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s

검색결과 870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 주요 도서지역의 외래잡초 발생현황 (Occurrence of Exotic Weeds in Several Islands in Korea)

  • 김창석;이인용;오영주;오세문;김석철;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9-67
    • /
    • 2010
  • 우리나라 서남부 4개 도서를 대상으로 외래잡초 발생분포를 조사한 결과, 백령도 13과 41종, 흑산도 11과 32종, 추자도 9과 23종, 그리고 거문도에 12과 30종이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18과 70종이 조사되었다. 문제 외래잡초로는 돼지풀, 도깨비가지, 미국실새삼 등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발생정도가 높은 외래잡초는 망초, 개망초, 오리새, 큰이삭풀, 쥐보리, 방가지똥, 선개불알풀 등이었다. 또한 생활형별로는 일년생이 28종으로 전체의 40%를 차지하였으며, 월 년생이 21종(30%), 다년생이 21종(30%)이었다.

벼 담수표면산파 재배에서 무인헬기를 이용한 제초제 경엽처리 효과 (Efficacy of Foliar Herbicide Treatment by Unmanned Helicopter under Water-Seeded Rice Cultivation)

  • 성덕경;배성문;김영광;조용조;이상대;심상인;정정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23-328
    • /
    • 2014
  • 본 연구는 벼 재배에서 병해충방제의 목적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농업용 무인헬기를 담수표면산파의 잡초방제에 활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경엽처리 제초제(bentazone sodium + fenoxaprop-P-ethyl)의 처리농도는 벼 병해충방제에 적용하는 8배로 희석하여 처리한 결과 기준량 및 2배량 살포에서는 피해가 크지 않았으나, 3배량 이상 살포시 벼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벼 담수표면산파 포장에 발생한 주요 잡초는 피(Echinochloa crus-galli)를 포함한 일년생 6초종과 너도방동사니 등 다년생 2초종이었으며, 파종 후 25일에 무인헬기로 경엽처리 제초제 살포시 일년생 잡초에서 96.3%, 다년생 잡초 99.8%로 동력분무기를 이용한 관행방제와 유사한 방제가를 보였고, 약해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 살포시기 설정을 위하여 파종 후 15일, 20일, 25일에 무인헬기로 살포한 결과 파종 후 15일에 방제가가 일년생 잡초 98.5%, 다년생 잡초 100%로 관행방제(1년생 97.3%, 다년생 99.6%)보다 높았고, 약해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농업용 무인헬기를 경엽처리 제초제 살포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밭의 외래잡초 분포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Gyeonggi-do)

  • 김창석;이인용;이정란;홍선희;오영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84-291
    • /
    • 2014
  • 경기도의 밭 주변을 대상으로 350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경기도의 밭에 발생하는 외래잡초 조사결과 19과 52속 74종 4변종, 총 78종류의 외래잡초가 조사되었고 하계 일년생 식물은 48.7%, 동계 일년생은 28.2%, 다년생은 23.1%가 출현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가 32%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로 출현하였고 벼과 8%, 마디풀과 8%, 아욱과 7%로 구성되었다. 경기북부에서의 외래잡초 우점종은 개비름, 단풍잎돼지풀, 흰명아주, 미국가막사리, 망초이고 경기남부에서는 흰명아주, 망초, 개망초, 서양민들레, 털별꽃아재비가 조사되었다. 경기도 전체에서는 흰명아주, 개비름, 망초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지역의 외래잡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CCA 분석결과 경기북부가 경기남부지역보다 다양한 외래잡초가 넓게 확산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에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발생정보는 밭의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관개(灌漑) 배수로(排水路)의 수생잡초(水生雜草) 분포(分布)와 방제(防除)에 관한 연구(硏究) (Distribution and Control of Aquatic Weeds in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s)

