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Sea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도 우도 지역 내 지질유산의 다양성과 가치 (Natural Heritage Values and Diversity of Geoheritages on Udo Island, Jeju Province)

  • 우경식;윤석훈;손영관;김련;이광춘;임종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290-317
    • /
    • 2013
  • 우도 내에 분포하는 여러 지질명소에 대해 자연유산적 학술적 가치를 조사하여, 이들의 보전가치와 세계자연유산으로서의 자격을 평가하였다. 우도는 작은 제주도라고 불릴 만큼 제주도 섬 내에 나타나는 다양한 지질유산적 특징을 가진다. 우도 내에는 우도를 형성한 수성화산체인 소머리오름과 소머리오름이 만들어지면서 형성된 여러 화산지형이 분포한다. 이들은 수성화산 분출에 의해 형성된 응회구와 그 위에 흐른 용암, 그리고 용암 내에 발달되어 있는 용암동굴과 화산 분화 후 재동되어 퇴적된 화산쇄설물이다. 플라이스토세에 이르러 수십 차례에 걸쳐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호하면서 우도는 섬과 육지환경이 계속적으로 반복해 왔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 이후에 해수면이 현재와 같이 상승한 약 6000년 전부터 우도 주변의 천해환경에서는 많은 탄산염 퇴적물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우도와 제주도 사이에 존재하는 수심이 20m 이내의 넓은 천해환경은 홍조단괴가 만들어지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현재에도 많은 홍조단괴가 자라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홍조단괴는 태풍에 의해 지속적으로 해안가로 운반되어 홍조단괴로만 이루어져 세계 유일이라고 판단되는 해빈퇴적물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이 해빈퇴적물은 전통적으로 학계에 알려진 해빈퇴적물과는 그 성인적 측면에서 구별된다. 전형적인 해빈퇴적물로는 탄산염 퇴적물로만 이루어진 하얀 모래의 하고수동 해빈, 화산쇄설물이 침식되어 퇴적된 검은 모래의 검멀레 해빈, 그리고 주변의 현무암이 침식되어 커다란 자갈로만 이루어진 톨칸이 해빈이 나타난다. 과거 바람에 의해 탄산염 해빈퇴적물이 육지로 운반되어 형성된 사구층이 나타나며, 우도의 북쪽 해안가 세배곶 지역에는 전형적인 해빈의 형성과 태풍의 영향으로 퇴적된 복합적인 성인을 가진 퇴적물도 나타난다.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진 퇴적층을 따라 발달한 해안 절벽에는 파도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식동굴이 여러 개 발견된다. 특히 수심 10m 부근에 나타나는 수중 해식동굴은 해수면의 변화를 반영하는 뛰어난 지형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우도의 다양한 지질유산은 우도가 매우 뛰어난 지질다양성을 보여주는 장소임을 지시한다. 전 세계에서 우도의 홍조단괴 해빈과 같이 거의 모든 퇴적물이 홍조단괴로만 이루어진 지역은 매우 드물며, 수중폭발에 의해 형성된 소머리오름은 제주도 내에 나타나는 다른 수성화산체인 성산일출봉, 수월봉, 송악산, 용머리 등과 함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될 자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홍조단괴 해빈은 국가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나 그 지정 지역 밖에도 더 넓은 지역에 홍조단괴가 형성되고 있으므로 보전지역의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소머리오름도 그 지질유산적 가치의 보전을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자숙 가다랑어뼈로부터 칼슘제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of calcium powder from cooking skipjack tuna bone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진수;조문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8-163
    • /
    • 2000
  • 참치 통조림 부산물인 자숙 가다랑어뼈를 칼슘제로 이용하기 위하여 칼슘추출조건 (추출방법 및 시간) 및 그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량의 지질이 혼재한 자숙 가다랑어뼈로부터 칼슘제로 제조하기 위한 추출방법으로는 회화처리가 고온가압처리 및 진탕 처리보다 어취가 없으면서 백색을 나타내어 적절하였고, 백색도 및 칼슘 가용화율로 미루어 회화처리 최적조건은 $900{\circ}C, 15분$이었다. 최적조건에서 회화처리한 칼슘제의 응집은 진탕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여 16시간에 $86.1{\%}$로 최고에 달하였고, 용액 pH가 산성조건 (pH 2-5)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중성조건 (pH 6-8)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최대에 이르렀고, 알칼리조건 (pH 9-11)에서는 중성조건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최적조건에서 처리한 칼슘제의 경우도 중성부근에서는 가용화율이 낮아 기능성 개선제 또는 고차 수산가공품의 탄력 증강 등과 같은 품질개선제로 이용되기 위하여는 용해도 개선을 위한 적절한 처리가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굴비" 제조과정중의 지방의 이동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S OF FAT TRANSLOCATION IN THE TISSUE OF YELLOW CORVENIA DURING SALTING AND DRYING)

