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ting averag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2초

시범영양사업지역 주민들의 영양실태조사 보고 (The Nutritional Status of Various Populations Living in Selected Areas for Model Nutritional Work in Korea)

  • 신애자;계승희;김동연;이행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529-538
    • /
    • 1999
  •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pop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ing nutr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of various population living in selected areas for model nutritional work. Seven hundred eighty households(30 households per each area)from 26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November 1 to November 20, 1996. Dietary intake data for two consecutive days were collected at household level by a weighting method. The mean energy intake of the subjects(1,934kcal) was higher than that resulted from the ‘95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1,839kcal). The proportion of energy derived from cereals was 60.1%. The proportion of total protein intake from animal sources was 49.4%.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95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Most nutrients(except iron, thiamin, riboflavin, vitamin C, and crude fiber) were higher than the result of the ‘95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However, the average iron intake was about 68% of the result of ‘95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This may be due to the adjustment of iron content in rice(3.7mg/100glongrightarrow0.5mg/100g) included in nutrient database for calculating nutrient intakes. The mean energy contribution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ere 64.2%, 16.4% and 19.4%,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nutrient intakes were noted among some areas, which may be due to different food intake patter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rticular are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among the areas, suggesting that nutritional improvement programs may need to be developed differently by areas.

  • PDF

Individual Variation of Na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in Korean Women

  • Park, Jung-A;Yoon, Jin-Sook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1권2호
    • /
    • pp.119-1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aily variation of Na intake as measured by dietary methods(weighing vs food analysi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urniary Na excretion and dietary Na intake in 9 healthy free living women aged 25-64 years living in Taegu, Korea. Information on the dietary Na intake for 5 consecutive days was collected using he weighing method. Twenty four-hour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same period to measure the urinary Na excre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Na intake with respect to dietary assessment methodology, dietary intake was measured by the weighing method for three of a total 5 days. At the same time, the meals that subjects consumed each day were collected to analyze daily intake of each subject by the food analysis method. The mean Na intake of subjects for 5 consecutive days by the weighing method was 3558. 5mg. The mean of urinary Na excretion for the same period was 2847.5mg/ Na intake and Urinary Na excretion of each subject ranged from 4475.3 to 2838.4, from 4066.4rmg to 1936.1mg respectively. The mean of Na intake for 3 days by the analysis method and the weighing method were 3044.6mg and 3441.6mg, respectively. Each subject showed a great difference among day-to-day variation of Na intake by the weighting method, analysis method and urinary Na excretion method. Therefore, a short term study period may not be valid to estimate the true average Na intake.

  • PDF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사회연결망서비스(SNS)용 온라인 평판시스템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Credibility Enhancement of Online Reputation Systems for SNS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 조진형;강환수;김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5-120
    • /
    • 2017
  •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연결망서비스(SNS)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즉 소셜 커머스 상의 콘텐츠 또는 상품광고에 대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평판 형성의 신뢰도를 강화시키는 기법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온라인 평판정보는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자의 주관적 성향에 의존적이고 또한 이러한 평가를 자신 또는 판매자의 이익을 위해 악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온라인 여론 형성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업필터링 기법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 평판에 차별적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적용해 SNS용 온라인 평판시스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 평가 값에 각 개인의 신뢰도 가중치를 반영함으로써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평판결과를 제시할 수 있고, 아울러 특정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용자 평판시스템을 악용하는 것을 막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알코올 사용장애 정도에 따른 혈압 및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Blood Pressure and Stress according to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Score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4호
    • /
    • pp.215-22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health, and alcohol-related characteristics on blood pressure and stress according to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From participants in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19 participan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hen they were attending college or university were se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for composite sample data reflecting the composite design elements of stratification, colonization, and weighting. Results: Mean age of onset of alcohol drinking was $17.91{\pm}0.16$ years, the average AUDIT score was $7.56{\pm}0.41$, and 25 (9.1%) participants fell into the high-risk drinking group. In the high-risk AUDIT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was influenced by age, gender, institution, health status, body mass index,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R^2$) was 75.0%.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institution and health status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and $R^2$ was 66.2%. Predictors of stress wer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the age of onset of drinking, and $R^2$ was 57.2%.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in models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tress is greater in those with higher scores on AUDIT.

