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Fi 7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초

선박 기관실에서의 금속체 표면파 통신 활용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Metal Surface Wave Communication for Engine room of Vessels)

  • 공진우;김학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8-109
    • /
    • 2022
  • 본 연구는 선박 내부의 기관실에서 금속체 표면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때 기관 구동으로 발생하는 잡음 간섭에 대하여 실험을 통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실험은 순톤수 265톤 예인 선박의 기관실의 임의의 7구역을 선정하여 기관 구동 전과 구동 중에 생기는 잡음 성분을 신호 분석기를 통해 측정하고 표면파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잡음 성분의 분석을 토대로 실제의 통신망을 구성하여 금속 격벽으로 이루어진 구역에서의 표면파 통신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의 통신망은 3개의 금속 격벽 사이로 통신장비를 설치하여 무선통신과 비교 실험을 진행하여 그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면파 통신의 경우에는 격벽 3개의 환경에서 기관의 구동 전후에 송수신 rate는 기관 구동 전과 구동 중인 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무선을 사용하는 Wi-Fi의 경우 구동 중인 상태에서 현저한 성능 저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관 구동으로 인한 잡음은 무선통신에는 영향을 주지만 표면파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선박 내의 전자파 잡음이 많은 구역에서도 선박의 금속 구조물을 이용하여 표면파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였을 때 무선통신을 대체할 수 있고 나아가 선박 내 밀폐 공간 및 기관실에서의 표면파 통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V2X Technology Trends for Next-Generation Mobility

  • Kim, Young-Ha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7-13
    • /
    • 2020
  • We describes V2X technology, a connectivity-based recognitio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key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autonomous communication modules that implement ADAS technology, a sensor-based recognition technology. It also explains the trends in V2X technology standardization centered on IEEE 802.11p, which is a WAVE technology standard based on Wi-Fi/DSRC. Finally, we will discuss the market growth trend of V2X communication modules in the United States, the leading V2X technology modul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that are leading the global technology market related to V2X communication modules. V2X and ADAS technologies will be the biggest influence on automotive purchasing decisions. In recent years, V2I mandates have been promoted beyond V2V, mainl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related industry needs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ransmission network technology that can support high frequency high efficiency(transmission rate) and sophisticated positioning accuracy beyond conventional vehicle communication.

Positional Tracking System Using Smartphone Sensor Information

  • Kim, Jung Yee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4호
    • /
    • pp.265-270
    • /
    • 2019
  • The technology to locate an individual has enabled various services, its utilization has increased. There were constraints such as the use of separate expensive equipment or the installation of specific devices on a facility, with most of the location technology studies focusing on the accuracy of location verification. These constraints can result in accuracy within a few tens of centimeters, but they are not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a user's location in real-time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track the locations of smartphones only using the basic components of smartphones. Based on smartphone sensor data, localization accuracy that can be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users' locations is aimed at. Accelerometers, Wifi radio maps, and GPS sensor information are utilized to implement it. In forging the radio map, signal maps were built at each vertex based on the graph data structure This approach reduces traditional map-building efforts at the offline phase. Accelerometer data were made to determine the user's moving status, and the collected sensor data were fused using particle filters.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average user's location error is about 3.7 meters, which makes it reasonable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in everyday life.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격자 위치 특정 및 알람 기법 (A Location Recognition and Notification Method of Attacker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 봉진숙;박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01-211
    • /
    • 2017
  • 유동 IP와 모바일 IP를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사용자에게 접속과 이동의 편의성을 세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IP 기술들은 악의적인 사용자에게 정상 사용자를 위장하여 네트워크 및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네트워크 관리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악의적인 사용자의 네트워크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 의도를 빠르게 인지하고, 악의적인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wifi, LTE 네트워크의 사용자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개체(W_L_M)와 위치 특정과 알람을 위한 메시지를 정의하고 그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성능 평가는 정성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제안기법의 적용으로 인해 일부 새로운 비용이 발생하나 전체 네트워크 운용비용 대비 적은 수준으로 분석 되었다. 본 논문의 제안은 기존의 유, 무선네트워크 정보와 구조를 활용한 관리적인 방법으로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높이고자 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모바일 앱을 이용한 홈 시큐리티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Home Security System using a Mobile App)

  • 권영일;정삼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1-9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나날이 늘고 있는 주거침입 범죄에 대응하여 아두이노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범죄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집 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의 신호를 받아 스마트 폰의 앱과 연동을 시킨다.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앱을 다운받아 앱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앱의 연동을 통해 집 내부에서만이 아닌 집 밖에서의 조작을 구동할 수 있다. 집안에 설치된 센서들 중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보안적인 면에서 활용도를 높이고, 가스누출 센서와 불꽃감지 센서들을 사용하여 화재의 위험을 쉽게 감지하여 초기에 예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현관문을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보안이 한 층 강화되었다. 향후 다양한 센서들을 추가하고, 블루투스 모듈 외에 와이파이 모듈로 발전시킬 수 있다.

