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in the Park

검색결과 2,015건 처리시간 0.033초

노인복지관 여가활동 참여자의 자아통합감과 전두엽인지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integration and frontal lobe cognitiv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 박혜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19-2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여가활동 참여자들의 자아통합감과 전두엽 인지기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K도, M시 소재한 복지관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1월 16일 ~1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복지관 여가활동 참여대상자들의 현재 만족이 자아통합감의 '생에 대한 태도', '지나온 일생 수용', '현재 삶의 만족'과 통계적 차이를 보였고, 자아통합감은 현재 만족정도에 28.3%정도 설명력을 보였다. 동거인에 따라 전두엽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16.1%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자아통합감과 전두엽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노인 공동체 생활을 함께 할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육아참가가 자신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ticipation in Childcar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thers with an Infant)

  • 박지선;류한수;김정숙;윤정수;박천만;나카지마 카즈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21-532
    • /
    • 2011
  • The study's purpose was to clarify childcare's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thers with an infant. This study included 1,250 households that used 15 nursery centers. The questionnaire asked about the fathers' age, income, working conditions, participation in childcare, recognition of sense of usefulness to their family, marital satisfaction, mental heal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QOL), and the mothers' age, number of children,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working conditions. A casual model was examined using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contributed to health-related QOL through the recognition of feeling useful to their family. Seco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contributed to marital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health -related QOL and improved mental health. Thir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contributed to health related QOL through the recognition of feelings of useful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indirec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mot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is important to help prevent many problems and to improve QO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Quantitative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A Preliminary Study

  • Park, Subin;Won, Eun-Kyung;Lee, Ji Hyun;Yoon, Soyoung;Park, Eun Jin;Kim, Yen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2호
    • /
    • pp.80-85
    • /
    • 2018
  • Objectives: We aimed to assess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Quantitative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Q-CHAT).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the Q-CHA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1.5-5 were completed by parents of 24 toddlers and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80 unselected toddlers and preschoolers. Parents of the ASD group also completed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scor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Results: The ASD group scored higher on the Q-CHAT than the unselected group.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Q-CHAT was 0.658,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calculated to be 0.836. The estimated area under the curve was 0.793. The total scores of the Q-CHAT in the AS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findings regarding pervasive development problems in the CBCL, SCQ, and CARS. A total score of 33.5 may be a useful cutoff point to use when identifying toddlers at risk of ASD.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Q-CHAT ha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in order to identify toddlers and preschool children at risk of ASD.

김해시 장애인 복지시설 교사의 구강보건지식도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Disability Welfare Facilities Teachers in Gimhae)

  • 박지혜;조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00-5708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지역 장애인 복지시설 교사의 구강보건지식을 알아 보기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0년 8월 실시하였으며, 김해시에 위치한 6개 장애인 복지시설 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문항을 바르게 인지하는 경우를 100점으로 하였을 때 전체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도는 46.4(${\pm}18.0$)점이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식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시설 교사들에서 보수교육을 통한 구강보건교육, 온라인 교육 및 대학 정규 교과과정 자료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예측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 박연환;강희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12-71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using a senior welfare center.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06 using a questionnaire. A total of 248 older adults responded. Results: About one third (34.9%) of participants responded they felt socially isolat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ving, religion, family and belongingness social support, loneliness, depression, family func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number of chronic illnesses between socially isolated and non isolated groups. However, factors influencing social isolation were family function (OR=0.954, CI=0.926-0.982), loneliness (OR=1.042, CI=1.002-1.083), depression (OR=1.041, CI=1.002-1.081), and number of chronic illness (OR=1.657, CI=1.153-2.382). Conclusion: We found that some older adults were feeling socially isolated even though the senior welfare center was a good place to meet peop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older adults suffering from social isolation need special attention and may benefit from interventions which promote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is population.