에지 기반 가변 가중치 벡터 중앙값 필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처리 (The Edge-Based Motion Vector Processing Based on Variable Weighted Vector Median Filter)

  • 박주현;김영철;홍성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C호
    • /
    • pp.940-947
    • /
    • 2010
  • DTV Full HD급이 보편화되면서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잔상효과 제거와 격동적인 화면에서의 고화질 구현을 위해 수신 단에서 후처리 과정으로 움직임 보상 기반 프레임 보간(MCFI)이 사용되고 있다. MCFI는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삽입될 화면을 보간하는데 이러한 움직임 정보를 후처리 없이 바로 사용하는 건 많은 열화 현상 및 보간 된 물체의 구조 변형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 후처리 가법으로서 에지 방향 정보기반 가변 가중치 벡터 중앙값 필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움직임 벡터 처리 가법은 먼저 소벨 마스크와 가중치 최대빈도필터를 통해 에지 정보맵을 생성한다. 그리고 $3{\times}3$ 윈도우 내 움직임 벡터들의 중앙값을 구한 후 그 중앙값과 윈도우 내 움직임 벡터들과의 변위 값을 이용하여 이상치(outlier) 움직임 벡터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에지 정보맵의 에지방향 연속성과 움직임 벡터와의 공간적 상호 연관성을 고려하여 가중치 벡터 중앙값 필터를 적용한다. 실험 결과 PSNR은 "0.5 ~ 1" dB, 유사성 명가 지표인 SSIM은 "0.4 ~ 0.8" %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로버스트 회귀모형에 근거한 영상 잡음 제거 필터 (Image Noise Reduction Filter Based on Robust Regression Model)

  • 김영화;박영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5호
    • /
    • pp.991-1001
    • /
    • 2015
  • 영상은 렌즈를 통하여 형성된 이미지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디지털 기기로 획득한 디지털 영상은 수치화된 자료로 통계분석이 가능하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영상처리 분야에서는 화질의 개선을 위해서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영상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통계적 방법들을 사용하여, 에지의 방향과 크기를 적용한 새로운 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화소들에 대하여 로버스트 회귀모형을 적용하고 해당 화소의 밝기 값을 추정한다. 추정된 화소의 밝기 값은 에지의 크기가 가중값으로 사용되어 평균필터의 성능을 개선한다. 모의실험의 결과, 제안한 방법은 특징을 포함하는 화소를 잘 유지하며, 잡음 제거 성능도 기존의 방법보다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복숭아 경락가격 및 거래량 예측모형 비교 (The Comparison of Peach Price and Trading Volume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김미혜;홍성민;윤상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933-2940
    • /
    • 2018
  • 과일의 경우 다른 작물보다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농업인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날씨를 고려한 작물모형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실류 중에서 비교적 제한된 조건에서 생산되는 복숭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옥답 4.0에서 제공하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대구에서 거래된 복숭아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되는 기상자료는 재배면적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생성하였으며, 1일 전부터 7일 전까지 날씨자료 중 상관성이 높은 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계학습법에 해당하는 랜덤포레스트와 그래디언트부스팅(gradient boosting machine), XGboost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XGboost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경락가격 예측은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지만, 거래량 예측의 정확성은 그리 높지 않았다. 복숭아 거래량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 3개의 기상변수로는 최저온도, 평균최대온도, 강수량으로 나타났다.

수직 히스토그램 기반 그림자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상 감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age Detection System Using Vertical Histogram-Based Shadow Removal Algorithm)

  • 장영환;이재철;박석천;이봉규;이상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1-99
    • /
    • 2020
  • 영상 감지 시스템의 기반 기술인 그림자 제거기술의 경우 실시간 영상처리는 계산의 복잡도가 높아 처리속도가 저하되고, 명도 차이만으로 그림자를 제거하기 때문에 조명이나 빛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중치 적용 부분을 제거하여 계산의 복잡도를 낮추어 실시간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수직 히스토그램을 이용해 그림자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림자 제거 알고리즘 기반의 영상 감지 시스템을 설계 및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영상 감지 시스템에 비해 평균 속도가 약 5.6ms, 검출률이 약 5.5%p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심장동맥 조영 검사 시 검사 조건에 따른 환자 선량 평가 (Evaluation of Radiation Dose to Patients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Conditions in Coronary Angiography)

