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bran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9초

Phytate 분해 유산균의 분리 및 이용 (Isolation and Application of Phytate-Hydrolysing Lactic Acid Bacteria.)

  • 양시용;송민동;김창원;유제현;정기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95-200
    • /
    • 2001
  • 본 연구는 단위 가축 사료로 이용되는 곡류 등에 존재하는 항연인자인 Phytate 함유 환경하에서의 성장 및 phytate 분해력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하고 발효사료 제조 및 가축 생균제용 균주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리 유산균은 자돈 분변으로부터 얻은 유산균들중 phytate 함유 환경하에서의 성장 및 phytate 분해력이 가장 우수한 균으로 동정결과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로 동정되었다. 분리 규주는 내산성, 내담증섭이 높고, 사료원료를 배지성분으로 하여 순수배양한 결과 대두박 및 밀기울의 phytate-P 분해율이 각각 27.07및 12.18%로 나타났다. 또한 분리 균주를 비육돈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결과 중체량 개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료효율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Improvement of Fungal Cellulase Production by Mutation and Optimization of Solid State Fermentation

  • Vu, Van Hanh;Pham, Tuan Anh;Kim, Keun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20-25
    • /
    • 2011
  • Spores of Aspergillus sp. SU14 were treated repeatedly and sequentially with $Co^{60}$ ${\gamma}$-rays, ultraviolet irradiation,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One selected mutant strain, Aspergillus sp. SU14-M15, produced cellulase in a yield 2.2-fold exceeding that of the wild typ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the mutant fungal strain using solid-state fermentation were examined. The medium consisted of wheat-bran supplemented with 1% (w/w) urea or $NH_4Cl$, 1% (w/w) rice starch, 2.5 mM $MgCl_2$, and 0.05% (v/w) Tween 80. Optimal moisture content and initial pH was 50% (v/w) and 3.5, respectively, and optimal aeration area was 3/100 (inoculated wheat bran/container). The medium was inoculated with 25% 48 hr seeding culture and fermented at $35^{\circ}C$ for 3 days. The resulting cellulase yield was 8.5-fold more than that of the wild type strain grown on the basal wheat bran medium.

Rhizopus delemar의 Lipase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Lipase by Rhizopus delemar by)

  • 배정설;배국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
    • /
    • 1975
  • 각거 시요로부터 분이된 215주의 Rhizopus 속중 lipase생성자이 강한 1 주를 선정하여 균학적 성질 및 lipase생성 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수균주 strain K52는 균학적 제성질을 살펴본 결과 Rhizopus delemar에 유사하였다. (2) 배양기간은 밀기울 고예배양의 경우 48시간, 액면배양의 경우는 96시간, 진악배양의 경우는 72시간 경과후 최고의 역가를 나타 내었다. (3) 진종배양시보다 액면배양시에 lipase의 생성이 더욱 양호하였다. (4) 밀기울 고예배양시에도 효소의 생성이 양호하였으며 배양 48시간후 3.800(u/g)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5) 배양최적온도는 액체배양시나 국체배양시 모두 3$0^{\circ}C$가 가장 양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K506-hyperproducing strain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in solid-state fermentation for the hyper-production of FK506

  • Mo, SangJoon;Yang, Hyeong Seo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289-298
    • /
    • 2016
  • FK506 hyper-yielding mutant, called the TCM8594 strain, was made from Streptomyces tsukubaensis NRRL 18488 by mutagenesis using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ultraviolet irradiation, and FK506 sequential resistance selection. FK506 production by the TCM8594 strain improved 45.1-fold ($505.4{\mu}g/mL$) compared to that of S. tsukubaensis NRRL 18488 ($11.2{\mu}g/mL$). Among the five substrates, wheat bran was selected as the best solid substrate to produce optimum quantities of FK506 ($382.7{\mu}g/g$ substrate)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and the process parameters affecting FK506 production were optimized. Maximum FK506 yield ($897.4{\mu}g/g$ substrate) was achieved by optimizing process parameters, such as wheat bran with 5 % (w/w) dextrin and yeast extract as additional nutrients, 70 % (v/w) initial solid substrate moisture content, initial medium pH of 7.2, $30^{\circ}C$ incubation temperature, inoculum level that was 10 % (v/w) of the cell mass equivalent, and a 10 day incubation. The results showed an overall 234 % increase in FK506 production after optimizing the process parameters.

