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l Dying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1초

영적간호중재가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송미옥;김정남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4권2호
    • /
    • pp.9-2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spiritual wee-being and depression level of the hospice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2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the hospice care unit from July 28, 2000 to October 31, 2002 in D city K hospital. Subjects were 31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It was devis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given by using the therapeutic use of self, Scripture, prayer, Hymn and music, use of church community involvement and refer to pastors according to assessment of patients' spiritual need for 3 weeks(total 12 times and 1 hour per each intervention). Sangsoon Choi(1990) and Jungho Kang(1996)'s spiritual well-being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Palautzian and Ellison(1982)'s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used to investigate patients' spiritual well-being. To investigate level of depression, OkHyun Song(1977)'s Depression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Zung(1965)'s Depression Inventory,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Win 10.0 program. Results: 1.The 1st hypothesis, 'total spiritual well-being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6.28, p=0.015, Interaction: p=0.000). 2.The 1-1st sub-hypothesis, 'religious well-being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12.75, p=0.001, Interaction: p=0.000). 3.The 1-2nd sub-hypothesis, 'existential well-being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6.87, p=0.016, Interaction: p=0.000). 4.The 2nd hypothesis, 'depression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supported(F=10.45, p=0.002, Interaction: p=0.000).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piritual well-being state and decrease depression level for the hospice patients. In the future, when the spiritual intervention, which the researcher developed, applied on nursing field, the hospice patients can have comprehensive well being including spiritual well being and peaceful dying life.

  • PDF

행복 인식에 따른 호스피스 준비의 관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est in Hospic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Happiness)

  • 장경희;이서희;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89-498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인들 가운데에서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삶의 태도나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행복에 따른 죽음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행복지수가 높은 그룹과 행복지수가 낮은 그룹간의 호스피스 관심이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2017년 4월 22일 D 광역시에서 열린 걷기대회 행사에 참가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 특성이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결혼상태, 가족 동거여부, 종교, 건강상태 8항목이었다. 행복에 관한문항은 총 29항목, 죽음 인식은 9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통계 검정법으로는 설문지의 항목에 대하여 행복지수를 기준으로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종하기 적합한 장소에 관한 문항에서 행복지수가 낮은 그룹은 "의료기관"이 46.3%로 가장 높았으며, 행복지수가 높은 그룹에서는 "살던 집"이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에서 임종하는 경우가 훨씬 많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환자들이 원하는 편안하고 익숙한 장소인 집에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는 방법인 가정형 호스피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의 확보 및 교육 등 관리체계를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보여 진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죽음인식을 높이고 호스피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Audio-visual Aids of Death Education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서미숙;강유정;윤지윤;김태연;조혜준;박소연;이시연;장지혜;김유진;강믿음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3호
    • /
    • pp.240-248
    • /
    • 2016
  • 목적: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목적은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줄이고 삶과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는 것은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환자와 보호자는 남은 삶 동안 임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임종과정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요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매뉴얼화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시청각 자료 개발을 위해서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접근하기 쉬운 파워포인트 유인물로 초기 교육자료 개발하였고 다섯 차례에 걸친 전문의의 자문과 수정 및 보완, 평가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시청각 교육자료는 3차시 5단계로 분류하였으며 교육 소요시간은 총 26분 34초이다. 최종 교육프로그램은 시청각 교육실 협력 하에 촬영하였으며 시청각 자료를 완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완화의료병동의 구축과 전문성 증대를 위해 개발된 매뉴얼화 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로써 큰 의의가 있으며,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뿐 아니라 호스피스 영역 전문 종사자들이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임종교육 자료로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Advances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Taiwan

