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r removal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자연하도 하구부의 방사보에 의한 수리학적특성 해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Sediment Protection Weir on Natural River Estuary)

  • 안승섭;최윤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51-60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at Taehwa river mouth on hydraulic and around river environ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ffects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which is installed to protect water level drop of Ulsan harbor caused by sediments according to flood in Taehwa river, Dong-chun, and so forth may add water quality contamination by flow stagnance in normal and drought period and accumulation of pollutan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estimated from the examination of variation characteristics water depth and level for Taehwa river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that about 0.01m of water depth down according to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occurs when low flow runs between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which is located about 2.3km away from the estuary and Samho-gyo which is about 9.0km away from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and about 0.01~0.56m(directly upstream point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0.56m, Myongchon-gyo 0.14m, Ulsan-gyo 0.03m, and Taehwa-gyo 0.02m) downs when design flood flows between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and the upstream of Taehwa-gyo which is 10km away from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vari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water depth down and so on according to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is slight because water depth variation is only about 1cm between directly upstream point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and Samho-gyo. Next, it is estimated from the examination o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flow velocity for Taehwa river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that about 0.0lm/s of flow velocity increase occurs between the directly upstream point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which is about 2.4km away from the estuary and the directly upstream point of Samho-gyo when low flow runs, and about 0.01~0.44m/s increases between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and Samho-gyo when design flood flows. Therefore, riverbed erosion by the increased flow velocity is concerned but it is thought that the concern about riverbed erosion is not great because the mean velocity is about 0.07~1.36m/s when low flow runs, and about 1.02~2.41m/s when design flood flows for the sector which experiences the flow velocity variation.

  • PDF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변화 (Change in Stream Morphology after Gongneung Weir 2 Removal)

  • 최성욱;이혜은;윤병만;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25-432
    • /
    • 2009
  • 공릉2보는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1970년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근 지역의 토지 이용의 변화로 용도를 다하여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다. 공릉2보는 높이 1.5 m의 소형 보 이며, 공릉천의 하상재료는 가는 모래에서 가는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공릉2보는 2006년 4월 14일 완전히 철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 철거 전 후의 하상재료의 입도분포, 종단 하상고, 그리고 단면형의 변화가 고찰되었다. 보를 포함한 1 km 구간에서 순 퇴적량이 산정되었으며, 결과로부터 평형하상을 유도하는 유사이동 과정이 초반 45일동안 무척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보였다.

영산강 다기능보 운영에 따른 플러싱 및 조류 배제 효과 모델링 (Modeling the Flushing Effect of Multi-purpose Weir Operation on Algae Removal in Yeongsan River)

  • 정선아;이혜숙;황현식;김호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563-572
    • /
    • 2015
  •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 승촌보에서 시행되었던 조류배제를 위한 다기능보 운영 사례를 대상으로, 3차원 모델링을 통한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3년 5월 영산강 승촌보 구간에서 녹조류 Eudorina sp.가 대량 발생하였으며, 집적된 녹조의 배제를 위하여 서로 다른 방법으로 두 차례에 걸쳐 플러싱 방류를 시행하였다. 조류 발생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상세분석과 이해를 위해 고해상도의 3차원 모형 ELCOM-CAEDYM을 적용하여 1개월 동안의 수질과 chl-a 분포를 모의하였다. 모델링 결과 ELCOM-CAEDYM 모형은 실제 조류의 발생 패턴을 우수하게 모의하였으며, 저비용으로 조류 발생에 대한 고해상도의 공간적인 데이터를 재생산 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두 가지 방법의 플러싱 방류 CASE를 분석한 결과, 가동보를 이용하여 플러싱 방류를 실시한 CASE1의 경우 서창교~황룡강 합류지점에 발생하였던 조류는 가동보 운영에 의하여 빠르게 하류로 이동되었으나, 이후 방류량이 감소하면서 보 내에 잔류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소수력발전을 중단하고 고정보를 통한 월류를 실시한 CASE2는 비교적 배제 효과가 크게 나타나 대부분의 조류가 플러싱되어 감소된 것을 관측 자료와 모델링 결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실내실험에 의한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로 인한 하도의 적응과정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channel adjustment processes by weir removal)

