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Flour

검색결과 1,014건 처리시간 0.025초

Miniature Schnauzer에 있어서 현미 급여와 영양소 소화율 및 배설 분 특성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Diets Including Brown Rice for Miniature Schnauzer)

  • 김경훈;장주송;오영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29-434
    • /
    • 2011
  • 본 연구는 반려견 사료 내 주요 탄수화물원인 밀가루(원물기준 약 51%)를 현미로 15%, 30% 대체 급여하였을 때, 사료의 소화율 및 배설 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슈나우져(Miniature Schnauzer) 강아지(8~9개월령, 시험개시 평균체중 $5.0{\pm}0.3$ kg) 6마리를 이용 반복 $3{\times}3$ 라틴방각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미 대체에 의해 조단백질을 제외한 건물, 유기물, 산분해 지방, 에너지 소화율이 linear (P<0.01)하게 증가하였다. 사료의 가소화에너지 및 대사에너지 농도(kcal/kg DM)도 현미 대체 비율이 증가하면서 linear 하게 증가(각각 P=0.001, P=0.006)하였다. 생분 배설량과 건조 분량도 모두 linear (P<0.001, P=0.004)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현미 30%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생분 배설량이 약 21% 감소하였다. 분 score 또한 linear (P<0.05) 또는 quadratic (P<0.01) 개선 효과가 있었지만, 분 암모니아 농도는 현미구에서 높은 경향(P=0.07)을 보였다. 분 암모니아 증가는 linear하게 감소(P=0.001)한 short-chain fatty acid 농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 현미 급여가 반려견의 영양소 소화율과 배설 분의 특성을 개선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 함유 반려견 사료의 영양소 소화율, 분 특성 및 기호성 (Nutrient Digestibility, Palatability and Stool Quality of Canine Food Including Brown Rice)

  • 김경훈;장주송;오영균;지상윤;문상호;김명화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35-440
    • /
    • 2011
  • 본 연구는 반려견 사료 내 주요 탄수화물원인 밀가루(원물기준 약 51%)를 현미로 15%, 30% 대체 급여하였을 때, 사료 영양소 소화율, 배설분 특성, 기호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말티즈(Maltese) 강아지(8~9개월령, 시험개시 평균체중 $2.8{\pm}0.3$ kg) 6마리는 이용 반복 $3{\times}3$ 라틴방각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영양소 소화율에서 현미 15%구가 가장 높거나 혹은 가장 낮은 quadratic 효과가 나타났다. 대조구와 현미 30% 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의 DE 및 ME 농도(kcal/kg DM)도 quadratic 반응(P<0.001, P=0.015)을 보였다. 생분 및 건물 분 배설량에서도 현미 15%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quadratic (P = 0.006, P = 0.014) 반응을 보였고, 분 score는 2.7에서 2.3으로 linear (P = 0.008)하게 낮아졌다. 현미구 대체율이 증가하면서 분 암모니아 농도는 linear (P = 0.001)한 증가를 보였으며, short- chain fatty acid 농도는 linear (P = 0.07)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의 현미 급여 효과는 배설 분 score에서만 확인되었고, 현미구의 현저한 기호성 증진 결과에 대해서는 현미 효과인지 가금부산물 함량 증가 효과인지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 분말이 첨가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ioscorea japonica Powder)

  • 안장우;윤종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28-533
    • /
    • 2008
  • 마 분말을 밀가루 대비 0%(시료 I), 1.4%(시료 II), 2.8%(시료 III), 4.2%(시료 IV)를 대체하여 첨가하여 국수를 만들어 여러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국수와 조리된 국수의 L값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리된 국수의 b값은 마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은 네 시료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에 따른 국수의 무게증가율에서는 IV 시료가 가장 높았다. III, IV 시료의 부피증가율이 I, II 시료보다 더 컸다. 조리된 국수의 밀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국물의 pH와 탁도는 마 분말의 첨가량이 늘어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리된 국수의 경도와 탄성은 시료 I이 가장 높았고 시료 II, III, IV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응집성과 검성은 시료 III, IV가 I, II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작았다. 관능검사 결과 네 시료 사이에 외관과 향미의 기호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은 I과 II 시료가 III, IV 시료에 비해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맛과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시료 III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로써 마 분말이 첨가된 국수의 제조를 위해서는 2.8% 정도의 마 분말을 밀가루에 대체하여 첨가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메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Non-glutinous Sorghum Powder)

