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 Feeding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6초

평생이모자반 젖산 추출물이 성장기 암컷흰쥐의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ic Acid Extracts of Sargassum horneri on Bone Formation in Female Sprage-Dawley Rats)

  • 전준영;이수영;김병목;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5-30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lactic acid extract of Sargassum horneri (ExSL) as a calcium supplement on bone formation in 48 female Sprague-Dawley rats for 4 weeks of their growth phase.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diet: two calcium-sufficient and two calcium-deficient diets. The normal control group (NC) was fed AIN-93G; the NCS group was fed the same diet containing 1% extract; the calcium-deficient control (DC) diet was based on AIN-93G; and the DCS group received the same calcium-deficient diet plus 1% extract. Bone formation in the rats was evaluated using the wet weight, length, diameter,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femur. Serum parameters were also examined. The food intake among th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The NCS group gained the most body weight, while the DC group gained much less weight than the other groups. The feeding efficiencies of the groups that received the extract (NCS and DC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NC and DC). The calcium intakes of all groups depended on the amount of calcium in the feed; the NCS and DCS diets contained 12.15 mg more calcium than the NC and DC diets. The calcium absorption was lower in NCS than in DC and DCS, but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C (P<0.05). The BMDs in the calcium-sufficient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hile in the calcium-deficient groups the BM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CS than in DC (P<0.05). The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levels in all groups were not associated with markers of bone growth related to the extract. The osteocalcin conten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ase) activity were higher in the calcium-deficient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s (P<0.05). Ultimately, the osteocalcin content and ALPase activity were lower in DCS compared to D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ExSL promotes bone formation and calcium absorption in growing rats.

유형별 완전혼합사료 급여가 반추위내의 발효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TMR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ents Digestibility in Sheep)

  • 이덕윤;고종렬;최낙진;이상석;송재용;이세영;박성호;성하균;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05-812
    • /
    • 2003
  • 본 시험은 유형이 서로 다른 세 가지 형태의 TMR을 반추위에 누관이 장착된 면양을 이용하여 3${\times}$3 라틴 방각법으로 반추위내 발효성상, 효소역가 및 전장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반추위 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 총 VFA, 각종 VFA생성량, A/P ratio 및 각종 효소(CMCase, Xylanase 및 Protease) 역가는 건TMR를 급여했을 때와 비교하여 습TMR과 발효TMR급여 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조지방, NDF 및 ADF의 전장 소화율도 건TMR 급여 시 보다 습TMR과 발효TMR를 급여했을 때 높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보다 안정적이고 활발한 반추위 발효과정과 영양소 이용효율 측면에서 건TMR보다 습TMR이나 발효TMR이 우수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상황버섯균사체청국장이 고지혈증을 유도한 암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myceria on Lipid Metalbolism in Adult Female Rats)

  • 최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79-1683
    • /
    • 2009
  • 청국장 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암쥐에 4주간 고지방식이 (0.1% 콜레스테롤, 10% 지방)로 고지혈증을 유도한 후 대조군(고지방 식이), 청국장군(고지방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고지방 식이에 단백질원으로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을 첨가한 식이) 3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은 15.99 g의 증가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 청국장군은 각각 4.47 g 및 1.89 g 증가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도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궁주위 지방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AI는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무게, 수분함량 및 총지질 배설량은 청국장군들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균사체 청국장 분말 첨가 섭취시 흰쥐의 체중감소와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며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이 증가되어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력(風力) 및 습식비중(濕式比重) 선별(選別)에 의한 혼합(混合)폐플라스틱 종말품(終末品)으로부터 PVC 제거(除去)에 관한 연구(硏究) (Removal of PVC from Mixed Plastic Waste by Combination of Air Classification and Centrifugal Process)

