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and red muscl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Red Muscle과 White Muscle의 근섬유간 지방질의 조성 비교 (Comparison of Intramuscular Fat Composition of Red Muscle and White Muscle)

  • 양융;김기태;신완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5-510
    • /
    • 1989
  • 1. 섬유간 지방질 함량은 소와 닭의 근섬유의 경우에는 white muscle보다 red muscle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돼지 근섬유의 경우에는 white muscle쪽이 높았다. 2. 근섬유간 지질의 분포를 살펴보면 중성지질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극성지질과의 조성비에 있어서는 동물의 종 및 muscle type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 지방관의 조성에 있어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비가 두 muscle type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돼지의 근섬유간 지방질에는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 PDF

Red muscle myosin과 White muscle myosin의 생물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Myosin ATPase Activities from Red Muscle and White Muscle)

  • 신완철;오두환;진흥승;김기태;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1-186
    • /
    • 1986
  • 소의 근육과 닭의 근육으로부터 각각 myosin을 추출, 정제하고 그 생물활성의 특징을 fiber type에 따라 비교 하였다. Myosin의 Ca-ATPase활성, EDTA-ATPase 활성 및 PH에 따른 활성도의 변화는 소의 경우 fiber type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닭의 경우 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trypsin에 의한 myosin의 가수분해율에서 fiber type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즉, 소의 myosin에서는 white muscle쪽이 가수분해율이 높았으나 닭의 myosin에서는 red muscle쪽이 가수분해율이 높았다. 또한 근원섬유단백질의 기질친화성 및 탈인 산속도도 동물의 종류 및 fiber type에 따른 차이를 확연하게 보이고 있었다. Ethanol의 농도에 따른 myosin ATPase활성의 중감효과는 동물의 중류 및 fiber type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HMM ATPase 활성은 유전항수의 변화에 대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근섬유간 지질의 산패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Intramuscular Lipid Oxidation in Porcine Muscle)

  • 양융;이형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4
    • /
    • 1991
  • 골격근의 longissimus dorsi근(white muscle) 및 soleus근(red muscle)과 심장근(cardiac muscle)의 근섬유간 지질의 산패량과 각종 영향인자의 첨가효과를 비교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질의 산패량은 white muscle>red muscle>cardiac muscle의 순이었으나, 지질함량으로 보정된 산패량에는 white muscle과 red muscle사이에 차이가 없으며, 따라서 지질 산패량은 근육의 지질함량에만 지배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오글로빈은 근섬유의 산패에 대하여 현저한 촉진작용을 나타내었으나, 근섬유의 함량차이(white muscle 1%, red muscle 5%)에 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산패 억제기능의 아질산염과 산패 촉진기능의 식염이 적정량 함유된 건조 육제품이 진공포장된 경우 지질 산패량은 전 유통기간에 걸쳐 품질저하의 주요원인이 되지 않았다.

  • PDF

Red muscle과 White muscle의 근원섬유단백질의 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yofibrillar Proteins from Red Muscle and White Muscle)

  • 양융;신완철;오두환;진홍승;김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3-180
    • /
    • 1986
  • 근섬유의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red muscle과 white muscle로 부터 myofibril과 actomyosin을 각각 조제하고 그 생물활성 및 SDS-polyacrylamide gel전기 영동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동물의 중류에 따른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의 근육과 닭의 근육을 비교하였다. Myofibril의 SDS-polyacrylamide gel 전기 영동상으로 부터 red muscle은 white muscle보다 30K성분의 함량이 높다는 사실을 알았다. 소의 근육과 닭의 근육은 actomyosin ATPase활성의 이온강도의존성 및 ATPase activity-pH curve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이차원전기영동법을 이용한 white muscle과 red muscle간의 단백질 발현양상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uscle Proteome from Porcine White and Red Muscles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 김남국;조중호;추교선;박혜란;박범영;김언현;이창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31-738
    • /
    • 2003
  • 근육의 생화학적 특성을 단백질 수준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3원교잡종 돼지 3개체를 선발하고, white muscle은 longissimus dorsi muscle을 red muscle은 soleus muslce을 분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각 근육조직은 수용성, 불수용성 단백질 및 총단백질로 분리하여 추출하였고, 이차원전기영동 분석을 위하여 17cm 길이의 immobilized pH gradient strip (Bio-Rad, 3-10NL)과 12% 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개하였다. 각각의 gel은 coomassie stain과 silver stain을 통하여 가시화 하였고, PDQuest software을 통하여 단백질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하나의 gel에서 평균 600개 이상의 단백질 spot을 관찰하였으며, 반복실험을 통하여 white muscle과 red muscle간에 발현의 차이를 보이는 5개의 단백질 spot을 확인할 수 있었다. 5개의 spot 중 4개의 단백질은 측정된 분자량과 pI값이 troponin I, T 및 myoglobin의 수치값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1개의 spot은 오차범위 내에서 유사한 단백질을 확인할 수 없었다. 5개의 단백질 spot중 1개(spot 1)는 white muscle에서, 4개의 spot(spot 2~5)은 red muscle에서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pot 4의 경우 white muscle 보다 red muscle에서 평균 14.6배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근육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white muscle과 red muscle의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수준에서의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orcine Myofibrillar Protein에 대한 비교생화학적 연구 (Comparative Biochemical Study on the Myofibrillar Proteins from Porcine Muscle)

  • 양융;박현주;김영호;진홍승;신완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43-449
    • /
    • 1986
  • 근원섬유구성단백질의 SDS-polyacrylamide gel 전기 영동상으로 부터 돼지근육의 red muscle과 while muscle의 근원섬유단백질사이에는 30K성분함량의 특징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물활성에서도 red muscle쪽이 white muscle쪽보다 높은 ATP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근원섬유단핵질의 열안정성은 D값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여 white muscle쪽이 red muscle쪽보다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냈고, 열역학량에서도 근섬유 type간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근원섬유단백질의 열안정성은 생체조직에 가까운 형태일수륵 안정하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 PDF