  • 변종영;심이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9-174
    • /
    • 1982
  • 동진강(東津江) 유역(流域)의 관개(灌漑), 배수로(排水路) 13개소(個所)를 선정하여 잡초(雜草)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였고 설문(說問)을 통하여 전국에서 53개 농지개량조합(農地改良組合)을 대상으로 관할구역내(管割區域內) 수로(水路)에서 문제(問題)되는 수생잡초(水生雜草)의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수생잡초(水生雜草)의 방제법(防除法)을 검토(檢討)하였다. 1. 동진강(東津江) 유역(流域)의 관개(灌漑), 배수로(排水路)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나도겨폴, 붕어마름, 줄폴, 개연꽃, 갈대, 나사말, 마름, 물수세미와 말즘이었다. 2. 전국적인 수생잡초(水生雜草)의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살펴 보면 수로(水路) 변잡초중(邊雜草中)에서는 줄풀이 가장 많았고, 갈대, 나도겨풀의 순으로 발생(發生)되었다. 수중잡초중(水中雜草中)에서는 붕어마름이 가장 많이 발생(發生)되었고 물수세미, 말즘, 나사말, 말도 비교적 많이 발생(發生)되었다. 3. 나도겨풀은 Paraquat 73.5g/10a, Glyphosate 91.5g/10a와 Fluridone 74.7g/10a에서, 줄풀은 Paraquat 220.5g/10a, Glyphosate 366.0g/10a 와 Fluridone 74.7g/10a에서 고사(枯死)되었다. 붕어마름과 말즘은 2, 4, 5-TP 540g/10a와 Fluridone 100g/10a에서 고사(枯死)되었으나 2, 4-D 600g/10a에서는 80% 방제(防除)되었다.

  • PDF

논밭 윤환재배시(輪換栽培時) 작부유형별(作付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 (Effect of the Alternation of Lowland-Upland Field and the Cropping Pattern on Weed Population)

  • 유철현;양창휴;김종구;이경수;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8-304
    • /
    • 1995
  • 논밭 윤환재배시(輪換栽培時)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을 조사(調査)하여 합리적(合理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져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논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하여 윤환구(輪換區)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고 밭 기간(期間)이 길수록 적었다. 월년생잡초(越年生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해 대두(大豆)와 수도(水稻)의 윤환구(輪換區)에서 적었으며 특히 그 경향(傾向)은 뚝새풀 발생량(發生量)에서 뚜렷하였다. 또한 월년생(越年生) 잡초량(雜草量)은 논밭 윤환년수(輪換年數)가 l년<2년<3년의 순(順)으로 밭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다. 암거시설(暗渠施設)한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포장(圃場)에서의 월년생(越年生) 잡초(雜草) 건물중(乾物重)은 무암거시설포장(無暗渠施設圃場)에서 보다 높았으나 대두연작구(大豆連作區)에서는 그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이었다.

  • PDF

경북 지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과원의 잡초 발생 분포 및 우점도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rchards of Apple, Grape, Peach, Pear, and Plum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신종희;김세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51-59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12개 시군에서 경북 지역의 주요 과수인 사과, 포도, 복숭아, 포도, 자두 과원에 발생되는 잡초종을 동계잡초와 하계잡초로 나누어 우점도를 조사하였다. 사과 과원에서는 36과 105종, 포도 과원 34과 126종, 복숭아 과원 34과 126종, 배 과원 33과 98종, 자두 과원 36과 111종이었다. 과원별 우점도는 사과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6.09%, 포도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7.32%, 복숭아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4.74%, 배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6.57%, 자두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5.38%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89종, 포도 과원 28과 71종, 복숭아 과원 32과 111종, 배 과원 27과 68종, 자두 과원 33과 83종이었고 하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101종, 포도 과원 27과 69종, 복숭아 과원 29과 91종, 배 과원 31과 94종, 자두 과원 31과 97종이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 우점잡초는 사과 과원(냉이), 배 과원(별꽃), 복숭아 과원(냉이), 포도 과원(냉이), 자두 과원(망초)이었고, 하계우점잡초는 사과 과원(깨풀), 배 과원(쑥), 복숭아 과원(강아지풀), 포도 과원(강아지풀), 자두 과원(강아지풀)이었다.