미강 식이섬유의 조성과 보수력 및 전분노화에 미치는 영향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 이영헌;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8-294
    • /
    • 1994
  • 추청과 수천 두 품종의 벼에서 얻은 미강에 함유된 총 식이섬유를 AOAC방법으로 정량하였고, acid detergent fiber(ADF) 방법으로 식이섬유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미강의 식이섬유 함량은 25% 이상이었고 대부분 불용성이었다. 미강 식이섬유의 주성분은 헤미셀룰로오스이었으며 상당량의 셀룰로오스와 uronic acid가 특징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화학적 처리에 의한 가용성 식이섬유(SDF)의 함량과 보수력(WHC)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산과 알칼리를 연속적으로 처리한 경우에 SDF함량과 WHC가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미강 식이섬유의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미강 식이섬유를 여러 가지 함량으로($0{\sim}100%$) 첨가하고 WHC를 측정한 결과, 식이섬유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밀가루의 WHC가 증가하였다. 또한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로 얻은 thermogram으로부터 미강 식이섬유는 전분의 노화를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Protein Supply from Soyhulls and Wheat Bran on Ruminal Metabolism, Nutrient Digestion and Ruminal and Omasal Concentrations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of Steers

  • Kim, Jeong-Hoon;Oh, Young-Kyoon;Kim, Kyoung-Hoon;Choi, Chang-Won;Hong, Seong-Koo;Seol, Yong-Joo;Kim, Do-Hyung;Ahn, Gyu-Chul;Song, Man-Kang;Park, Keun-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267-1278
    • /
    • 2009
  • Three beef steers fitted with permanent cannulae in the rumen and duodenum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tein supply from soyhulls (SH) and wheat bran (WB) on ruminal metabolism, blood metabolites, nitrogen metabolism, nutrient digestion and concentrations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SNAN) in ruminal (RD) and omasal digesta (OD).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steers were offered rice straw and concentrates formulated either without (control) or with two brans to increase crude protein (CP) level (9 vs. 11% dietary DM for control and bran-based diets, respectively). The brans used were SH and WB that had similar CP contents but different ruminal CP degradability (52 vs. 80% CP for SH and WB, respectively)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protein degradability.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s were higher for bran diets (p<0.01) than for the control, and for WB (p<0.001) compared to the SH diet. Similarly, microbial nitrogen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y bran and WB diets, respectively. Retained nitrogen tended (p<0.082) to be increased by SH compared with the WB diet. Intestinal and total tract CP digestion was enhanced by bran diets. In addition, bran diets tended (p<0.085) to increase intestinal starch digestion. Concentrations of SNAN fractions in RD and OD were higher (p<0.05) for bran diets than for the control, and for WB than for the SH diet. More rumendegraded protein supply resulting from a higher level and degradability of CP released from SH and WB enhanced ruminal microbial nitrogen synthesis and ruminal protein degradation. Thus, free amino acids, peptides and soluble proteins from microbial cells as well as degraded dietary protein may have contributed to increased SNAN concentrations in the rumen and, consequently, the omasu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tein supply from SH and WB, having a low level of protein (13 and 16%, respectively), could affect ruminal metabolism and nutrient digestion if inclusion level is relatively high (>20%).

밀기울 토양 혐기발효 처리가 멜론의 뿌리혹선충 방제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aerobic Fermentation Treatment of Wheat bran on the Root-Knot Nematodes and the Quality of Melons in Plastic Film House Soil)

  • 박동금;김홍림;박경섭;허윤찬;이우문;이희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1-316
    • /
    • 2010
  • 본 연구는 10년 이상 과채류를 재배하여 뿌리혹선충 피해가 많이 발생되었던 시설재배 토양에서 친환경적인 뿌리혹선충방제를 위하여 밀기울 토양환원처리 효과를 구명하였다. 토양소독처리후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시험전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뿌리혹선충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특히 밀기울처리구에서는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처리후 90일경에도 밀기울처리구가 매우 낮게 유지되었으며 멜론의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수확기 멜론의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 65%인데 비해 밀기울처리구, 3%로 현저히 낮았으며 과실의 크기와 품질도 밀기울처리구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밀기울 토양환원처리는 뿌리혹선충 발생포장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멜론을 1작기 동안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는 유망한 소독방법일 뿐만 아니라 멜론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부로일러사료에 있어서 밀감피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II. 밀감피싸일리지 건조분말의 사료적 가치 (Studies on Possible Utilization of Citrus Peel as a Feed Ingredient for Broilers II. Feeding Value of Dried Citrus Peel Silage)

