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leachat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백색침출수 용출지역의 수리지질학적 고찰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eepage area of white leachate)

  • 김만일;박영규;김을영;김양빈;용환호;지원현
    • 지질공학
    • /
    • 제20권4호
    • /
    • pp.381-390
    • /
    • 2010
  • 본 연구는 백색침출수 용출구간에 대한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표지질조사를 통해 지질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백색침출수 용출구간의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 공내촬영을 통해 암반의 불연속면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내 백색침출수 용출지점을 중심으로 갈수기와 풍수기로 구분하여 강우사상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을 시추공별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백색침출수 용출구간에서의 전기비저항 특성은 비용출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심부에 파쇄대 내지 석회암 공동대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들 지역에서의 강우사상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을 지하수 유형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강우가 직접적으로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일평균 유출량과 강우량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0.83~0.97로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색부후균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색도 제거 (Decolorization of Landfill Leachate by White-Rot Fungi)

  • 김현영;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48
    • /
    • 1997
  • 여러가지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생분해능을 지닌 백색부후균에 의한 매립지 침출수의 탈색을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분리한 Coriolus versicolor KR-11W와 Irpex lacteus KR-39W가 이제까지 주로 연구되어 온 Phanerochaete chrysosporium보다 높은 탈색능을 나타내었는데 I. lacteus KR-39W는 산소공급시 10%의 침출수가 함유된 YMG 배지의 진탕배양에서 85%의 색도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최소배지에서도 80%의 탈색율을 보였다. P. chrysosporium에 의한 리그닌 분해능 및 분해효소 생성 보고들과 달리 진탕배양이 정치배양보다 탈색능이 높았으며 산소공급은 색도제거에 증가효과가 있었다. 균체 접종량(10-30%)과 온도(25,37.deg. C)는 탈색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는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리그닌 분해효소군의 여러 가지 inducer와 cofactor를 C. versicolor KR-11W 배양에 첨가한 결과 많은 경우 균접종 대조군보다 2배 이상의 탈색율과 lignin peroxidase 활성의 증가를 보였으며 FeS $O_{5}$ 첨가시에는 최대 2.9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탈색에 관여하는 효소군은 접종물에 이미 어느 정도 존재할 수 있으며 배지 및 배양조건에 따라 그 생성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런 조건들을 잘 맞출 경우 보다 높은 탈색능이 기대된다.

  • PDF

잣나무 임분에 있어서 강우수질의 이동 특성 (Water Chemistry Profiles under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Stand)

  • 진현오;정덕영;이충화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0-118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vertical transport trend of dissolved elements through throughfall, stemflow, effluent from Ao layer, and leachate out of soil profile on Pinus koraiensis stand in Experimental Forest of Kyunghee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Kyunggi province for 12 months from July, 1998 to Jun, 1999.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dissolved elem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ater chemistry concentrations separately collected from the field. Water movement in the process of throughfall and stemflow from precipitation, and rainfall leached from Ao layer into soil water was governed by concentration of through fall, precipitation, rainfall intensity, seasonal variation, and other factors. Also, smaller changes of pH in soil water than that of dissolved elements in soil water could contribute buffer capacity, as well as balancing the concentration between cations and an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