  • 김현영;고지연;김정인;정태욱;윤홍태;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1-5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수 분말 함량이 반죽 분말의 총 5, 10, 15 및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 특성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조리 후 중량, 부피, 수분 흡수율 및 탁도는 수수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리 전 색도는 수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조리 후 면의 색도는 조리 전에 비하여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감소하게 나타났다. 수수 분말 첨가 면의 조리 후 인장강도는 force, time 및 distance 모두 메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또한 조리 후 생면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안메수수가루를 첨가하여 생면을 만들 경우 메수수가루의 첨가는 면의 품질특성은 유지하면서 항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공정상 발생하는 비산분진의 화재·폭발 위험성에 대한 열적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Fire.Explosion Hazard of Fugitive Dust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Sun, Ko J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1-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인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이 있는 밀가루 제조공정에서의 분진 및 기능성 비누제조공정에서의 살리실산분진, 합판 제조공정에서 목분, 폐타이어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들을 채집하여 열적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DSC 실험결과 대상시료 모두 활석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열 유속은 감소하고 온도는 감소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분해속도가 줄어드는 것이고, 위험성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시료 모두 승온속도가 증가 할수록 흡열개시온도가 낮은 온도 부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흡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시료의 분해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TGA 실험결과 대상시료 모두 무게감량의 비율은 활석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체 무게감량이 줄어들어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분진폭발메커니즘의 지속적 연구와 보완이 효과적인 분진폭발예방 대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ietary inclusion effect of yacon, ginger, and blueberry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gainst Vibrio anguillarum

  • Lee, Ki Wook;Jeong, Hae Seung;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7.1-7.8
    • /
    • 2020
  • Background: To minimize the use of antibiotics and to obtain a more sustainable fish culture and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of alternative natural source of immunostimulant to replace antibiotic in aquafeed is highly needed. Objective: Dietary inclusion effect of yacon (YC), ginger (GG), and blueberry (BB)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disease resistance of black rockfish against Vibrio anguillarum was compared to ethoxyquin (EQ). Methods: Four hundred eighty juvenile (an initial weight of 4.2 g) fish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12 of 50 L flowthrough tanks (forty fish per tank).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the control (Con) diet with 0.01% EQ inclusion, and YC, GG, and BB diets at 1% each additive inclusion. Each additive was included into the experimental diets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Each diet was assigned to triplicate tanks of fish and hand-fed to satiation twice daily for 8 weeks. At the end of 8-week feeding trial, 20 fish from each tank fish were artificially infec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0.1 mL of culture suspension of pathogenic V. anguillarum containing 3.3 × 106 cfu/mL respectively. Fish were monitored for the following 8 days after V. anguillarum infection and dead fish were removed every 6 h for the first 4 days and 12 h for the rest of the study. Results: Weight gain,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feed efficiency ratio (FER) of fish fed the YC diet was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all other diets. However, feed consumption,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protein retentio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dditive.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of the whole body of fish were affected by dietary additive. Analysis of the Kaplan-Meier survival curves showed that survival of fish fed the YC, BB, and GG diets was higher than the Con diet. Conclusion: Oral administration of YC can improve not only weight gain, SGR, and FER of black rockfish, but lower mortality of rockfish at occurrence of V. anguillarum.