  • 변재형;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3-71
    • /
    • 1968
  • "굴비" 제조과정중 근섬유의 변화와 지방의 분포 및 이동상태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조기는 진피 밑에 피하지방층이 있으며, 혈합육이 지방조직으로 둘러 쌓여 있는 곳이 많다. 대부분의 지방질은 피하지방층에 축적되어 있고, 백색육에는 거의 지방이 분포하지 않았다. 또한 혈합육과 백색육간에 결체조직으로 경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떤 부위에는 혈합육과 백색육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것 등이 특징이었다. "굴비" 제조과정중 염장공정중에는 피하지방의 일부가 결체조직이나 근섬유간을 통로로하여 침투되어 들어간다. 그러나 건조공노중 침투된 지방은 결체조직을 따라 이동하여 복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굴비"의 심부백색육에는 거이 지방이 분포하지 않았다 . BHA 처리 "굴비"는 지방의 이동속도가 늦어, 내부에 침투된 지방이 상당양 그대로 잔존하였다. 그리고 "굴비"의 근육조직은 각섬유가 씨로 밀착하여 경계가 뚜렷하지 않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굴비" 제품중에는 상당량 지방이 주로 피하지방층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실험에 있어, 조개표본을 제작하는데 편의를 보아주신 부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박 해춘하 재청 양교수 그리고 현징경 사진촬영을 도와 주신 국립수산진흥원 김 성준 연구관, 김 복원 연구교사 몇 많은 조언을 주신 부산수산대학 김장양 교수, 신필현 교수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 PDF

2018년 국내 연근해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 (Disease monitoring of wild marine fish and crustacea caught from inshore and offshore Korea in 2018)

  • 황성돈;이다원;천원주;전해련;김동준;황지연;서정수;권문경;지환성;김정년;지보영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74-482
    • /
    • 2019
  • 자연수계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은 자연수계 및 양식 수산생물의 질병 관련성 및 상관관계 구명은 질병 발생 예방 및 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8년 해구 64개소에서 어류 39종 977마리 및 갑각류 14종 287마리를 선정하여 총 1,264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어류는 법정전염병 2종(VHS, RSIVD) 및 비법정전염병 3종(MABVD, HRVD, LCD)을 분석하고 갑각류는 법정전염병 6종(WSD, IHHN, TS, IMN, YHD, WTD)을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전염병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조사한 자연수계 수산생물이 무병하여 청정국 또는 청정지위 선언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한국 여수에서 채집된 매가오리과 (Myliobatidae) 어류 첫기록종, Mobula thurstoni (First Record of the Smoothtail Mobula, Mobula thurstoni (Myliobatiformes: Myliobatidae) in Southern Korea)

  • 명세훈;송영선;강충배;최홍인;김종관;윤문근;임재복;한동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8-154
    • /
    • 2021
  • 매가오리목 매가오리과에 속하는 Mobula thurstoni 2개체(1770~1850 mm 체반폭)가 2018년 9월 전라남도 여수시 연도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가슴지느러미의 앞부분이 이중 굴곡이고, 등지느러미 바로 뒤 꼬리 시작부분에 가시가 없으며, 등지느러미 끝부분에는 흰색이고, 그리고 등쪽의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 Mobula kuhlii와 가장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가슴지느러미 앞부분에 이중 굴곡을 가지고 있다는 점(vs. 직선이거나 약간의 굴곡을 가진다)과 등쪽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는 점(vs. 회갈색)에서 잘 구분된다. 또한, 이 종은 M. kuhlii와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영역에서 유전적 거리 0.030~0.069의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이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매끈꼬리쥐가오리'를 제안한다.