  • 장창래;이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1호
    • /
    • pp.951-9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로 인하여, 급경사가 형성된 짧은 구간에서 두부침식과 천급점 변화, 그리고 교호사주의 거동을 고려한 하도의 적응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보 상류에서 두부침식이 발생하여 천급점은 상류로 이동하였다. 실험초기에 빠르게 이동하지만, 시간이 증가하면서 이동속도가 감소하였다. 교호사주가 발달한 조건에서 이동속도는 사주가 발생하지 않은 조건에서보다 빨랐다. 세굴심은 교호사주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서 보다 발생하는 조건에서 더 깊었다. 시간이 증가할수록 최대세굴심은 하류로 이동하며, 최대세굴심의 깊이와 이동속도는 감소하였다. 무차원 최대세굴심은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가 포착되고 되메우기가 진행되면서 이동속도가 감소하였다. 무차원 되메우기 속도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최대세굴심은 감소하였다. 초기에 최대세굴심이 깊은 곳에서 되메우기가 빠르게 진행되며, 최대세굴심이 얕은 곳에서는 되메우기가 느리게 진행되었다. 특히, 무차원 되메우기 속도가 5이하에서는 무차원 최대세굴심이 급격하게 감소하며, 그 이후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HEC-6모형을 이용한 방사보 철거 전후에 따른 하상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Bed Profile Fluctuation According to Before & After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using HEC-6 model)

  • 안승섭;이수식;최윤영;이증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93-10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HEC-6 모형을 이용하여 태화강 본류하도 하구부에 위치한 방사보의 영향에 따른 하상변동특성을 분석 검토함으로서, 향후 태화강 하도종합개발계획 수립시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상변동특성 분석에 필요한 유량 조건은 태화강 하천정비기본계획수립에서 검토된 풍수량, 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조건을 이용하였다. 먼저, 하상변동폭에 대한 분석 결과, 삼호교 하류 하도구간에서는 유하유량이 클수록 세굴과 퇴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삼호교 상류 하도구간에서는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유사이송능을 검토한 결과, 유하유량이 클수록 유사이송능은 큰 값으로 추정되었으나 계획홍수량 유하시 방사보 철거전후의 태화강 하구부의 유사이동능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방사보 철거로 인한 토사유입량 감소대책을 고려하여 태화강 하류부에서 유입되는 동천지류의 최하류부에 하천유지용수 확보와 태화강으로의 유사량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수리 구조물을 설치한다면 방사보 제거 후에도 태화강 최하류부의 유사량 퇴적을 감소시키는 좋은 방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사량 산정공식에 따른 유사 및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Sediment and Riverbed Variation According to Sediment Transportation Functions)

  • 고수현;송인렬;김창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3-27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iverbed variation due to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located on the estuary of the main stream of Taehwa river using I-D finite difference model, HEC-6 model,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estimating sediment transport rate, amount of scour or deposition, and accumulated amount of deposit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removal with various flow rates in the channel. Ackers-White transport function produced the greatest sediment transport rate while Meyer-Peter showed the smallest sediment transport rate at the most down stream area of the watershed through the sediment transport rate analyses for various flow rat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Toffaleti's and Colby transport function were closest to the average valu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results of the sediment transport functions showed up to 8~9 times. Duboy's transport function produced the greatest riverbed variation while Toffaleti's showed the smallest variation through the riverbed variation analys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sediment protection weir. Yang's was closest to the average valu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results of the riverbed variation analyses ranged from 1.4 times to 11 times. It is thought that a sediment transport function must be selected very carefully with respect to the criteria of sediment yield estimation becaus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ediment transport rate and riverbed variation according to flow ra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ediment transport functions, and the differences of sediment transport rate and riverbed varia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sediment transport functions decreased as the flow rate increased.