  • 최우진;유재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5호
    • /
    • pp.71-76
    • /
    • 2007
  • 가정에서 분리 배출된 폐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수선별 등 분리선별 공정을 거친 후 종말품으로 회수되어, 현재 대부분이 매립이나 소각되고 있다. 혼합폐플라스틱 종말품의 경우 2006년 약 175만톤 발생된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EPR실시 이후로 발생량은 2000년에 비해 2배 이상 크게 증가한 실정이다. 특히, 혼합폐플라스틱 종말품의 경우 PVC 함량(4 wt.% 이하)이 매우 높아 이들의 재활용에 커다란 제약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폐플라스틱 종말품으로부터 풍력 및 습식 비중선별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올리핀계 (PE, PP, PS) 플라스틱을 경량물로 회수하는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선별시스템은 풍력선별, 자력선별, 1단계 파쇄, 정량공급 및 습식 비중선별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식 비중선별 공정은 원심분리를 기본으로 혼합-세척-선별 및 탈수가 단일장치내에 집약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질 플라스틱의 분쇄 효율을 크게 개선한 파쇄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습식 비중선별장치의 용량은 시간당 0.5 톤으로, 이를 이용하여 회수된 경량물의 PVC 함량은 0.3wt.% 이하이며, 경량 및 중량 회수물의 수분 함량도 각각 10% 이하를 달성하였다.

작물건조제 Diquat의 벼 수확전처리 건조효과 및 이용성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Rate of Diquat on Preharvest Field Drying of Rice)

  • 권용웅;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6
    • /
    • 1981
  • 벼를 곡립함수율(습양기준) 28~20%인 시기에 예취하고 논에서 곡립함수율 17% 정도까지 일시 건조한 후에 탈곡하고 정조를 곡립함수율 14~15%까지 재건조한 후 유통 또는 저장하는 일반적인 우리나라 관행 수확조제체계에서는 정조 수확손실이 크고 완전미수율이 떨어지기 쉬워 그 개선이 요구되는 바, 국내에서 최근에 작물 수확전 처리 건조제로 등록 사용허가된 diquat의 효용성과 문제점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인.일형 품종 수원 26004와 밀양2003, 일본형 품종 진흥이었고, diquat의 처리시기와 처리량이 곡립함수율, 정조천발중, 벼알탈입성, 제책율 및 정백률과 동할미율, 수미율, 심복백미율, 청미율, 색택 및 냄새 등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Diquat의 수확전처리 벼 건조효과는 인.일형품종들에서는 뚜렷하나 일본형 품종에서는 무처리구와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2. 인.일형 품종들에 대한 처리적기는 벼의 생리적, 성숙기 2일전~3일후의 기간이었고, 처리기량은 diquation 336g/ha (diquat dibromide 20% 함유한 상품 Region 액제 300cc/10a) 수준이었으며, 처리적기에 적량을 살포할 경우 수확기의 곡입을 함수율은 15~16%로써 무처리구 20~24%에 비하여 5~8%의 건조효과가 있었고 예취와 탈곡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수분조건이었다. 3. Diquat을 처리하면 벼알의 탈립성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0~15% 정도 감소되었다. 4. Diquat을 적기에 철포하면 정조수량, 제해율 및 정백률에 영향하지 않았다. 5. Diquat 처리는 동할미, 수미 및 심복백미율에는 영향하지 않고 청미율은 현저히 감소시켜 품종을 향상시켰다.

  • PDF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발육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cteristics of Hanwoo Steers)

  • 조영무;권응기;장선식;김태일;박병기;강수원;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3호
    • /
    • pp.363-372
    • /
    • 2008
  • 본 연구는 거세한우 비육시 섬유질배합사료의 급여가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 기존의 분리급여 방법과의 경제성을 비교검토코자 실시하였다. 생후 약 6개월령(평균체중 153kg 내외)의 거세 한우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사양시험은 생후 6개월령부터 28개월령까지 약 22개월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배합사료와 볏짚 분리급여구(Control), 습식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구(TMRⅠ), 맥강 20%(TMRⅡ) 및 40%(TMRⅢ) 함유 건식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구 등 4처리로 하여 각 처리당 15두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맥강 20%를 첨가한 건식 섬유질배합사료구가 0.70kg으로 모든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전기간 kg 증체당 사료요구량은 대조구가 11.63kg 이었고,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구인 TMRⅠ, TMRⅡ 및 TMRⅢ구는 각각 9.29, 10.46 및 10.71kg 이었다. 도체율과 거래정육율은 모든 처리구가 각각 59% 및 63% 내외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 0.05), 배최장근 단면적, 등지방 두께, 육색 및 지방색 역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p>0.05). 근내지방도는 TMRⅠ구가 5.0으로 분리급여구의 3.4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TMRⅠ구와 TMRⅡ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 결과 분리급여구에 비해 TMRⅡ구가 사료비는 25% 정도 절감되었고, 소득은 19%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거세한우 비육시 섬유질배합사료 급여가 비육우의 생산성 및 도체특성 개선과 생산비 절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용천뽕에 관한 연구 II. 한랭사 피복사육에 따른 용천뽕(Morus alba L.)의 사료가치 (Studies on the Mulberry Variety "Yongchonppong"(Morus alba L.) II. Increasing Effect of Mulberry Leaf Value for Food by Cover Rearing with Vinylon Gauze)