식품 중 조단백질 정량을 위한 켈달법과 듀마스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crude protein contents obtained utilizing the Kjeldahl method and Dumas combustion method in foods)

  • 황선혜;구민선;조새롬;조용선
    • 분석과학
    • /
    • 제33권3호
    • /
    • pp.143-1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곡물, 육류, 해산물, 채소류등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켈달법(Kjeldahl method)과 AOAC에 등재되어 있는 듀마스법(Dumas method)을 이용하여 조단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시험법에 대해 총 31종의 시료를 3회 반복 시험한 결과 대부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곡물류의 경우 백미를 포함 총 9 종을 분석하였고, 켈달법과 듀마스법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correlation coefficient가 0.994, p-value는 0.956로 두 결과값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 9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이 0.9725, p-value는 0.947, 해산물 5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0.9879, p-value는 0.761, chemical시료 3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985, p-value는 0.997, 채소류 4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873, p-value는 0.727로 시료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켈달법과 듀마스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의 경우 시료의 균질성이 좋지 않아 소량을 칭취하여 분석해야 하는 듀마스법에서 재현성이 좋지 않았다. 다만 시료 중 질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소류의 경우 켈달법을 이용하여 분석시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듀마스의 결과보다는 낮은 함량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듀마스 법의 경우 약 0.1 g의 적은 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분석시 시료의 균질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두 시험법 모두 순단백질을 직접 정량하는 것이 아닌 질소 분석을 바탕으로 단백질 함량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샘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종 24년 진찬의궤 찬문에 대한 분석적 연구 (A Review Study of the Royal Bangquet menu on the 24th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 한복진;황혜성;한복려;김상보;이성우;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59-276
    • /
    • 1991
  • The review of side dishes, oereal dishes and seasonings of the banquet on the 24th year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en kinds of soups(=Tang), that is Yyolguja Tang$.$Guja Tang$.$Keumjung Tang$.$Whanja Tang$.$Jap Tang$.$Gol Tang$.$Seunggiwa Tang$.$Jeopo Tang$.$Haesam Tang$.$Yang Tang were served. The most frequently served soup among them was Yyolguja Tang. 2. Various kinds of dried meat/fish were piled up most highly among dishes. Sliced beef and minced beef among dried meats, white cud$.$yellow cud$.$flatfish$.$skate$.$shark$.$octopus$.$dried abalone$.$cuttle fish$.$dried scallop were piled up together. 3. Sliced of boiled beef/pork and gelatined knuckles were assorted. Boiled meat which was made of beef, pork, lamb, liver, stomach, brisket and plat flank of caw was chiefly used for boiled beef, hams for boiled pork, mediumsized lamb for boiled lamb. And the legs and stomach of caw, old chicken, mullet were used for gelatined knuckle. 4. Three kinds of pan-frying dishes that was stomach and liver of caw, and mullet were usually piled up, If one kind in one dish, sea cucumber and mullet were used respectively. 5. Boiled abalone was dried abalone with soaked, sliced and boiled down in soysauce. 6. Roasted dish was usually made of assorted food stuffs. Sometimes chicken an pheasant was used for roasted dish. 7. Steamed dish was like this : assorted beef, fresh abalone, sea cucumber, mullet, young pork, chicken, dried abalone. 8. Raw dish was made of intestine of caw, fresh abalone and mullet. 9. Poached egg was serving decorated with red pepper, pine-nut and green onion. 10. Seasoned green-been-jelly was served only one time. 11. Radish kimchi was served only one time. 12. Chief foods were nuddle and stuffed bun. 13. Served seasings were honey, mustard, soysauce with vinegar, salt. Review from banquet menu, 34 kinds of side dishes were served : 10 kinds of soup, dried fish/meat, boiled beef, boiled pork, gelatined knuckle, 5 kinds of panfrying, boiled-down-abalone in soysauce, 3 kinds of roast, 5 kinds of steamed, 3 kinds of raw dishes, pouched egg, green-bean-jelly, kimchi. 4 kinds of chief foods were served : nuddle, dry nuddle, 2 kinds of dumping.

  • PDF

Landscapes and Ecosystems of Tropical Limestone: Case Study of the Cat Ba Islands, Vietnam

