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Flour

검색결과 1,014건 처리시간 0.022초

Detection of Irradiated Korean Wheat Flour by Viscosity and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Methods

  • Yi, Sang-Duk;Chang, Kyu-Seob;Oh, Man-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40-14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methods for irradiation detection of irradiation in Korean wheat flour by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and viscometric methods. The photon counts of the irradiated Korean wheat flour measured by PPSL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 The photon counts in the irradiated Korean wheat flour almost disappeared with lapse of time after storage in normal room conditions, but irradiation detection was still possible after 6 months in darkroom conditions. All irradiated samples indicated a decrease in viscosity with increasing stirring speeds (rpm) and irradiation doses. Irradiation at 1 kG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viscosity.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tection of irradiated Korean wheat powder is possible by both viscometric and PPSL methods.

보리-밀 복합분(複合粉)의 라면제조(製造) 및 제품특성(製品特性)에 관(關)하여 (A Note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Ramyon (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Using Barley-wheat Composite Flours)

  • 유정희;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83
    • /
    • 1977
  •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paration of Ramyon using composite flours of raked barley (20 or 30%)-wheat(80 or 70%) in commercial plant scale and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Ramyon made from those flours. The naked barley(20%)-wheat(80%) flour gave acceptable Ramyon-making characteristics during the continuous Ramyon manufacturing process. The composite flours had a higher water absorption rate in kneading process and oil absorption value of the Ramyon product than those of wheat flour alone. Even though the Ramyon of composite flours showed a little inferior value compared with wheat flour alone in the cooking and texture characteristics, sensory panel scores of Ramyon indicated that the naked barley (20%)-wheat(80%) flour was acceptable in Ramyon.

  • PDF

Asp. usamii shirousamii $U_2$ 균의 국식배양에 의한 유기산 및 당화효소 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ormation of Organic Acid and Saccharifing Amylase in Koji Culture by Asp. usamii shirousamii $U_2$)

  • 윤복현;박윤중;이석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32
    • /
    • 1974
  • Asp. usamii shirousamii $U_2$ 균의 국식 배양에 있어서 유기산 및 당화효소생성 조건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기산 생산은 밀가루 및 밀기울 배지의 경우 $30^{\circ}C$에서 3일간 배양시에 가장 좋았으며 당화효소력은 밀가루 배지의 경우 $35^{\circ}C$, 3일간 배양시에 가장 높았고 밀기울 배지는 $35^{\circ}C$, 2일간 배양시에 거의 최고 역가를 나타냈다. (2) 3일 배양의 경우 배지의 첨수량은 밀가루 배지에서는 60% 첨수일 때, 밀기울 배지에서는 50% 첨수일 때 유기산 생성이 가장 좋았으며 당화효소 생성은 밀가루, 밀기울의 어느 배지에서나 $90{\sim}100%$ 첨수에서 가장 좋았다. (3) 밀가루와 밀기울의 배지를 비교하여 볼 때 유기산의 생성은 밀가루 배지가 좋았으며 당화효소생성은 밀기울 배지에서 높았다. (4) 고구마 전분박과 밀가루를 동량으로 혼합했을 때 밀가루 단일배지보다 유기산 및 당화효소 생성이 높았으며 밀기울에 고구마전분박 첨가의 효과는 없었다. (5) 밀가루, 밀기울 단일배지에 비하여 고구마전분박 단일배지에서는 유기산 및 당화효소 생성이 극히 나빴다. (5) 60% 첨수의 밀가루배지에서 $30^{\circ}C$, 3일간 배양한 경우 생성유기산 중의 약 90%가 구연산이었다.

  • PDF

밀 배아 첨가가 상화병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I) - 밀 배아 첨가 소맥분의 리올로지 특성 - (Effect of Wheat Germ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ngwhabyung - Rheology Characteristics of Medium Flour with Wheat Germ -)

  • 최봉순;황성연;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41-64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at germ on medium flour using falling number and RVA tests, as well as farinogram and rheofermentometer analyses. The wheat germ was added to the medium flour on a 3, 5, and 7% basis. Falling number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wheat germ. Analysis of the RVA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wheat germ addition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In the farinogram, water absorp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amount of wheat germ. Also, development time was longest in the control group and shortest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addition of wheat germ.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added wheat germ on fermentation by rheofermentometer analysis showed that the H'm value reached a maximum height at 3%. Finally, the volume of $CO_2$ lost was increased whereas the retention coefficient was decreased.