  • 박광준;양성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1-27
    • /
    • 1993
  • 용천뽕 급상후에 위조억제에 의한 사료가치향상을 목적으로 수원(1989, 1992년)과 춘천(1990년)에서 위조억제자료인 한냉사를 잠좌에 피복하여 가지뽕치기로 누에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피복방치상태에서 용천뽕의 뽕잎 수분감모율은 최초 3시간 내에는 개량뽕보다 뚜렷이 많았으며, 용천뽕의 뽕잎위에 한냉사를 피복한 경우에는 6시간내의 수분감모율은 무피복구 보다 건조한냉사구는 7%, 흡수한냉사구는 7~26% 정도 낮았다. 2. 기상환경이 건조한 춘잠기에 용천뽕을 급잠후 한냉사피복사육을 한결과 수견량이 개량뽕 무피복사육보다 7%, 용천뽕 무피복사육보다 9% 증수되었으며, 견층비율이 큰 차이 없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3. 우리나라의 예년 기상환경보다 약간 다습한 환경에서는 용천뽕 급상 한냉사 피복사육은 용천뽕 무피복사육보다는 사육성적이 다소 우수하지만 개량뽕 무피복사육에는 미치지 못하여 뽕품종 고유의 엽질차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더우기 비오는 빈도가 잦은 환경에서는 한냉사피복사육 효과는 없었다. 4. 한냉사의 종류에 따른 피복효과는 공시한 300호(두께 24.0x10-2mm, 21.5mesh)보다 100호(두께 42.0x10-2mm, 15.2mesh)가 다소 우수하였다.

  • PDF

국내 TMR 배합소에 대한 실태조사 (The Survey of Total Mixed Ration Plant in Korea)

  • 기광석;이왕식;이현준;김상범;백광수;임근발;조원모;김현섭;정하연;여준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9-106
    • /
    • 2008
  • 본 시험은 국내 TMR 배합소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TMR 배합소 20개소 조사결과 조사 배합소의 65%인 13개소가 사료배합비 작성을 외부에 의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합비 작성 등 컨설턴트 비용으로 월 평균 $50{\sim}90$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어, 컨설팅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경영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 TMR에는 에너지가인 TDN가를 표기하고 있지 않아 농가에서 구입 활용 시 적정영양소 균형급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유통 TMR에 대한 건식 TMR의 추정 TDN가는 개인공장 TMR 63.0, 생산자단체 TMR 73.2로 나타났으며, 습식 TMR의 추정 TDN가는 개인공장 TMR 64.9, 생산자단체 TMR 67.2로 생산자단체의 TMR이 개인공장의 TMR 보다 에너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MR 배합소에서 생산되는 TMR 제품의 가격은 건물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kg당 건식 TMR은 $325.6{\sim}347.0$원이었으나 습식 TMR은 $365.7{\sim}375.0$원으로 습식 TMR의 가격이 높았다. TMR 배합소 종사자들의 TMR의 확대 보급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TMR 교육 및 홍보와 TMR 배합비 작성능력 향상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국내 TMR 배합소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종사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뒷받침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치어의 산소소비, 암모니아 질소배설 및 체조성에 미치는 사료내 에너지/단백질비의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Energy/Protein Ratio on Oxygen Consumption, Ammonia Nitrogen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in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창한;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2-420
    • /
    • 1995
  • 일정한 에너지를 함유한 사료내의 에너지 /단백질의 비를 11.5, 8.7, 7.0으로 각각 다르게 제조한 사료를 조피볼락, S. schlegeli이 치어에 공급시킨 후 24시간동안 2시간 간격으로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률을 측정하고 어체를 분석하여 이들에 미치는 사료내 에너지 /단백질비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료 I, IIl, III을 각각 공급시킨 실험군의 평균산소소비율은 각각 $0,93\pm0.02^a,\;0.92\pm0.02^a\;and\;1.03\pm0.03^bml\;O_2/g/h$ml 이었다. 즉, 사료 III 공급군의 평균산소소비율이 다른 사료공급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사료 공급 후 24시간동안 평균 암모니아 질소배설률은 사료내 에너지/단백질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사료 I, II, III의 공급군에서 평균 암모니아 배설률은 각각 $9.14\pm0.39^a,\;12.41\pm 0.53^a\;and\;14.89\pm0.55^c\;{\mu}g\;N/g/h$ 로 나타났고 각 실험군간의 평균암모니아 배설률값들은 모두 유의한 차를 보이고 있다 (P<0.05). 어체내 단백질 함량은 사료 II의 공급군에서 $6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 I, II 공급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그리고 체내 지질 함량은 사료 II의 공급군에서 $16.0\%$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사료 I의 공급군에서는$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분함량은 에너지/단백질비가 낮아짐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며 탄수화물 함량은 사료 I에서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질, 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사료 I, II, III의 공급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료 II가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한 결과 조피볼락 치어에 대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Review of Production, Husbandry and Sustainability of Free-range Pig Production Systems