  • Cheng, Shao-Yi;Chen, Ching-Yu;Chiu, Tai-Yu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292-295
    • /
    • 2016
  • 목적: 대만의 호스피스와 완화 의료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Economist Intelligence Unit에서 평가한 2015년 죽음의 질 지수 등급에서 대만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1위, 세계에서 6위를 기록했다. 이 리뷰 기사에서 우리는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보이는 세 영역, 즉 법률 및 규정, 영적 치료, 연구 네트워크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만 사람에게 적용을 위한 미래의 도전과 전망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방법: PubMed에서 "대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검색어를 이용해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결과: 2000년에 "자연사법"의 통과로 아시아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획기적인 본보기가 만들어지고 확립되었다. 이는 의료진에게 연명치료중지(DNR, do not resuscitate)를 요청할 수 있고 삶의 마지막에 기타 무의미한 의료 행위를 거부할 수 있는 환자의 권리를 보장하며 더불어 정책적 관점에서 완화의료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2015년에 대만은 "환자의 자기결정권 특별법"이라는 선구적인 법률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환자가 그/그녀의 자기의지에 따라 의료 행위를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을 규정한다. 대만 고유의 영적 치료는 2000년에 도입되었는데, 불교 수행을 죽음에 직면한 환자에 적용하기 이전의 임상실습뿐 아니라 강의들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하기 위해서는 불교 사제가 필요하다. 일본-한국-대만 연구 네트워크는 죽음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EASED, Elucidate the Dying process)하기 위한 동아시아 공동의 비교 문화 집단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다. 결론: 대만에서의 호스피스와 완화의료는 정부와 사회의 우선적 합의에 따라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임종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 Death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Professionals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 양경희;권성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4호
    • /
    • pp.285-293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죽음에 대한 태도의 임종 돌봄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탐구하고, 이 두 변수와 관련된 우울, 대처전략들의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 131명이며, J도를 중심으로 2개의 상급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 암병동, 2개의 호스피스 시설, 2개의 전문요양병원 및 2개의 노인병원에서 실시되었다. 자료는 2015년 3월부터 6월에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에는 SPSS/WIN 21.0과 AMOS 18.0 programs을 사용하였고, t-test, factor analysis, ANOVA ($Scheff{\acute{e}}$), Pearson's correlation 및 path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죽음에 대한 태도는 낮았으며(2.63점), 우울 점수는 0.45점이였으나 15.0%의 대상자는 우울관리가 요구되었다. 임종 돌봄 스트레스가 높고(3.82점), 그 중 의료 한계에 대한 갈등이 가장 높았다(4.04점). 스트레스 대처는 낮았으며(3.13점), 대인관계 기피(4.03점), 간식이나 잠을 취하는 기본욕구 충족(3.65점)과 같은 소극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임종 돌봄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우울과 기본 욕구 충족(CS2)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들에게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활용하게 하는 인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된다.

아시아 문화권에서의 상실과 슬픔 (Loss and Grief in Asian Culture)

  • 홍영선;염창환;이경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8
  • Grief is the ordinarily self-limited complex of symptoms and processes that constitute the acute reaction to a significant loss. And it is the reaction of the dying as well as the bereaved. Every culture has had its own ways of grief and mourning. The definition of healthy grief and mourning, in terms of both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length of time it should continue, mostly depend upon the type of culture as well as the type of religion. So the manner of grief and mourning greatly differs from culture to culture. In the most of the Asian countries, influenced by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death is traditionally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life cycle transition. In Chinese culture, many rituals have evolved to help family members deal with their loss, over the past five thousand years. Confucianism taught the virtues of filial piety and righteousness. These rules and many customs added since the time of Cofucius, have been loyally followed and practiced by many Asian people. However, Buddhists have different ideas. They believe in karma and reincarnation and in predetermination of one's present life by good or bad deeds in the present life and past lives. Display of uncontrollable emotion is not encouraged. Continuity of family relations after death is very important. The ancient practice of the ancestor worship is still followed in many Asian households. Many Buddhist do not practice ancestor worship; family members honor the deceased by placing a memorial plate in the temple for continued chanting purposes. The mourning rituals have been dramatically curtailed in the past 50 years. For exampl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forces have shaped the current mourning practices of Chinese in different countries. There are many clinical implications in helping Asian to deal better with the emotional strains of the experience of loss. The therapiest must respect the cultural framework through which the client perceives family losses.

  • PDF

인터페론감마에 의한 A549 폐암세포주 세포독성의 기전 (The Mechanism of Interferon-$\gamma$ Induced Cytotoxicity on the Lung Cancer Cell Line, A549)

  • 오연목;유철규;정화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63-68
    • /
    • 1996
  • 연구배경: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는 항바이러스 효과, 암세포의 형증식 효과, 대식세포 및 B 림프구의 활성화, 주면역복합체(MHC) 항원 발현의 증가 등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터페론감마의 항암 효과는 이미 생체 내외에서 입증되어 실제 폐암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페론감마의 항암효과 기전은 여러가지 가설이 제시되기는 하고 있지만 아직 확립된 것이 없다. 세포의 괴사(necrosis)는 심한 외부의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세포 사망의 형태로 잘 알려져 있다. 생명현상 중 괴사와는 전혀 다른 세포 사망의 과정으로 아포프토시스(apoptosis)가 있다. 아포프토시스는 조직의 항상성(homeostasis of tissue volume), 개체의 발생과정, 장기의 퇴행(regression), tolerance 등의 여러 생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 사망의 과정으로서, 세포질 및 핵이 분절화(fragmentation)되어 죽어가는 능동적 사망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아포프토시스에서는 수동적으로 죽어가는 괴사에서 볼 수 없는 DNA 분절화(DNA ladder pattern)가 특징적으로 관찰된다. 인터페론감마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서 인터페론감마를 폐암세포주인 A549세 처치한 후 현미경(inverted microscope)로 A549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A549세포가 분절화되면서 죽어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인터페론감마의 항암기전으로서 아포프토시스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폐암세포주인 A549세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A549세포에 여러 농도의 인터페론감마를 투여하고 24시간, 72시간, 120시간 후에 MTT(dimethylthiazolyl diphenyltetrazolium bromide) bioassay법으로 세포독성을 정량화하였다. 그리고, 100 unit/ml의 인터페론감마를 A549 세포에 120시간 처치 후, 광학 현미경으로 세포 사망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100 unit/ml의 인터페론감마를 투여하고 120시간이 경과한 후 사망 세포의 DNA를 추출하여 1.5% agarose gel에서 전기 영동을 시행하고 ethidium bromide로 염색 후 DNA ladder pattern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인터페론감마에 의한 A549 폐암세포주의 세포독성 효과는 24시간에는 거의 없다가 72시간부터 120시간 사이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20시간에는 더 증가하였다. 2) 인터페론감마에 의한 A549 세포의 사망 양상은 광학현미경상 A549 세포들이 작은 분절로 나뉘면서 사망하였다. 3) 인터페론감마를 A549 폐암세포주에 처치 후 죽어기는 세포의 DNA를 추출하여 전기영동시킨 결과 아포프토시스(apoptosis)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DNA ladder pattern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의 A549 폐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아포프토시스 과정을 통해서 일어난다.