  • PDF

Effects of Transglutaminase on Pasting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Different Wheat Cultivars Blended with Barley or Soy Flour

  • Ahn, Hyun-Joo;Kim, Jae-Hyun;Chang, Yoon-Hyuk;Steffe, James F.;Ng, Perry K.W.;Park, Hee-R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52-57
    • /
    • 2008
  • The effects of transglutaminase (TG) on the pasting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different wheat cultivars ('Sharpshooter', 'Russ', and 'AcAriss') blended with barley (40%) or soy (20%) flour were investigated. In the rapid visco-analyzer (RVA) pasting profile, the addition of barley or soy flour to wheat flour samples induced a decrease in peak, trough, final viscosity, breakdown and setback values. However, TG treatment of these blends significantly increased peak viscosity and breakdown (p<0.05). In particular, TG treatment greatly increased the breakdown of wheat flour blended with soy flour, indicating that the cross-linking of proteins through TG may somehow be related to an increase in starch granule rupturing in pastes. Storage (G') and loss (G") moduli of the sample paste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frequency ($\omega$), while complex viscosity (${\eta}*$) decreased. In all wheat cultivars, G', G", and $\eta$ were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barley or soy flour, or TG treatment. Results suggest that protein cross-linking by TG can produce unique and improved properties in wheat flours blended with barley or soy flour.

우리나라의 밀가루 이용실태 조사 (Survey on Wheat Flour Utilization in Korea)

  • 김성곤;김복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9-120
    • /
    • 1989
  • 우리나라의 밀가루 소비 실태를 1986년과 1987년도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아울러 제분공업의 현황도 간단히 서술하였다. 밀가루 소비 실태는 연도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1986년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분회사에서의 밀가루 총판매량은 1,556,891톤이었고 이 중 51.1%는 대리점으로, 나머지는 대량생산업체로 판매되었다. 밀가루의 주용도는 제면, 제과, 제빵, 막걸리, 일반(가정용, 수퍼마켓, 소매점)이었다. 다목적 밀가루의 1등급과 2등급은 제면과 막걸리용으로 이용되었고, 제빵에는 강력밀가루 1등급이 주로 사용되었다. 제과용 밀가루로는 다목적 밀가루 1등급이 주로 사용되었다.

  • PDF

밀가루 및 건면의 지방질 조성과 측정 방법에 따른 조지방 함량 차이 (Lipid Composition and Differences in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according to Determination Methods)

  • 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1-385
    • /
    • 2010
  • 밀가루 및 5종의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Soxhlet법을 비롯한 5종의 측정 방법과 3종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가루에서는 0.09~1.37%, 건면에서는 0.07~1.36%의 조지방이 정량되었다. 이와 같이 밀가루와 건면에서 그 측정 방법에 따라 조지방 함량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지방질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시중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5종의 겉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양성분표를 살펴 본바, 조지방 함량은 0~1.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밀가루와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질의 종류 및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밀가루에는 1.02%의 유리 지방질과 0.21%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건면에는 0.95~1.01%의 유리 지방질과 0.21~0.25%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58.5%, 33.6% 및 8.6%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49.2~58.2%, 33.3~41.6% 및 8.5~9.3% 범위였다. 또한,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결합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16.7%, 33.5% 및 49.5%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13.2~15.3%, 35.6~45.7% 및 41.6~49.4%로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각 지방질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지방질 조성 및 함량에 따라 밀가루 및 건면에서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가수분해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흰찰쌀보리 가루를 이용한 제빵특성 연구 1. 흰찰쌀보리-밀가루 혼합분 박죽의 물성 (Study on Bread-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Waxy Barley-Wheat Flour 1.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Made with Waxy Barley-Wheat Flour Mixture)

  • 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34-1043
    • /
    • 1999
  •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made from waxy barley(Iri28) flour wheat flour mixtures with addi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paration of waxy barley bread using farinograph, extensograph and amy lograph. The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and dough weakness increased as the waxy barley flour level increased in all blends; however, dough stability decreased. Farinogram properties of 1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100% wheat flour. The addition of A.A(ascorbic acid), gluten, HPMC(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with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In particular, stability and weakness of the dough showed greater dough improving effect by addition of A.A. For the extensograph data, strength, resistance and extensibility of dough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waxy barley flour. With the addition of additives, extensogram properties were variable for 30% waxy barley flour mixture. Of these additives, gluten had highest value in strength of dough. Addition of A.A and HPMC to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resistance and a decrease in the extensibility.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s showed little high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on amylograph data than control. Maximum viscosity reduced as the waxy barley flour level increased. Also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containing A.A and HPMC showed a decrease in maximum viscosity. But addition of gluten to 30% waxy barley flour mixture resulted an increase in the maximum viscosity. All of 30% waxy barley flour added mixture with additives had low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than those without additives. In the SEM images, starch granules were dispersed in a protein matrix. A non continuous, loose protein starch matrix was observed in all waxy barley flour mixture by SEM. Addition of additives gave the dough a more continuous structure with interactions between the starch granule and protein component.

