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Flour

검색결과 1,014건 처리시간 0.03초

국산밀로 제조한 파운드케익의 품질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baked from Korean Wheat Flour)

  • 이경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9-423
    • /
    • 1996
  • 수입밀(Sample A) 한 종류와 3종류의 국산밀(Sample B, C, D)로 파운드케익을 제조하여 품질을 관능검사, 색, 부피 및 경도로 측정하여 국산밀의 파운드케익 가공적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수입밀 파운드케익은 국산밀 제품보다 질감, 맛 등이 선호되어 종합적인 선호도가 더 높다. 이는 수입밀 제품이 국산밀 제품보다 더 부드럽고 촉촉하며 결이 곱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색도는 수입밀로 제조한 것이 L값은 81.09, a값은 -0.49, b값은 28.17로 나타났다. 국산 밀로 제조한 것은 이것보다 L값은 낮게, a값은 높게, b값은 여러 단계로 나타나, 대체로 수입밀 제품보다 명도가 낮고 붉은색을 띄는 누르스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피는 샘플 D가 833cc로 가장 컸고, B가 800cc, A가 755cc, C가 753cc로 D, B, A, C의 순으로 크게 나타나, 2종류의 국산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더 크게 팽화되었다. 4. 경도는 샘플 C가 22.60 dyne/$ extrm{cm}^2$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가 16.50, A가 15.75, B가 13.83으로 나타났다.

  • PDF

분리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ybean Protei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01-1306
    • /
    • 1998
  • 산성, 중성 및 알칼리성 영역에서 각각 추출한 SPI를 첨가한 복합분의 제면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I-건면과 조리면의 l값은 대조구에 비해 모두 감호하였으나 a와 b값은 증가하였다. SPI-건면의 최적조리시간은 100% 밀가루로 제조된 건면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SPI-조리면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은 감소하였다. $SPI-2,\;SPI_3,\;SPI_7$$SPI-{10}$-건면의 파쇄력은 첨가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5%, 10% $SPI-{12}$-건면의 파쇄력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PI의 첨가농도와 종류에 관계없이 SPI-조리면의 탄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씹힘성과 견고성은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Enzymatically Hydrolyzed Vital Wheat Gluten on Dough Mixing and the B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Frozen Dough

  • Song, Kyung-Ah;Koh, Bong-K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73-176
    • /
    • 2006
  • The effect of enzymatically hydrolyzed vital wheat gluten (EHG) on dough mixing and the baking quality of wheat flour frozen dough was examined. Three different proteases, pepsin, trypsin, and chymotrypsin, were tested individually, sequentially paired, or in combination of all three enzymes. Addition of 1% EHG produced no observable effect on the mix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However, addition of 2.5% pepsin-hydrolyzed gluten decreased the mixing tolerance of the wheat flour, and 1% trypsin-hydrolyzed gluten increased the loaf volume of both frozen and non-frozen dough. This finding suggests that trypsin-hydrolyzed vital wheat gluten may serve as a baking additive in replacement for $KBrO_3$ to improve frozen dough quality.

대파가루를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odles Using Allium fistulosum L. Flour)

  • 이병영;윤건묵;서지우;김성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3-58
    • /
    • 2003
  • This study on the processing of noodles was carried out to increase utilization of Allium fistulosum L., In the areas of total solids in residual liquid, swelling volume, and water absorption, a mixture of 10.0% dried Allium fistulosum L. flour and wheat flour, and a mixture of 25.0% raw Allium fistulosum L. flour and wheat flour both perform similarly to noodles made with just wheat flour. In the area of texture- the gumminess, cutting factor, and chewiness increase as the percentage of dried Allium fistulosum L. flour increases.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hese factors between the 10.0% dried and the 25.0% raw mixtures. The color of the noodles with a mixed Allium fistulosum L. flour is green-yellow. As the quantity of Allium fistulosum L. flour increases the color gets darker The over all perception of the noodles made with a mixed Allium fistulosum L. flour was rated higher in color, taste, and smell than regular noodles. This study shows that mixing wheat flour with 10.0% dried Allium fistulosum L. flour or 25.0% raw Allium fistulosum L. flour produces a better noodle product.