  • 조용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6호
    • /
    • pp.509-51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imaging conditions and exposure index through clinic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dose calculation programs in coronary angiography examinations. Through this, we aim to analyze the effective dose according to examination condi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ose optimization. In this study,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F(Fluoroscopy), a program for evaluating the radiation dose of patients and the collected clinical data, was used. First, analysis of imaging conditions and exposure index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of the dose report generated after coronary angiography. Second, after evaluating organ dose according to 9 imaging directions during coronary angiography, with the LAO fixed at 30°, dose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ube voltage, tube current, number of frames, focus-skin distance, and field size. Third, the effective dose for each orga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issue weighting factors presented in ICRP(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recommendations. As a result, the average sum of air kerma during coronary angiography was evaluated as 234.0±112.1 mGy, the dose-area product was 25.9±13.0 Gy·cm2, and the total fluoroscopy time was 2.5±2.0 min. Also, the organ dose tended to increase as the tube voltage, milliampere-second, number of frames, and irradiation range increased, whereas the organ dose decreased as the FSD increased. Therefore, medical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s can be reduced by selecting the optimal tube voltage and field size during coronary angiography, maximizing the focal-skin distance, using the lowest tube current possible, and reducing the number of frames.

폐암 영상유도방사선 치료 시 CBCT와 4D-CBCT를 이용한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에 관한 선량 평가 (Absorbed Dose and Effective Dose for Lung Cancer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IGRT) using CBCT and 4D-CBCT)

  • 김대용;이우석;구기래;김주섭;이상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7-64
    • /
    • 2016
  • 목 적 : 폐암 환자의 CBCT와 4D-CBCT를 이용한 영상촬영 시 인접 장기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인체모형팬텀(Anderson Rando Phantom, USA)을 이용하였고, 선량측정 위치는 주요 장기가 위치하는 단면에 광유도발광선량계(Opit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 1~6개를 부착하였다. 인체내부의 주요 장기를 표현하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Lightspeed GE, USA)을 하였다. 선형가속기(CL-IX)와 선형가속기(Truebeam 2.5) thorax 모드에서 인체모형팬텀 폐 하부 기준으로 CBCT 방사선량을 측정하였고, 추가적으로 선형가속기(Truebeam 2.5) thorax 모드에서 4D-CBCT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기존 CBCT와 비교 하였다.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결 과 : CBCT로 촬영한 평균 흡수선량 측정치는 CL-IX의 경우 폐 2.505 cGy, 심장 2.595 cGy, 간 2.156 cGy, 위 1.934 cGy, 피부에 2.233 cGy 이었으며, Truebeam의 경우 폐 1.725 cGy, 심장 2.034 cGy, 간 1.616 cGy, 위 1.470 cGy, 피부에 1.445 cGy 이었다. 4D-CBCT 촬영 시 폐 3.849 cGy, 심장 4.578 cGy, 간 3.497 cGy, 위 3.179 cGy, 피부에3.319 cGy 이었다. 조직 가중치와 방사선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 유효선량 값은 CBCT의 경우 CL-IX에서 폐 2.164 mSv, 심장 2.241 mSv, 간 0.136 mSv, 위 1.668 mSv, 피부 0.009 mSv 이었고 Truebeam의 경우 폐 1.725 mSv, 심장 1.757 mSv, 간 0.102 mSv, 위 1.270 mSv, 피부에 0.005 mSv 이었다. 4D-CBCT에서는 폐 3.326 mSv, 심장 3.952 mSv, 간 0.223 mSv, 위 2.747 mSv, 피부에 0.013 mSv 이었다. 결 론 : 폐암 환자의 CBCT 촬영 시 Truebeam보다 CL-IX 장비에서 받는 선량이 1.3배 정도 더 높게 나왔으며, Truebeam 장비에서 CBCT 보다 4D-CBCT에서 환자가 받는 선량이 2.2배 정도 높게 나왔다. 하지만 4D-CBCT는 환자의 움직임이 큰 경우나 호흡동조 영상유도방사선치료 시 좀 더 정확한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