Q방법론을 활용한 지역사회복지 인식의 유형화 (The Typology of the Perception on Community Welfare using the Q Methodology)

  • 이도희;박희정;김원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15-623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복지의 한 영역인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일련의 진단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복지에서 회자되고 학습되고 있는 다양한 용어(Q표본)를 확보하고, 이들 용어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하여 29명의 응답자인 P표본에게 29개의 진술문인 Q표본을 확보하여, Q표본에 대한 Q분류를 실시하여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즉, <유형 I>은 '주민참여', '유대관계 형성', '주민 삶의 질 향상' 등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 삶의 질- 유대관계강조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I>는 '주민 삶의 질 향상', '지역사회 욕구충족'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 삶의 질-지역사회욕구충족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III>은 '주민참여'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을 강조하고 있어 "주민참여-주민 삶의 질 향상형"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유형화결과를 바탕으로 유형별 응답자 특성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별로 지역사회 복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로써, 가설발견적 접근방법으로써의 유용성을 제고하여 향후 계량연구로의 확장연구를 기대한다.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검증 (A Study on the Structure Model of Social Welfar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

  • 유영주;박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85-92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 특성에 부합한 적절한 진로지원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Lent 등(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초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경험한 3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132명으로, 인지적 요인(결과기대), 흥미요인(전공선택만족), 목표요인(진로결정수준), 수행요인(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SPSS 24.0과 AMOS 24.0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CFI=.904, TLI=.887, RMSEA=.068로 통계학적으로 적합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결과기대가 높을수록 전공선택만족이 높아지고, 이는 진로결정수준을 증가시켜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서 학생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흥미요인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년기 부부역할에 따른 부부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eds of Couple Education According to Couple Role of Elder)

  • 홍달아기;박경옥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83-106
    • /
    • 2004
  • As the lifespan has been expanded, the marital relationship later in life is gett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demand for the education of marital couples to improve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lder cou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uple rol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can be divided into traditional and modern roles. And these variables are shown to be significant in couple role. 2. Need for the education of married coupl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case of spouses having shorter marriage period, religion, and a nuclear family, and doing social activiti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is recognized highly. Those who have a spouse with good health and social activities have experienced a chance to attend the educational program. It is thought that health and social activities have much to do with active living attitude. In case of old age, it can be thought that they don't feel the necessity because they have lived a decent life for a long time. It is just that it comes from the fixed ideas of elder couples who had to spend only a short time with their spouses. That is what elder couples have to overcome. They tend to think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spouses, and they put family relationship before the quality of their own lives. 3. Influence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married couples according to their role. As their role are becoming modern and their mutual trust, affinity, and cohesion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e education of married couples and the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gram are thought to be more necessary.

  • PDF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이용객의 긍정·부정 감정과 신체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Stay Forest Therapy Program on Us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Physical Changes)

  • 이범;박충희;박수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544-552
    • /
    • 2020
  • 본 연구는 국립산림치유원에서 2019년 진행된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숲 속 힐링스테이」에 참가한 49명을 대상으로, 참여 전·후 설문조사 및 혈압, 체성분, HRV 등 신체변화를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장기체류 산림치유프로그램 참여 후에 참여자의 부정감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율신경 균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진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병력 유무에 따른 체력측정 변화를 살펴본 결과 악력 및 제자리높이뛰기 증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병력이 있는 사람들이 병력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증진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형 프로그램 효과검증에서 벗어나 6박7일 장기체류 형태의 산림치유 효과성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노년기 농업노동의 사회복지비용 절감 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rming Labor in Later Life 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 윤순덕;박공주;강경하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109-126
    • /
    • 2005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공공의 사회보장부문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급여를 사회복지비용이라 정의하고, 노인의 농업노동 참여가 사회복지비용 지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농업노동 참여여부에 따라 1인당 그리고 한 해 사회복지비용 지출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소득·의료보장을 위해 지출된 2003년도 교통수당, 경로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국민건강보험급여 등 생계지원비 및 의료지원비를 37개 동·읍·면사무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자료제공 협조를 요청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799명에 대한 원자료를 수집·활용하였다. 65~74세, 75~84세, 85세 이상 등 3개 연령집단별로 분석한 결과, 첫째, 생계지원비 및 의료지원비 모두 모든 연령집단에서 농업노동에 참여한 노인보다 농업노동을 하지 않았던 노인에게 더 많이 지출되었다. 노인 1인당 차액은 연령집단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는데 생계지원비는 113,959~361,132원, 의료지원비는 15,644~51,418원이었다. 둘째, 노인의 농업노동 참여여부는 65~74세, 75~84세 연령집단의 생계비 지출에, 65~74세 연령집단의 의료지원비 지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년기 농업노동 참여에 따른 한 해 사회복지비용 절감액을 산출한 결과, 2003년도 기준 1304억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