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ning

검색결과 1,168건 처리시간 0.021초

QRS검출을 위한 Adaptive Filter (Adaptive Filtering for QRS Detection)

  • 이순혁;전영일;최경훈;윤형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70
    • /
    • 1993
  • matched filter는 신호와 잡음의 통계적 값을 알고 있을 때 신호대 잡음비를 최대로 하는 filter이다. 그런데, matched filter가 최적화 되려면 잡음이 white noise이어야한다. 그러나 ECG신호에 존재하는 잡음은 여러가지 성분이 공존하는 서로 연관되어있는 잡음이다. 따라서 whitening filter를 사용하여 잡음을 whitening시킨후에 matched filter를 통과 시켜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QRS complex를 검출하기 위한 matched filter에 있어서 LMS방법을 이용한 linear whitening filter와 neural network을 이용한 non-linear whitening filter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갈근, 복령 및 황련의 항산화성 및 미백효과 (Antioxidative Property and Whitening Effect of the Pueraria Radix, Poria Cocos and Coptidis Rhizoma)

  • 김일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9-225
    • /
    • 2008
  • In order to fine antioxidant and whitening agent source from nature, the comparison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ere carried out for various ethanol extract on Pueraria Radix, Poria Cocos, and Coptidis Rhizoma. Comparing for three ethanol extracts,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found at Poria Cocos (81.2%), but, the highest SOD-like ability, at the Coptidis Rhizoma(58%). Xanthine oxidase experiment exhibited 23.3% of hindrance effect in Pueraria Radix, and 79.3% in Poria Cocos. To evaluate at the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conduct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detected at 17.9% in the Puerariae Radix, 5.2% in the Poria Cocos and 83.3% in the Coptidis Rhizoma.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ethanol extracts from Pueraria Radix, Poria Cocos, and Coptidis Rhizoma can be used for cosmetic ingredients.

천연추출물을 함유한 세치제의 치아미백효능에 대한 임상적 실험 연구 (A clinical experimental study on tooth whitening effectiveness in toothpaste of containing natural extracts)

  • 윤현서;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9
    • /
    • 2018
  • Objectives: Despite a rise of an interest in tooth whitening, diverse problems are being caused in case of hydrogen peroxide that is being used as a tooth bleaching agent. Thus, the aim was to examine tooth whitening effectiveness using natural products as a plan for supplementing this. Methods: As a result of having measured a tooth color through using VITA Easyshade V after having developed toothpaste with the application of extracts such as Citrus Peels,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strawberry, and lemon, and then having used it for 10 weeks, they are as follows. Both upper and lower 6 anteriors mostly got brighter.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especially in the right canine (p=0.015), in the right central incisor (p=0.007), and in the left central incisor (p<0.001). In consequence of having measured a color change, the tooth got brighter gradually in the higher extract content and in the lengthier use time. In case of canine, it got less bright compared to other teeth. In the outcome of evaluating sensuality, most of the questions were indicated to be high in case of using a whitening toothpaste for 10 weeks. But in what "there is no stickiness in the mouth, the stickiness was more felt in the use up to 5 weeks, but was improved in 10 weeks. Conclusions: The bleaching effectiveness was proved by developing a toothpaste with the application of natural extracts. A short-term effect cannot be seen like a whitening agent of using hydrogen peroxide. But there is a continuous effect in consideration of tooth-brushing more than 3 times a day.

재사용이 가능한 MFB로부터 Aromatic Ester가 도입된 4,4'-Di((E)-styryl)-1,1'-biphenyl의 골격을 갖는 새로운 Fluorescent Whitening Agent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ew Fluorescent Whitening Agent with 4,4'-Di((E)-styryl)-1,1'-biphenyl Skeleton Attached with Aromatic Ester from Recyclable Source MFB)

  • ;김석찬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03-306
    • /
    • 2018
  • DMT 생산과정의 부산물로서 폐기 처리되어 왔던 methyl 4-formylbenzoate (MFB)를 출발 물질로 하여 고급 형광 증백제 family와 동일한 4,4'-di((E)-styryl)-1,1'-biphenyl 기본 골격을 갖고 aromatic ester가 도입된 새로운 형광 증백제(fluorescent whitening agent) 후보 물질 6종을 합성하였다. 후보 물질 6종은 MFB 및 그의 유도체와 tetraethyl biphenyl-4,4'-diylbis(methylene)diphosphonate와 Wittig-Horner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6종에 대하여 형광증백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UV 스펙트럼을 기록하여 흡광 계수를 얻었으며, 6종 모두 전반적으로 기존 상용 제품(log ${\varepsilon}$ 4.85)과 유사한 몰 흡광 계수(log ${\varepsilon}$ 4.59~5.00)를 보여주고 있다. 특별히 화합물 디메톡시 페닐그룹을 갖는 16, 17은 기존 상용 제품보다 우수한 몰흡광 계수를 나타내고 있어 상용화를 위한 현장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PCA 표상을 이용한 강인한 얼굴 표정 인식 (Robust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PCA Representation)