필터댐에 의한 강중 개재물 저감효과 (Removal of Inclusions in molten Steel by Filter Dam)

  • 조문규;이석근;정두화;남수희;이재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1-207
    • /
    • 1998
  • A tube-type filter dam(or baffle with holes) for ferrous melt refining is applied to the tundish operation for molten steel having low carbon and ultra-low carbon. The changes in the total oxygen content insoluble aluminum content and the distribution of inclusion size in molten steel during tundish operation were in-vestigated at the pouring part strand and mold of tundish. Removal mechanism of inclusions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buoyancy action of the filter dam better than filtration action and the size range of in-clusions filtrated by the filter dam was for 30-50$\mu\textrm{m}$. Decrease in deviation of inclusion content in molten steel was confirmed for appling the filter dam in comparison with using conventional dam and weir. Also the filter dam had the advantage of baffle with holes at lower part in the efficiency of inclusions removal.

  • PDF

응집(凝集) 교반(攪拌) 강도(强度) 및 담전지(沈澱池) 월류(越流) 부하열(負荷率) 개선(改善)을 통한 기존(旣存) 정수장(淨水場)의 정수처리능력(淨水處理能力) 향상(向上) (Upgrading of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Plant Through Improvement of Mixing Intensity of the Flocculator and Weir Loading of The Sedimentation Basin)

  • 최계운;곽창호;김량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52
    • /
    • 1994
  • In this paper, the unit processes in the typical water treatment plant, which need to be expanded because the water demand is over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capacity in the near future, were carefully examined to upgrade the water treatment plant. The models were installed in the fields as a distorted model based upon the hydraulic similitudes. The models having the constant discharge ratio in the unit processes between the model and the prototype were installed as two units to compare the treatment efficiencies. The capacity of the individual unit, which is a model of the prototype of $250,000m^3/day$ capacity, was $24m^3/day$. In the mixing and flocculation experiments, the mixing intensity of flocculators G was selected as the main experimental item. The optimal mixing intensities G, which are 65/sec for experimental discharge of $1m^3/hr$ and 85/sec for experimental discharge of $1.3m^3/hr$, are identified based upon the comparison the relative turbidity removal efficiencies. Also, the outlet weir loading was selected as the main experimental item in the sedimentation process. Through the continuous experiments with the main experimental items of the mixing intensity of flocculators G and the outlet loading of the weir in the sedimentation basin, about 20% upgrading compared to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capacity was obtained.

  • PDF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류구간에서의 홍수도달시간 시나리오 분석 (Scenario Analysis of Flood Travel Time using Hydraulic Model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최현구;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197-207
    • /
    • 2015
  • 대하천사업 이후 낙동강 유역의 수문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낙동강 전 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재산정도 필요한 상황이며 보와 보 사이 구간에 대한 홍수도달시간 산정도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사업 이후의 지형을 반영하여 창녕함안보에서 하구둑까지 홍수도달시간을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유량조건과 수위조건의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류유량, 방류형식, 하류단 경계조건, 지류의 유무에 따라 총 84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유량과 수위에 대해 초기홍수도달시간과 첨두홍수도달시간을 각각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다양한 시나리오들은 홍수예경보시스템, 조류배제운영 등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 -곡릉천 곡릉2보를 중심으로- (Bed Elevation Change in a Stream after Weir Removal - A Case Study on Gokreung No.2 Weir in the Gokreung Stream in Korea -)

  • 권보애;안홍규;우효섭;이동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84-1688
    • /
    • 2007
  •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거나 농업용수를 취수할 목적으로 하도 내에 조성되는 보는 현재 국내에 약 18,000개 정도가 있다. 그러나 최근 도시 인구집중화에 따른 농경지의 도시화, 토지이용의 변화, 취수 시설물의 통합,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많은 수의 보가 제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이러한 보는 하천생태통로의 차단, 미생물 어류의 이동 단절, 수질의 악화 초래, 수변 생물서식처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능이 상실된 보 가운데 곡릉천 곡릉2보를 철거함에 따른 상하류 하상변동을 해석하고자 미공병단의 HEC-6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다. HEC-6 모형의 수치해석을 위해 곡릉천의 단면, 유사량, 입도분포, 수위-유량 곡선을 이용하였고, 보 철거 후 시간에 따른 유사이동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보 상류의 하상세굴과 보 하류의 퇴적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보 철거 후 장기하상변동을 모의한 결과 곡릉천에서의 곡릉2보를 철거함으로 인한 평형하상으로 도달되는 시간은 20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상실된 보를 철거함으로 인해 하류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의 분석은 하천 생태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