  • PDF

호화찹쌀가루를 이용한 쌀가루 복합분의 제면성 시험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Dried Noodle Made of Composite Flours Utilizing Rice, Wheat and Gelatinized Waxy Rice Flours)

  • 박욱희;김형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2호
    • /
    • pp.83-90
    • /
    • 1982
  • 쌀가루의 제면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찹쌀을 호화시켜 건조 제분한 것을 혼합시키고 여기에 쌀가루와 점성 개량제인 XG를 첨가하여 제면적성을 시험 검토하였다. 1. 원료분을 Amylograph에 의해 점도특성을 측정한 결과 밀가루의 최고점도에 비해서 쌀가루의 최고점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쌀가루 복합분 중 최고점도가 가장 높은 것은 (RF 85+GWRF 15+XG2%) 이고 가장 낮은 것은 (RF 35+GWRF 15+WF 50)인데 후자의 복합분이 밀가루와 비슷한 호화특성을 보였다. 2. (쌀가루+호화찹쌀가루 15)에 밀가루를 $40{\sim}50%$ 혼합했을 때 상온에서 반죽이 잘 되었고 삶은 국수의 중량, 부피와 용출되는 고형물이 밀가루면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3. (쌀가루+호화찹쌀가루 15)에 XG를 2%첨가했을 때 면대형성과 조리 후 결착성을 주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쌀가루+호화찹쌀가루 15 +밀가루)로 만든 면에서 XG 2% 첨가와 밀가루 40%를 혼합한 것이 그것의 조리특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4. 가장 기호도가 높은 밀가루 복합분면의 조성비는(RF 45+GWRF 15+WF 40+XG 2%)이었으며 밀가루면과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밀품종(品種)"조광"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과 전밀빵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Whole Wheat Bread-Baking Test of Wheat Variety 'Cho-Kwang')

  • 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5-219
    • /
    • 1983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제분(製紛)된 밀을 입도별(別), 즉 wheat shorts, grits, 및 flour(粉) 등(等)으로 분리(分離)하여, 그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였으며, 더불어 입도의 크기가 전밀빵(whole wheat bread)의 부피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시료(試料)로는 한국산(韓國産) 밀품종(品種)인 ${\ulcorner}$조광${\lrcorner}$을 사용(使用)하였다. 제분(製粉)된 밀의 조회분 및 조단백질의 함량(含量)은 각각 2.3% 및 13.7%이었다. wheat shorts, wheat grits 및 wheat flour의 믹소그라프 높이(mixograph peak-height)는 각각 4.8, 5.6 및 7.3이었으며 Fraction 1(직경 : 0.2mm이하)의 반죽의 안정도(dough stability)는 100mesh이하의 밀가루에 크게 뒤떨어지지 않았다. 제빵 실험(實驗) 결과(結果)로 보아 제분(製粉)된 밀 가운데 직경 $0.2{\sim}0.5mm$ 크기의 wheat grits가 전밀빵을 제조(製造)하는 데 한계(限界) 입도된 듯 하며, 최적(最適)의 전밀빵의 부피 및 빵의 내부(內部)상태는 80% wheat grits/20% wheat flour의 시료구(試料區)에서 얻었다.

  • PDF

연질밀의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 및 제품의 제조적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Product Potentiality of Soft Wheats)

  • 임은영;장학길;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12-418
    • /
    • 2007
  • 연질밀인 soft white winter(SWW) 밀과 club 밀 각각 6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종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제분특성, 호화특성, mixograph 특성 및 제품특성으로 sugar-snap 쿠키와 스펀지 케이크의 제조특성을 측정하고 이들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Single Kernel Characterization System(SKCS)에 의한 종실의 경도, 무게 및 크기는 SWW밀과 club 밀의 평균간의 유의성은 적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가 비교적 컸다. Straight-grade flour yield, break flour yield, 회분 함량 및 제분평점 등의 제분특성은 SWW 밀과 club 밀 간에 차이가 없었다. Straight-grade flour yield와 break flour yield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805**)이 있었다. SWW 밀과 club 밀의 Rapid Visco Analyze(RVA) 최고점도와 팽창부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의 변이도 적었다. RVA 최고점도와 팽창부피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662**)이 있었다. Mixograph 흡수율은 SWW 밀이 club 밀보다 다소 높았으나 mixograph type은 2M 이하로서 전형적인 연질의 특성을 보였다. Club 밀의 쿠키 직경과 쿠키 top grain score는 SWW 밀보다 좋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는 SWW 밀보다 club 밀이 높았으나 케이크 score는 club 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쿠키 직경과 스펀지 케이크의 부피는 고도의 정의 상관(r = 0.745**)이 있었다.

