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 wip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방사성동위원소 누설 점검을 위한 건식 및 습식 문지름 시험법 연구 (A Study on Dry and Wet Wipe Test for Radioisotope Leakage Checking)

  • 박상민;유승희;최규석;이화형;홍사용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05-312
    • /
    • 2018
  • 유리 표면에 방사성동위원소 $^{14}C$를 고착시키고 문지름 시험을 통해 시험용지별 전이 인자와 표면 형상을 관찰하여 방사성동위원소 누설 점검을 위한 건식 및 습식 문지름 시험법을 연구하였다. 건식 문지름 시험법은 티슈 용지가 종이 필터를 대체 가능할 정도로 2배 높은 전이 인자를 보였고, 습식 문지름 시험법은 종이 필터 용지가 티슈 용지에 비하여 3배 높은 전이 인자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누설 점검을 위해 종이 필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건식 문지름 시험법에서 티슈 용지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on the non-woven in wet wipes using ICP-MS

  • Choi, Sung-Min;Song, Jin-Kun;Kim, Sang-Ji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5-203
    • /
    • 2016
  • Heavy metals have been analyzed on the non-woven from the 24 kinds of wet wipes and 8 kinds of mask packs. The following materials used in the non-woven according to each product are: rayon+polyester for the 12 wet wipe products, rayon+PET for the 5 wet wipe products, and rayon, cotton, rayon+polyester+cotton, pulp+polypropylene for the rest of the wet wipe products. No further information on the materials was found on the 3 wet wipes and 8 mask packs. However, polyester may be applied for the non-woven in wet wipes, because PET is part of the polyester group. The heavy metals analysis in the 24 kinds of wet wipes and 8 kinds of mask packs revealed the following: arsenic was found from $47.14{\pm}1.13$ to $71.75{\pm}1.64{\mu}g/L$ on the 3 products, the amount of nickel in the 2 products were $261.26{\pm}5.14$ and $1,242.63{\pm}43.71{\mu}g/L$, $53.69{\pm}1.45$ and $103.52{\pm}2.02mg/L$ on the 2 mask packs. It was also revealed that lead was detected from $7.23{\pm}0.32$ to $55.67{\pm}1.46{\mu}g/L$ on the 6 wet wipes, antimony was ranged from $187.86{\pm}5.24$ to $19,558.35{\pm}3,537.30{\mu}g/L$ on the 12 wet wipes, and $5.25{\pm}0.25$ and $8,936{\pm}55.22{\mu}g/L$ on the 2 mask packs. No cadmium, mercury, or thallium were detected from all the products. A high concentration of antimony might come from antimony trioxide, which was used as a catalyst when manufacturing the polyester.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 non-woven used for cosmetic purposes should not use heavy metals as a catalyst when manufacturing, and it's important to clarify which materials are used in non-woven.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Woven and Nonwoven Wipes

  • Das A.;Kothari V. K.;Mane D.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4호
    • /
    • pp.318-321
    • /
    • 2005
  • Demand for the fabric wipes is growing continuously. Wipes in industry are used for cleaning purpose. Cleaning involves rubbing ac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much frictional force is encountered during the cleaning a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ormal load, sliding speed on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nonwoven and woven wipes, both dry and wetted with different liquids, against glass and floor tile surfaces have been reported. With the increase in the normal loa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goes on decreasing for both nonwoven and woven wipes and this trend is observed in both dry and wet wip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both nonwoven and woven wipes against glass surface is in general higher than the floor tile surface. The wipes wetted with water shows an increase in coefficient of friction as compared to dry sample, but there is reduction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wipe samples are wetted with vegetable oil. In case of dry wip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 case of nonwoven wipe is higher than the woven wipe. In case of woven wipes, the ranges of coefficient of friction either due to change in liquid type, normal load or sliding speed are in general smaller than that in case of nonwoven fabrics.