  • PDF

Lipoxygenase가 제빵시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poxygenase Action on the Mechanical Development of Wheat Flour Doughs)

  • 윤선;박희옥;오혜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2-65
    • /
    • 1983
  • 본 연구는 대두 lipoxygenase 활성이 제빵시 반북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으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arinograph에서 밀가루에 날콩가루를 첨가하였을 때 수분흡수율이 감소하고 반죽시간이 길어졌으며, mixing tolerance index(MTI)와 약화도가 감소하였다. 볶은콩 가루를 넣은 경우 수분흡수율이 증가하였고 반죽시간은 유사하였으며 MTI와 약화도가 감소하였다. $S_3$에 lipoxygenase를 첨가한 $S_4$의 경우 수분흡수율은 $S_3$와 동일하였으나 반죽시간이 길어지고 MTI와 약화도가 감소하여 날콩가루 복합분의 반죽물성과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2. Extensograph에서 수분흡수율은 볶은콩가루 복합분 $S_3$$S_4$가 가장 컸으며, 날콩가루를 넣었을 때 가장 적었다. 에너지는 밀가루에 콩가루를 섞었을 경우 ($S_2,\;S_3$$S_4$) 증가하였다. 볶은콩가루 복합분에 lipoxygenase를 첨가함으로써 신장력은 유의적 증가를 하고 신장저항은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유의수준 ${\alpha}$ = 0.05) 이상의 결과, 날콩가루를 반죽에 첨가할 때 일어나는 반죽물성의 변화는 lipoxygenase의 작용으로 생각되며, 반죽의 pH가 6.2 정도임을 고려하여 볼때, lipoxygenase isoenzyme일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수입밀의 제빵 적성과 반죽법을 달리한 우리밀 제빵 적성의 비교 (Comparison of Imported Wheat Flour Bread Making Properties and Korean Wheat Flour Bread Making Properties Made by Various Bread Making Methods)

  • 김원모;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34-441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밀을 사용하여 방법을 달리해서 제조한 우리밀의 제빵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밀 밀가루와 수입밀 밀가루 반죽의 Farinograph 분석 결과 견도(consistency)는 수입밀(534 FE)이 우리밀(503 FE)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흡수율(water absorption)은 수입밀(66.1%)이 우리밀(60.6%)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죽형성시간(dough development time, DDT)은 우리밀(10.7분)이 수입밀(11.7분)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반죽의 안정도(dough stability time, DST)는 반죽의 강도를 나타내는데 수입밀은 Farinograph 반응시간을 20분으로 하여 평가하였을 때 20분까지도 반죽의 안정을 지키는 강한 반죽의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우리밀은 15.2로 수입밀보다 낮은 DST를 나타내었다. Farinograph quality number(FQN)는 수입밀은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우리밀은 156으로 측정이 가능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밀은 수입밀에 비해 gluten network 형성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무게, 비용적 및 굽기 손실률 측정 결과 반죽의 방법이 식빵의 부피나 비용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직접반죽법(straight dough method, SDM)이 부피나 비용적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crumb 색도 측정 결과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제법과는 상관없이 우리밀로 제조한 식빵이 좀 더 밝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한 결과 우리밀은 SDM 방법으로 반죽하여 제빵을 하는 것보다는 중종법(dough and sponge method, DSM)이 더 기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chewiness와 brittleness, hardness는 우리밀로 직접 반죽하여 제조한 빵(SDMK)이 저장기간 동안 가장 변화폭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100% DSM과 70% DSM 방법으로 제조된 식빵은 대조구인 수입밀로 직접반죽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빵(SDMI)과 유의차가 없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DSM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빵은 대조구인 SDMI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빵과 비교하였을 때 cohesiveness 등 물리적 특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gluten 함량이 부족한 우리밀을 이용하여 빵을 제조할 때 적당한 제빵 방법으로 100% DSM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