품종별 쌀가루로 제조한 퀵 브래드 쌀 머핀의 가공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cessing Aptitudes of the Muffins Produced by Rice Cultivars)

  • 김주희;윤미라;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1-547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ocessing aptitudes of the rice muffins produced from the seven rice varieties, including Goami, Goami 2, Deuraechan, Baegjinju, Seolgaeng, Haiami and Hanareum, along with the use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s (HPMCs) as a replacement for the egg white. The water binding capacity of rice flou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heat flour, but its fat binding capacity was lower than that of wheat flour (p<0.05). In the viscosity of the batter, Goami and Baegjinju were lower than that of the wheat flou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cific gravity of Seolgaeng and the batter of wheat flour. The pH of all varieties except Goami 2 was higher than batter of wheat flour(p<0.05). Haiami flour produced higher muffin volume and specific volume compared with the wheat flour muffi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muffins produced by Haiami and Hanareum flours had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than the wheat flour muffin after 30 hours. All rice varieties except Gaomi 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wheat flour muffin in color, taste and texture (p<0.05). Furthermore, flavor of muffins produced from the Seolgaeng, Haiami and Hanareum flours tested higher than the wheat flour muffin. It was concluded that the rice varieties of Seolgaeng, Goami, Haiami and Hanareum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rice cultivars for the rice muffins.

제빵과정에 있어서 밀가루 지방질, 쇼트닝 및 유화제의 역할 (A Three Way Contribution of Wheat Flour Lipids, Shortening and Surfactants to Bread-making)

  • 정옥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4-89
    • /
    • 1981
  • Breadmaking is a complex system in which many variables govern the production of acceptable bread. Lipids, a minor component of wheat flour, function importantly in bread-making. Shortening, or fat, is one of the essential ingredients in commercial baking. Beneficial shortening effect depends on type and quantity of lipids present in wheat flour and also on wheat flour quality. Surfactants have been used in baking industry during last decade because certrain surfactants can replace shortening and/or natural flour lipids. A proper combination of lipidshortening-surfactant is mor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specialty breads such as whole wheat breads, high protein breads, high fiber breads or even non-wheat composite breads rather than in the production of regular white breads. This presentation is a review of recent studies on the contribution of flour lipids, shortening, and surfactants,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e production of breads; illustrations are mainly from data obtained in the author's laboratory.

  • PDF

쌀가루와 밀가루 복합분(複合粉)의 제면성(製麵性)시험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Rice and Wheat Flours)

  • 이경혜;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4
    • /
    • 1981
  • 쌀가루와 밀가루의 복합분으로 제면을 시도하였고, 쌀가루에 결착성을 주기위한 방법으로 팽화미가루를 조제하여, 쌀가루, 밀가루와 함께 복합분의 시료로 삼았다. 원료분 및 복합분들에 관한 amylogram 특성치를 측정하였으며, 복합분으로 제조한 면제품을 조리시험하여 밀가루면과 비교하였고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원료분의 amylogram 특성치는 그 최고점도에 있어서 쌀가루가 가장 높았고, 복합분에 있어서는 의 경우가 밀가루의 점도특성에 접근하였다. 2. <쌀가루+팽화미가루$30{\sim}40$> 복합분에 XG $1.5{\sim}2%$와 밀가루 $40{\sim}50%$를 혼합하였을때 제면적성과 조리시험 결과가 향상되어 밀가루면과 차이가 없었다. 3. 관능검사 결과 <쌀가루+팽화미가루+밀가루> 복합분에 XG을 첨가한 것이 약간 더 효과적이었으며 팽화미가루 함량이 30%인 복합분으로 만든 면제품은 기호성에 있어서 밀가루면과 유의차가 없었고, 냄새와 맛에서는 오히려 밀가루면 보다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