  • 최진호;강상렬;배동호;정근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3-98
    • /
    • 1984
  • 밀감피의 저장수단으로 밀기울 또는 요소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는 4가지 종류의 밀감피싸일리지를 제조하였다. 밀감피싸일리지의 일반성분 및 휘발성지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싸일리지를 다시 건조 분쇄한 4가지 종류의 싸일리지 건조분말, 싸일리지화 하지 않는 밀감피를 건조 분쇄한 밀감피 건조분말 및 밀기울의 6가지 원료를 서로 비교하는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부로일러 전용종인 Maniker 초생추 숫컷 360수률 6개처리 5반복으로 배치하고 시험사료에 6가지 원료를 각각 6% 첨가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시험 종료후 대사시험을 실시하여 영양소 이용율, 대소축적률 및 사료의 대사에너지함양을 측정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감피를 싸일리지화 하였을 때 개형물의 조단백질 함양이 증가하였으며 밀기울이나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더욱 증가하였다. 2. 밀기울이나 요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밀감피싸일리지의 휘발성지방산 함양이 증가하였는데 싸일리지를 건조시켰을 때에는 유기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싸일리지 처리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3. 밀감피 건조분말이나 밀감피싸일리지 건조분말을 급여한 병아리는 밀기울을 급여한 병아리에 비해 증체량이 약간 떨어졌으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4. 각 시험사료의 영양소 이용률, 질소축적율 및 대사에너지 함량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밀감피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싸일리지를 제조하였다가 이를 건조 분쇄하여 배합사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로일러 사료에 6%까지 사용하여도 증체량이나 사료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

밀기울에 대한 열처리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 황재관;김종태;조성자;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403
    • /
    • 1995
  • 밀기울의 각종 열처리에 따른 밀기울의 화학적 구조 및 기능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사용한 열처리의 종류는 toasting, roasting, drum drying, autoclaving+drum drying, microwaving+drum drying, extrusion이였다.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으로서 원료밀기울에 비하여 약 $40{\sim}110%$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총 식이섬유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열처리에 의하여 용해도와 보수적이 증가한 반면에 보유력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적밀도와 팽화도는 각각 보수력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들의 곱은 보수력과 높은 상관관계$(R^2=0.94)$를 보였다. 그러나 수용성 성분을 배제한 불용성 성분의 보수력은 용적밀도와 팽화도와의 곱에도 거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밀기울의 외형적 구조변화에 대한 관찰은 열처리에 따른 밀기울의 화학적 및 기능적 특징에 대한 결과를 잘 반영해주었다.

  • PDF

Evaluation of different non-fasting molting methods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during molting and post molting periods

  • Gun Whi, Ga;Soo Ki, Kim;Yong Gi, Kim;Jong Il, Kim;Kyung Il, Kim;Kwan Eung, Kim;Yong Ran, Kim;Eun Jip, Kim;Byoung Ki, 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4호
    • /
    • pp.717-726
    • /
    • 2022
  • The study evaluated different molt-inducing methods to achieve the main goal of molting in commercial layers during molting and post-molting periods. A total of 400 60-week-old Lohmann Brown lay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eight replicates of 10 birds for each group). Laying hens in the fasting control group received no diet from day 1 to day 10. The second group received a molt-inducing diet recommended by the breeding company. The third group received a wheat bran-based diet. The fourth group received a commercial layer diet with 8,000 ppm zinc (as zinc oxide, ZnO). The fifth group received an induced molting diet given to the second group with 8,000 ppm zinc, respectively. Egg production in the fasting control group and groups fed a diet with ZnO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01) than those in groups fed the molt-inducing and wheat bran-based diets without ZnO during molting. Egg laying in the fasting control group was rapidly reduced and stopped on the 5.9th day of molting. In both groups having molt treatment with ZnO, egg production was similarly reduced and ceased on the 6.9th day and 7.0th day of molting, respectively, none of them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Layers fed molt-inducing diet or wheat bran-based diet did not reach the cessation of laying even on the 28th d of molting period. Relative weights of the ovary and growing oocytes of layers subjected to fasting or fed diets with ZnO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During the first two weeks of post molting, layers fed molt-inducing diet with ZnO showed higher egg produc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p < 0.01). The eggshell strength in the group fed the commercial diet with Zn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the molt-inducing diet or wheat bran-based diets at 6 weeks of post molting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on-feed withdrawal molting using ZnO is more effective in inducing molting and increasing post-molt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han other methods using a molt-inducing diet alone or wheat bran-based diet without Z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