Red muscle과 white muscle의 근원섬유단백질의 열안정성 (Thermostability of Myofibrillar Proteins from Red Muscle and White Muscle)

  • 양융;신완철;오두환;진홍승;김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6-233
    • /
    • 1986
  • 근원섬유단백질의 열안정성에 대한 pH의 영향에 있어서 소의 근육의 경우에 fiber type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닭의 근육의 경우에는 fiber type에 따라 안정 pH 범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편, 이온강도 및 유기용매의 농도변화에 따른 영향에 있어서는 이온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유기용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변성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actomyosin의 열안정성이 myosin과 HMM의 열안정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안정성에 대한 열역학량$(D\;value,Z\;value,\;{\Delta}H^{\ddag},\;{\Delta}S{\ddag},\;{\Delta}G^{\ddag})$은 red muscle과 white muscle 사이에 명백한 차이를 보였으며 white muscle이 red muscle보다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동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담수어와 해수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의 열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hermostability of Myofibrillar Proteins from Fresh Water Fish and Sea Water Fish)

  • 신완철;송재철;최석영;홍상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4-578
    • /
    • 2001
  • 담수어인 향어와 해수어인 방어의 white muscle과 red muscle로 부터 근원섬유단백질을 조제하여 생육 환경조건이 다른 어류의 근원섬유단백질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고자 myofibrillar protein ATPase 활성에 대한 온도의 존성과 열안정성을 실험하였다. 향어와 방어 근원섬유단백질의 기질친화도와 $V_{max}$ 값에 있어서는 향어가 방어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고, 활성에 대한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에 따른 영향에 있어서는 myofibril의 경우 red muscle이 white muscle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actomyosin의 경우에 있어서는 향어가 4$0^{\circ}C$에서도 활성증가를 나타낸 반면에 방어는 45$^{\circ}C$, 5$0^{\circ}C$와 같이 반응시간에 따른 활성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향어가 방어보다 그리고 white muscle이 red muscle에 비해 높은 반응생성물을 나타내었다. 열안정성에 대한 열역학량(D value, Z value, )은 muscle 종류간 그리고 환경이 다른 어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향어와 방어 둘다 white muscle이 red muscle에 비해 안정하였으며, 향어 myofibrillar protein이 방어 myofibrillar protein보다 열에 안정한 값을 보여 환경조건이 열안정성에 차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reen Tea Maintains Antioxidative Defense Enzyme Activities and Protects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Rat Gastrocnemius Muscles After Aerobic Exercise

  • Chai, Young-Mi;Rhee, Soon-J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77-382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een tea on the muscl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the white & red gastrocnemius muscles of rats after aerobic exercis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50 10 g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non-exercise with green tea group (G group), and exercise training group. The exercise training group was then further classified as the training (T) group and training with green tea (TG) group, the latter of which was supplemented with green tea in the drinking wate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ats in the exercise training groups (T and TG) were subjected to aerobic exercise on a treadmill 30 min/day at a speed of 28 m/min (7% incline) 5 days/week, while the other groups (control and G group) were cage confined for 4 weeks. Thereafter, the rats were sacrificed with an injected overdose of pentobarbital just after running. In the white muscle, the xanthine oxidase (XOD) activities were 71 % higher in the T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whereas the TG group had the same activity as the control group. The XOD activities in the red gastrocnemius muscle exhibited the same tendency as in the white muscle.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 the white muscle was lower in the 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ye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G group compared with the T group. The SOD activities in the red gastrocnemius muscle exhibited the same tendency as in the white gastrocnemius muscle. Th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ies in the white & red gastrocnemius muscles were 43 % lower in the 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yet the activities in the TG group remained at control levels.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in the white musc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ny of the three groups, but in the red gastrocnemius muscle, the TG group had the same activity as in the control group.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s in the white & red gastrocnemius muscles were higher in the T group than in the control but the control and TG groups had the same concentrations of TBARS. In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green tea in rats subjected to aerobic exercise was found to reduce the peroxidation of muscle lipids by enhancing the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전기자극이 흰쥐의 정상 가자미근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Normal Soleus Muscle in Rat)

  • 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6권1호
    • /
    • pp.61-74
    • /
    • 1994
  • 전기자극이 흰쥐의 정상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좌골신경의 표적근인 가자미근을 이용하여 조직계측학적, 조직화학,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하였다.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흰쥐의 골격근을 매일 전기자극한 결과 전기자극군은 자극을 시작한 후 2주까지는 근섬유의 굵기와 무게가 증가하고 그 이후로는 큰 변화가 없었다. 특히 근섬유의 종류별로는 적색섬유(red muscle fiber)의 채적밀도가 증가하였고 백색섬유(white muscle fiber)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조직화학적 검사 결과 전기자극군은 근섬유가 다소비대(hypertrophy)해지고 내근주막과 외근주막 사이가 좁아져 있었다. 정상근에서는 당원이 근섬유의 뚜렷한 구별없이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실험군은 특정 근섬유에만 반응이 나타났었다. 또한 NADH-TR반응 결과 전기자극군은 적색섬유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생체계측학적 결과와 일치하였고 미세구조적 관찰 결과 정상근의 적색섬유는 근섬유와 평행으로 mitochondria가 형성되어 있었고 백색섬유에서는 근절부위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기자극군에서는 적색섬유는 근초부위에 mitochondria가 많이 관찰되고 백색섬유도 근절부위에 작은 mitochondria의 수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