AIMS 시스템에서 플로우 이동성 기법의 설계와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Flow Mobility Scheme tn the AIMS System)

  • 이성근;이경희;민성기;이효범;이현우;한연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B호
    • /
    • pp.760-770
    • /
    • 2011
  • 기존 이동성 관리 기법들은 IP 기반의 코어 네트워크와 다양한 접근 네트워크를 수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현재 ETRI에서는 차세대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관리에 관한 ITU-T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AIMS (Access Independent Mobility Service)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AIMS 시스템은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이종망간의 이동성 관리에 우수한 성능을 지닌다. 한편, 최근에 많이 활용되는 사용자 단말은 여러 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니고 있어서 Wi-Fi와 3G와 같은 서로 다른 여러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IMS 시스템에서 이동성 지원을 받는 단말들이 여러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할 경우 접속 네트워크 기술 간에 선택적으로 데이터 플로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플로우 이동성(flow mobility) 기법을 설계하고 NS-3 시뮬레이션 구현을 통하여 제안 기법을 검증한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통하여 제안 기법이 다양한 접근 네트워크를 지닌 이동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지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함을 입증한다.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산업용 엔진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Industrial Engine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 정찬세;김용석;정영만;고주현;정광식;이효성;양순용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0권2호
    • /
    • pp.7-12
    • /
    • 2013
  • In this study, a wire/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the operation data of engine from the ER (Engine Room) to the engine controller of ECR(Engine Control Roo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Band for the test oper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of medium speed engine. This wire/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the RTU (Remote Terminal Unit) gathering and transmitting engine data as well as the MCU (Master Control Unit) receiving engin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TU to be sent to the engine controller (PLC). Through this study, a trial product of RTU and MCU has been manufactured. A test bench that has made temperature, pressure and pick-up sensor into a module for the local test of prototype was produced a test bench. In addition, at the same time save the data to a Web server and the smart phone real-time monito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using Wi-Fi communication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ireless smart phone monitoring system of engine for the operator of engine to be able to monitor and control engine status even from the outside of engine room and control room based on this study.

본인인증의 네트워크 경로와 감성신뢰도에 연동한 점진적 인증방법 (Gradual Certification Correspond with Sensual Confidence by Network Paths)

  • 서효중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955-963
    • /
    • 2017
  • 핀테크 기술은 모바일 뱅킹 및 지불의 핵심으로 대두되어 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인 대면거래로부터 비대면 핀테크 기반 뱅킹 및 지불로 급격한 금융시장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지문센서, 홍채센서 등 다양한 생체인식 센서를 갖춤으로써 본인확인의 핵심 도구가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금융거래에 있어서 데이터전송 경로상의 해킹 및 파밍의 위협이 상존하고 있고, 이러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체계 및 다단계 본인인증 절차가 적용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보안체계와 본인인증 절차가 위험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음은 분명하나, 상반되게 금융거래와 지불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함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보안체계 적용에 있어서 무선랜과 이동통신망 등 네트워크 경로에 따라 서로 다른 감성신뢰도가 있음을 확인하고, 네트워크 접속경로에 따른 점진적 본인인증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와 불편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해결방법을 제안한다.

사시환자에서 Synoptophore와 Prism bar를 이용한 자각적 사시각과 타각적 사시각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Angle of Deviation Using by Synoptophore and Prism Bar in Strabismus Patients)

  • 위대광;주석희;이군자;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5
    • /
    • 2010
  • 목적: 사시각을 측정하여 자각적 사시각과 타각적 사시각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사시 진단을 받은 사람의 사시각과 정위인 사람을 대상으로 편위각을 비교하였다. 나이는 7~63세 사이로 남녀 51명(남자 21명, 여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R/K와 Retinoscope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하고 Prism bar를 이용하여 타각적 사시각을 측정한 후에 마지막으로 Synoplophore을 이용하여 자각적 사시각과 타각적 사시각을 측정하여 이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Synoptophore를 이용한 자각적 사시각과 Prism bar를 이용한 타각적 사시각은 $2.6{\pm}2.5{\Delta}$, Synoptophore를 이용한 자각적 사시각과 타각적 사시각은 $0.7{\pm}1.4{\Delta}$, Synoptophore를 이용한 자각적 사시각과 타각적 사시각들의 평균에서는 $1.7{\pm}1.8{\Delta}$의 차이를 나타냈고 이들 모두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결론: 타각적 사시각 뿐 아니라 자각적 사시각 측정을 병행하여 이상망막대응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사시각 측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 폰 기반 Self-Tour 서비스 기술 연구 (Self-Tour Service Technology based on a Smartphone)

  • 배경율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147-157
    • /
    • 2010
  • 아이폰의 등장과 함께 스마트 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통신사업자를 통해야만 가능했던 다양한 서비스가 스마트 폰을 통해서 직접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가능해졌다. 전세계적으로 해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관광가이드 없이 자신의 노력으로 여행을 다니는 개인관광객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이 개인적으로 여행을 즐기기에는 언어소통이나 제공되는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폰이 탑재하고 있는 GPS와 WiFi 또는 3G 무선망을 통해서 사전에 설정된 관광 정보 카테고리에 따라서 관광객의 위치에 따른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관광객의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서비스는 인사동을 대상으로 시험하였으며, 사용자의 선택과 같은 불편함 없이 주변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광에 대한 편의성을 최대한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