  • PDF

심폐소생술 금지와 관련된 병원간호사들의 경험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in Korea)

  • 이명선;오상은;최은옥;권인각;권성복;조경미;강영아;옥정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8-30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do-not-resuscitate (DNR) among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8 nurses in 8 different hospitals.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Eight major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DNR decision-making bypassing the patient, inefficienc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NR, negative connotation of DNR, predominance of verbal DNR over written DNR, doubts and confusion about DNR, least amount of intervention in the decision for DNR change of focus in the care of the patient after a DNR order, and care burden of patients with DNR. Decision-making of DNR occurred between physicians and family members, not the patients themselves. Often high medical expenses were involved in choosing DNR, thus if choosing DNR it was implied the family members and health professionals as well did not try their best to help the patient. Verbal DNR permission was more popular in clinical settings. Most nurses felt guilty and depressed about the dying/death of patients with DNR. Conclusion: Clearer guidelines on DNR, which reflect a family-oriented culture, need to be established to reduce confusion and to promote involveme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DNR among nurses.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Koreans' Traditional View on Death)

  • 권복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3호
    • /
    • pp.155-165
    • /
    • 2013
  • 한국인의 전통적 죽음관은 유교, 불교, 도교, 그리고 샤머니즘의 깊은 영향을 받았다. 유교에서는 죽음이 모든 생명이 겪는 자연스러운 운명이며, 죽음을 고민하기보다는 현세의 삶에 충실할 것을, 도교에서는 삶과 죽음이 크게 다르지 않으니 자연에 순응하여 살아갈 것을, 그리고 불교에서는 삶과 죽음이 모두 허상임을 깨달으면 궁극적인 진리에 도달하여 죽음을 극복할 수 있다는 가르침을 배웠다. 이러한 사상들은 한민족 고유의 샤머니즘과 결합하여 현세를 중시하지만 사후세계와 윤회전생을 믿는 태도를 낳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습들은 역사를 통해서 매우 다양한 내러티브들로 나타나며 현대 한국인들이 죽음을 맞는 모습에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에스닉(Ethnic)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2005년 S/S부터 2010년 F/W까지 파리.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Study on Ethnic's Major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Focus on 2005 S/S - 2010 F/W Paris, Milan Collection-)

  • 김영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844-1858
    • /
    • 2010
  • Ethnical tendency follows the current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influence eastwards, highlighting films, architecture and interiors as well as fashion. With this tendency, the ethnic outfits are expressed by various styles.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current ethnic styles with 1,535 ethnic image pieces from 2005 S/S to 2010 F/W of Pr${\^{e}}$t-${\'{a}}$-Porte in Paris and Milan. First, 'ethnic' is to refer to the distinct features of an ethnic group or a country. 'Ethnic look' refers to the adaptation or re-arrangement of various ethnic group's traditional costumes, dying, textile, patterns, color, silhouettes, and accessories. Second, the most popular ethnics in the modern fashion is the African style, followed by India, Japan, China, and Latin America in both collections. Third, the proportion of ethnics decreased, 2005 (14.9%), 2006 (12.8%) and 2007 (8.2%). In 2008 the proportion increased again. 2010 (27.3%) and compared 2010 to 2007, it increased by 20%. By season, S/S had 1.4 times more ethnic styles than F/W with the prevalence of African and Indian styles. Fourth, as of 2005, the ethnic style became colorful and went through changes to combine various images. This is from the polycentric tendency of co-existing various styles with a prevalence of low tone and various colors. It also shows warm colors in front to show a sense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