  • Miao, Z.H.;Glatz, P.C.;Ru, Y.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615-1634
    • /
    • 2004
  • A review was undertaken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ustainability of pig free-range production systems includ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health of pigs in the system. Modern outdoor rearing systems requires simple portable and flexible housing with low cost fencing. Local pig breeds and outdoor-adapted breeds for certain environment are generally more suitable for free-range systems. Free-range farms should be located in a low rainfall area and paddocks should be relatively flat, with light topsoil overlying free-draining subsoil with the absence of sharp stones that can cause foot damage. Huts or shelters are crucial for protecting pigs from direct sun burn and heat stress, especially when shade from trees and other facilities is not available. Pigs commonly graze on strip pastures and are rotated between paddocks. The zones of thermal comfort for the sow and piglet differ markedly; between 12-22$^{\circ}C$ for the sow and 30-37$^{\circ}C$ for piglets. Offering wallows for free-range pigs meets their behavioural requirements, and also overcomes the effects of high ambient temperatures on feed intake. Pigs can increase their evaporative heat loss via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et skin by using a wallow, or through water drips and spray. Mud from wallows can also coat the skin of pigs, preventing sunburn. Under grazing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ibre intake of pigs although a high energy, low fibre diet can be used. In some countries outdoor sows are fitted with nose rings to prevent them from uprooting the grass. This reduces nutrient leaching of the land due to less rooting. In general, free-range pigs have a higher mortality compared to intensively housed pigs. Many factors can contribute to the death of the piglet including crushing, disease, heat stress and poor nutrition. With successful management, free-range pigs can have similar production to door pigs, although the growth rate of the litters is affected by season. Piglets grow quicker indoors during the cold season compared to outdoor systems. Pigs reared outdoors show calmer behaviour. Aggressive interactions during feeding are lower compared to indoor pigs while outdoor sows are more active than indoor sows. Outdoor pigs have a higher parasite burden, which increases the nutrient requirement for maintenance and reduces their feed utilization efficiency. Parasite infections in free-range pigs also risks the image of free-range pork as a clean and safe product. Diseases can be controlled to a certain degree by grazing management. Frequent rotation is required although most farmers are keeping their pigs for a longer period before rotating. The concept of using pasture species to minimise nematode infections in grazing pigs looks promising. Plants that can be grown locally and used as part of the normal feeding regime are most likely to be acceptable to farmers, particularly organic farmers. However, one of the key concerns from the public for free-range pig production system is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the past, the pigs were held in the same paddock at a high stocking rate, which resulted in damage to the vegetation, nutrient loading in the soil, nitrate leaching and gas emission. To avoid this, outdoor pigs should be integrated in the cropping pasture system, the stock should be mobile and stocking rate related to the amount of feed given to the ani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