  • 신영숙
    • 인지과학
    • /
    • 제16권4호
    • /
    • pp.323-331
    • /
    • 2005
  • 본 논문은 조명 변화에 강인하며 중립 표정과 같은 표정 측정의 기준이 되는 단서 없이 다양한 내적상태 안에서 얼굴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개선된 시스템을 제안한다. 표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백색화(whitening) 단계가 적용되었다. 백색화 단계는 영상데이터들의 평균값이 0이며 단위분산 값으로 균일한 분포를 갖도록 하여 조명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줄인다. 백색화 단계 수행 후 제 1 주성분이 제외된 나머지 주성분들로 이루어진 PCA표상을 표정정보로 사용함으로써 중립 표정에 대한 단서 없이 얼굴표정의 특징추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험 결과는 또한 83개의 내적상태와 일치되는 다양한 얼굴표정들에서 임의로 선택된 표정영상들을 내적상태의 차원모델에 기반한 얼굴표정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하고 자연스런 얼굴 표정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산약의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ERK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Dioscoreae Rhizoma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and ERK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이수연;유단희;주다혜;이진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5-100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and developing by cosmetics of the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health-promoting herb in herbal medications.Methods : We performe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for whitening effects. Also we measured MTT assay for cell viability.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For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more than 42.28% at 1,000 ㎍/㎖ concentration. Cell toxicity effect on melanoma cells (B16F10)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81.97% with toxicity at 50 ㎍/㎖ concentration. So we were measured at a concentrations of 5, 10 and 50 ㎍/㎖ in all experiments involving cell. In addition, whitening related mRNAs including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tyrosinase were reduced byDioscoreae Rhizoma. We also foundDioscoreae Rhizomatransiently decreased protein kinase A (PKA) which is known to be upstream to the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 But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lated kinase (pERK) were increased byDioscoreae Rhizoma. These results imply thatDioscoreae Rhizomadecrease melanogenesis via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Conclusions : Therefore, 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otent usage ofDioscoreae Rhizomaas materials of functional cosmetics by confirming whitening activity related with melanin content.

재사용이 가능한 methyl 4-formylbenzoate로부터 4,4'-di((E)-styryl)-1,1'-biphenyl 골격 구조를 갖는 새로운 형광증백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ew Fluorescent Whitening Agent with 4,4'-Di((E)-styryl)-1,1'-biphenyl Skeleton from Recyclable Source MFB)

  • 정헌주;양윤승;김석찬
    • 공업화학
    • /
    • 제28권3호
    • /
    • pp.294-298
    • /
    • 2017
  • Dimethyl terephthalate (DMT) 생산과정의 부산물로서 폐기 처리되어왔던 methyl 4-formylbenzoate (MFB)를 출발 물질로하여 고급 형광증백제 family인 Uvitex FP와 동일한 4,4'-di((E)-styryl)-1,1'-biphenyl 기본 골격을 갖는 새로운 형광증백제(fluorescent whitening agent) 후보 물질 6종을 합성하였다. 후보 물질 6종은 MFB 및 그의 유도체와 tetraethyl biphenyl-4,4'-diylbis(methylene) diphosphonate (3)와 Wittig-Horner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6종에 대하여 형광증백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UV spectrum을 기록하여 몰흡광 계수를 얻었으며, 6종 모두 Uvitex FP 127(log ${\varepsilon}$ 4.85)보다 낮은 몰흡광 계수(log ${\varepsilon}$ 3.95~2.60)를 보임으로서 형광증백제로는 적합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 시공간 부호를 위한 백색화 과정을 이용한 계층화 수신기 (The Layered Receiver Employing Whitening Process for Multiple Space-Time Codes)

  • 임은정;김동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3호
    • /
    • pp.15-18
    • /
    • 2005
  • 다중 시공간 부호는 여러 개의 시공간 부호로 이루어져 있어서 대역폭 확장없이 디버시티 이득과 부호화 이득 뿐 아니라 높은 전송률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중 시공간 부호를 복호하기 위해서 백색화 과정(whitening process)을 이용한 계층화 수신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수신기는 복호 순서를 결정하는 블록과 계층화 복호를 하는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백색화 과정은 계층화 복호과정에서 수신 디버시티 이득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다. 이 수신기는 기존의 MMSE를 이용한 계층화 수신기 구조에 비해 디버시티 이득을 더 얻을 수 있어서 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부호화된 BLAST보다 $10^{-2}$의 FER에서 5dB 이득을 얻는다.

복합해조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활성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Seaweeds Mixture Fermentation Extracts)

  • 강세원;김은지;정유린;고해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7-334
    • /
    • 2018
  • 조류 소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역, 다시마, 불등가사리 등 해조류를 혼합한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보습의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산균으로는 김치유산균 Lactobacillus sakei균주를 이용하였다. 복합해조류 발효추출물의 생리활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양성대조군 보다 높은 저해효능을 보였다. 미백효능 실험에서는 3,4-dihydroxy-L-phenylalanine (L-DOPA), mushroom tyrosinase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발효 전보다 발효 후의 미백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해조류 소재의 유효성분인 fucose에 대한 HPLC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용매조건에 대한 표준화 방법을 새로이 정립하였다. 이 연구는 복합해조류 추출물이 항산화, 미백 등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