메밀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 최순남;정남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4-670
    • /
    • 2007
  • 영양 및 기능성을 함유한 메밀가루를 0%. 15%, 30%, 45%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게는 대조군 421.3 g, 첨가군은 $430.3{\sim}441.5g$으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부피는 대조군 2464.3 mL, 첨가군은 $2432.3{\sim}2090.8mL$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수분흡수력은 대조군이 2.2 mL, 첨가군은 $3.1{\sim}4.6mL$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H는 대조군이 6.2, 첨가군은 $6.5{\sim}6.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색도 L값은 대조군에서 64.77, 첨가군에서는 각각 59.22, 63.20, 56.70이었으며, a값은 대조군에서 3.38, 첨가군에서 $3.40{\sim}4.42$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b값은 대조군이 16.52, 첨가군에서는 각각 17.26, 19.23, 18.68이었다. 4. 첨가량에 따른 경도는 0일 대조군이 0.08 kg, 첨가군은 각각 0.12 kg, 0.16 kg, 0.21 kg으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장일수에 따른 경도는 0일 대조군의 경우 0.08 kg, $1{\sim}4$일 저장군은 $0.17kg{\sim}0.21kg$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메밀가루 첨가군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었다. 첨가량에 따른 진입력은 0일 대조군이 0.03 kg, 첨가군은 $0.05{\sim}0.08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5. 관능검사에서 색상은 대조군이 2.3, 첨가군이 $3.0{\sim}4.1$로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향미는 대조군이 3.3, 첨가군이 $2.7{\sim}3.0$으로 메밀가루 첨가로 선호도가 감소하였으며, 맛은 30% 첨가군이 3.6으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조직의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 3.4, 첨가군이 $3.5{\sim}2.5$로 나타났으며 씹힘성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커피분말 첨가가 쌀쿠키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s affected by coffee addition)

  • 성종환;정헌식;김한빛;이주백;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0-45
    • /
    • 2014
  • 쌀쿠키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밀가루나 글루텐 무첨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볶음 커피분말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쌀쿠키는 쌀가루 대비 커피분말을 0, 1.5, 3, 6, 12%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원판으로 성형한 후 오븐으로 $170{\sim}180^{\circ}C$에서 10분간 구워 만들고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커피분말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쌀쿠키의 색도인 $L^*$, $b^*$, $C^*$, $h^{\circ}$값은 감소되었고, $a^*$값은 증가됨을 보였다. 기계적 경도와 총페놀 함량은 커피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첨가량 1.5%와 3%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능은 커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서 첨가량 1.5% 첨가구보다 3%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로서, 쌀쿠키의 darkness, smell, bitterness, hardness 등은 커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하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Overall acceptability는 커피분말 1.5%와 3%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쌀쿠키의 항산화능과 기호도의 동시 증대를 위한 커피분말의 첨가량은 3%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가 머핀의 품질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aronia powder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ffins)

  • 박효정;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68-6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0%, 5%, 10%, 15%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비체적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머핀의 명도와 황색도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결과, 경도는 대조군과 5%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고,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머핀의 외관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고, 냄새는 대조군과 5%, 10%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5%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맛과 조직감은 대조군과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5%, 10%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5%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및 환원력도 대조군보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머핀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매우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아로니아 분말을 10%까지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항산화활성이 향상되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콩 코오지의 최적 제조조건 설정 (Establishment of optimal soybean Koji manufacturing conditions)

  • 김도윤;박극렬;장상원;홍성철;권동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9-385
    • /
    • 2013
  • 곰팡이 및 세균을 이용한 콩 코오지의 최적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재래식 메주로부터 분리한 A. oryzae 6-M-1과 B. subtilis 3-B-1을 이용하여 콩 코오지를 제조하였다. 콩 코오지를 7일간 제조하면서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의 경우 686.16 mg%(w/w), 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는 643.46 mg%(w/w)를 생성하고 있었다. ${\alpha}$-Amylase activity는 제국 7일째에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1472.54 unit/g이었고 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791.00 unit/g이었다. ${\beta}$-Amylase activity는 제국 7일째에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598.98 unit/g이었고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503.26 unit/g이었다. 산성 protease activity는 제국 7일째에 A. oryzae 6-M-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309.00 unit/g이었고 B. subtilis 3-B-1로 제조한 코오지에서는 135.88 unit/g이었다. 콩 코오지의 아미노태질소 및 효소 역가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밀가루 코오지보다 높았으며 제국 기간은 4일이면 충분하였다. 콩 코오지로 만든 된장과 시판된장의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콩 코오지를 이용하여 된장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