall Method Using Counterfort Technique)

  • 정경환;정동영;박헌국;한경태;류지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75-782
    • /
    • 2004
  • Recently, the cases which are constructed close by neighboring structure or underground structure are on the increase to get the utmost out of the land exploitation of underground space in the downtown area. As the building becomes larger, the excavation depth is getting deep, and the excavation area is getting, wide too. These are frequent occasions that the application of Strut or Anchor method is difficult, because of site boundary, civil application and the ground condition.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 we analyze and compare design with measuring data, change the design factor and show the improvement of course through the application of self-supported diaphragm wall using counterfort technique which is a new method. It is expected to be a contribution to the suitable exploitation method of construction.

  • PDF

지하굴착시 앵커지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Lateral Earth Pressures Acting on Anchored Retention Walls for Underground Excavation)

  • 홍원표;윤중만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1권1호
    • /
    • pp.63-78
    • /
    • 1995
  • 최근 도심지에서 건물 및 지하철 건설시 보다 효율적인 지하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깊은 굴착이 많이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하굴착공사에 있어서 앵커지지 굴착공법은 넘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27개 사례현장으로부터 얻은 현장계측결과를 토대로 앵커지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산정식을 마련하는데 있다. 앵커축력은 흙막이벽을 지지하기 위해 앵커두부에 부착된 하중계로 측정하였으며 흙막이벽의 수평변위는 홀막이벽 배면에 설치된 경사계로 측정하였다. 앵커축력 및 흙막이벽 수평변위로 부터 산정된 앵커지지 홀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은 사다리들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측정토압과 여러 경험식으로 주어진 경험토압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앵커지지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경험식에 약간의 수정을 가한 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 PDF

석회암 공동발달유형에 따른 터널지보패턴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Standardization of tunnel supporting system in karst formation)

  • 김상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79-289
    • /
    • 2003
  • 일반적으로 석회암 공동발달지역의 터널지보는 터널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설계단계에서 석회암 공동발달지역과 같은 불확실성 지반조건에서 터널의 지보패턴에 대하여서는 용이하게 결정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석회암 공동발달지역에서의 일반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터널지보패턴에 대한 표준화가 요구되어진다. 이 논문은 석회암공동발달지역에서의 터널지보패턴의 표준화기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의 석회암 공동발달지역의 불확실한 지반조건에서의 터널지보 System에 대한 간편화 기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특히, 석회암공동발달지역에 대한 지반의 등급화기법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터널지보패턴 간편화 기법에 대하여서도 제시하였다. 또한, 석회암 공동지반등급과 지보패턴별 요구되는 보강 및 보조공법에 대하여서도 상세 서술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석회암 공동이 발달되어 있는 ${\bigcirc}{\bigcirc}$지역에 계획되었던 터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설계과정을 통하여 지보패턴의 형식선정기법의 적용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석회암 공동발달지역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지반에서의 터널지보 설계에 적용하므로써 터널기술향상을 도모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