소금물의 전기분해수가 첨가된 물티슈의 항균력 연구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Wet-tissue Saturated with Electrolytic Water of NaCl Solution)

  • 서진호;이동진;이명구;오덕환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6호
    • /
    • pp.147-153
    • /
    • 2015
  • Wet-tissue has been used for baby wipe, cleansing pads, industrial wipes, pain relief, personal hygiene, pet care, and healthcare at home, care facilities, restaurant, and hospital. Raw materials of wet-tissue are mainly natural fibers and synthetic fibers such as cotton, rayon,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so on. In this study, electrolytic water of NaCl solution was used as fluid in wet-tissue, and the effect of raw materials on antibacterial rate of wet-tissue was investigated. Rayon (100%) showed an excellent antibacterial rate compared with cotton (100%) and rayon:PET (50:50). Antibacterial rate increased as Cl concentration of electrolytic water increased. Absorption of rayon:PET (50:50) was uneven and antibacterial rate of wet-tissue slightly increased by increase of Cl concentration. Antibacterial rate of wet-tissue was 100% under the conditions of more than 1.5 mL of electrolytic water dosage, and dropped under 50% after storage period of 48 hours.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 조사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from General Restaurants)

  • 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7-241
    • /
    • 2016
  •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중음식점, 커피전문점 및 제과 제빵점 등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를 대상으로 미생물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일회용 물티슈 55종을 사용하였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 55종의 평균 세균 수는 $4.14{\times}10^3CFU/mL$이었으며, 세균이 자라지 않은 물티슈는 5종이었다. 가장 높게 측정된 세균 수는 2종의 물티슈에서 $16.67{\times}10^3CFU/mL$ 이상으로 나타났다. 순수 분리한 총 균수는 71균주이며, 이 중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15균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3균주를 동정하였다. 이는 대중음식점에서 공급하는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영하며 기회감염의 원인이 되는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발견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일회용품이며, 수개월 내지는 1~2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제품인 일회용 물티슈의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 조사(2)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in General Restaurants 2nd)

  • 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3-27
    • /
    • 2022
  •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중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를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표시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와 세균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일회용 물티슈 32종류 중 5 종류의 일회용 물티슈는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가 표기되어 있지 않았다. 제조연월일과 유통기한은 12 종류의 물티슈만 표시 되어있었다. 일회용 물티슈 32종류 중 9종류의 물티슈에서 세균 집락이 배양되었으며, 23종류(71.9%)의 물티슈에서는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세균을 동정한 결과 그람양성알균은 Staphylococcus haemolyticus 4균주, Staphylococcus hominis 1균주, Staphylococcus warneri 3균주, 그람음성막대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1균주로 동정되었다. 동정된 그람양성알균 8균주에 대한 항균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한 결과 oxacillin, vancomycin 감수성으로 MRCNS(methicillin resista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동정된 그람음성막대균 1균주에 대한 항균제감수성검사 결과는 imipenem, meropenem에 모두 감수성으로 다약제내성균은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위생용품으로 지정된 일회용 물티슈 개별 포장지 겉면에 반드시 제조년월일과 유통기한을 표기하고, 보관기준을 준수하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티슈를 사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수종의 단일병 접착제의 적용 시간 연장이 건조 상아질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REASING APPLICATION TIME OF SINGLE BOTTLE ADHESIVES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RIED DENTIN)

  • 김학근;김동준;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35-441
    • /
    • 2005
  • 본 연구는 친수성 용매가 함유되어 있는 3종의 단일병 접착제의 적용 시간을 증가시켰을 때, 건조 상아질에 대한 재습윤의 효과가 있는지를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대상은 최근에 발거한 상하악의 대구치로, 교합면 1/3부위의 치질을 치아 장축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32\%$인산 (Unietch, Bisco Inc., Schaumburg, IL, USA)으로 15초간 산부식 하고 수세하였다. 치아는 무작위로 S군 (Single Bond), O군 (One-Step), P군 (Prime & Bond NT)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은 다시 3군 (W: 상아질 표면의 남아있는 과잉의 물을 수분에 적신 거즈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즉시 단일병 접착제를 적용하고 광중합, D : 30초간 건조 한 후 즉시 단일병 접착제를 적용하고 광중합, 30: 30초간 건조 한 후 단일병 접착제를 30초간 적용하고 광중합)으로 소 분류하였다. 접착제 도포 후, 복합레진을 축조하고 접착계면이 $1mm^2$가 되도록 절단하여 각 군당 20개의 표본을 사용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5군,0군의 30초 적용군 (S-30, O-30)은 건조군 (S-D, O-D)보다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S-30군의 경우 S-D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05). 하지만, P군의 30초 적용군 (P-30)은 건조군 (P-D)에 비해 미세인장 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