  • Van, Quan Nguyen;Duc, Thanh Tran;Van, Huy Din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1호
    • /
    • pp.23-36
    • /
    • 2010
  • The Cat Ba Islands in Hai Phong City, northern Vietnam, consist of a large limestone island with a maximum height of 322 m above sea level and 366 small limestone islets with a total area of about $180\;km^2$. The islands are relicts of karst limestone mountains that became submerged during the Holocene transgression 7000 - 8000 year ago. The combination of the longtime karst process and recent marine processes in the monsoonal tropical zone has created a very diversity landscape on the Cat Ba Islands that can be divided into 3 habitat types with 16 forms. The first habitat type is the karst mountains and hills, including karst mountains and hills, karst valleys and dolines, karst lakes, karst caves, and old marine terraces. The second habitat type is the limestone island coast, including beaches, mangrove marshes, tidal flats, rocky coasts, marine notch caves, marine karst lakes, and bights. The third habitat type is karst plains submerged by the sea, including karst cones (fengcong) and towers (fengling), bedrock exposed on the seabed, sandy mud seabed, and submerged channels. Like the landscape, the biodiversity is also high in ecosystems composed of scrub cover - bare hills, rainy tropical forests, paddy fields and gardens, swamps, caves, beaches, mangrove forests, tidal flats, rocky coasts, marine krast lakes, coral reefs, hard bottoms, seagrass beds and soft bottoms. The ecosystems on the Cat Ba Islands that support very high species biodiversity include tropical evergreen rainforests, soft bottoms; coral reefs, mangrove forests, and marine karst lakes. A total of 2,380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the Cat Ba Islands, included 741 species of terrestrial plants; 282 species of terrestrial animals; 30 species of mangrove plants; 287 species of phytoplankton; 79 species of seaweed; 79 species of zooplankton; 196 species of marine fishes; 154 species of corals; and 538 species of zoobenthos. Many of these species are listed in the Red Book of Vietnam as endangered species, included the white-headed or Cat Ba langur (Trachypithecus poliocephalus), a famous endemic species. Human activities have resulted in significantly changes to the landscape end ecosytems of the Cat Ba islands; however, many natural aspects of the islandsd have been preserved. For this reason, the Cat Ba Islands were recognized as a Biological Reserved Area by UNESCO in 2004.

청정닭고기와 일반닭고기의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Nutrient Components between the Chungjung Chicken Meats and General Chicken Meats)

  • 양희태;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7-191
    • /
    • 2003
  • 지질은 인간내에서 에너지원으로 또 여러 가지 필수 영양소의 원천으로 가장 중요한 영양소 중의 하나이며, 특히 식품에 특유한 풍미를 부여 할 뿐만 아니라, 저장 중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이다$^{19}$ ). 그러나 현재 동맥경화나 고혈압 등의 원인으로 지질의 질이 상당히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결정지어 주는 중요한 성분은 지방산이다$^{20}$ ). 본 연구는 양질의 사료와 미생물 생균제(INPEX),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을 먹인 청정닭고기와 국내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일반닭고기와 조단백질, 조지방, 칼슘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단백질과 칼슘은 청정닭고기가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일반 닭고기가 높았다. 그러나 지방산 조성에 청정닭고기는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 중에서도 n-3계열 지방산의 함량이 높았고 특히 뇌발달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고도불포화지방산인 DHA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또한 간접적으로는 단위동물들의 대사적 이향율 즉, 양질의 사료와 미생물 생균제(INPEX),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중에 함유된 linolenic acid를 ecosapentaenoic acid(EPA)와 decosahexanoic acid(DHA)등의 성분을 청정닭이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자료에는 없지만 이러한 청정닭고기는 육질이 부드럽고 맛있으며 고기가 쪽득거리고 씹는 맛(조직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일반닭고기 특유의 비린내가 없고, 지방이 적어 국물이 담백한 관능 결과도 나타내었다.

몰운대 탐방로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Trail of Adjacent to Molundae)

  • 남정칠;서정범;오주성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87-19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ra and forest vegetation of trails with high visitor density at Molundae. Nine quadrats of $20{\times}20m$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10.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Plot1, plot2, plot3, plot4, plot6, and plot7 were located at slopes of $5{\sim}20^{\circ}$, 17~40m above sea level, and were formed with the colony of Japanese black pine(Pinus thunbergii Parl) and Japanese black pine(Pinus thunbergii Parl)-white oak(Quercus aliena Blume). Tree layer had the height of 8~20m, and the coverage of 50~70%, while subtree layer had the height of 3-8m, and the coverage 30~80%. On the other hand, shrub layer had the height of 2~4m, and the coverage of 10~30%, and herb had the height of 0.2~1m and coverage 5~20%. Plot5, plot8, and plot9 were located at the summit areas of 57~78m above sea level, and $0^{\circ}$ slope. Japanese black pine(Pinus thunbergii Parl) formed a community there. Tree layer was 8~20m high, and covered 60~70%, of the area, and subtree layer was 6~8m high, and coverage 30~40%. Shrub layer had the height of 2~6m, and the coverage of 30%, while herb layer had the height 0.2~2m, and the coverage 20-80%. Succession does not occur in the surveyed areas which have high visitor density. Artificially planted sawtooth oak(Quercus acutissima) trees were found to disturb succession and formation of multi-layer vegetation, resulting in the ecologically unstable forest.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strategy of managing the vegetation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limit in that the plots selected for the survey reflected only part of various trails in the Molundae area.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vegetation management plans by selecting more diverse trail areas in consideration of the visitor density and behaviors,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vegetation quantitatively in order to manage the vegetation in urban areas damaged by visitors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