착색(着色) 폴리에틸렌 필름 멀칭이 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발생(發生)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lored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Germination, Emergence, and Growth of Weeds)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3
    • /
    • 1985
  • 1. 화간(畫間) 지온(地溫)은 나지(裸地), 투명(透明) 및 청색(靑色)필름에서 높은 반면, 흑색(黑色) 및 녹색(綠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한 경우에 낮으며 투광율(透光率)도 흑색(黑色)필름과 짚으로 멀칭하였을 때 매우 낮았다. 2. 바랭이, 쇠비름, 망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잡초는 투명(透明)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양호(良好)하였으나 흑색(黑色)필름에서는 불량(不良)하였다. 청색(靑色)필름에서 쇠비름, 강아지풀과 털비름의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된 반면, 망초, 메귀리, 명아주, 바랭이, 망초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雜草)는 녹색(綠色) 필름에서 발아(發芽)가 억제(抑制)되었다. 3.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투명(透明)필름에서 가장 많았고, 나지(裸地)에서도 비교적 많이 발생(發生)되었으나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매우 적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가 거의 발생(發生)되지 않았다. 4.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中)은 투명(透明)필름과 나지(裸地)에서 매우 높은 반면, 녹색(綠色) 및 청색(靑色)필름, 짚멀칭에서는 현저하에 감소(減少)되었으며 흑색(黑色)필름에서는 잡초(雜草)의 생장(生長)이 완전히 억제(抑制)되었다.

  • PDF

벼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및 생육 차이 (Occurrence and Growth of Grass and Sedge Weeds in Paddy Fields with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형곤;심상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59-71
    • /
    • 2016
  • 논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발생 양상을 확인하고 벼에 대한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벼 이앙기를 4월 30일부터 6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달리하여 이앙 한 후 5월 20일부터 잡초발생과 벼의 생육을 확인하였다. 잡초들의 발생본수는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 모두 1차와 2차 이앙시기에 이앙한 시험구에서 발생본수가 많았으며, 크게 1, 2차 이앙구와 3, 4, 5, 6차 이앙시기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개체 당 건물중이 비교적 큰 피는 7월까지는 조기 이앙한 경우 건물중이 큰 값을 보였으나 8월 이후에는 만기 이앙한 시험구에서 건물중이 더 큰 값을 보였다. 반면 사초과 잡초는 지속적으로 빨리 이앙한 경우가 늦게 이앙한 경우보다 건물중이 높은 값을 보였다. 논의 써레질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조기에 잡초가 발생하고 높은 잡초생장률을 보이며 잡초의 경합력이 커져 벼의 생육과 수량이 줄어들었다. 잡초생장율을 기준으로 볼 때 화본과는 사초과 잡초에 비해 출수기 이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북지역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 발생분포 및 제초제 사용실태 (Fact-Finding Survey of Herbicide Use at Farmer's Level and Distribution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 of Jeonbuk Province, Korea)

  • 조승현;권석주;송영은;이덕렬;송영주;김정곤;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12-317
    • /
    • 2014
  • 전라북도 지역 논에서 발생되고 있는 저항성잡초와 문제 잡초의 발생 모니터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논 잡초 방제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북지역 논에서의 잡초 발생 분포와 재배농가들이 선호하는 제초제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 우점초종은 피,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 등이었으며 재배농가들이 선호하는 제초제는 초 중기처리 제초제(48.0%)>이앙전처리 제초제(36.7%)>경엽처리 제초제(15.3%) 순이었다. 논 토양조사에 의해 전북지역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면적은 총 재배면적의 18.4%인 24,413 ha 였으며 발생 초종은 4초종으로 올챙이고랭이(39.0%)>물달개비(27.8%)>강피(16.6%), 알방동사니(16.6%) 순으로 발생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북지역의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맞는 제초제 저항성잡초 관리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에 의한 과수원에서의 잡초방제효과 (Evaluation of Carfentrazone-ethyl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Glyphosate or Glufosinate for Weed Control in Orchards)

  • 이희재;한성욱;구자옥;김명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6-261
    • /
    • 1997
  • 배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잡초생장기인 6월 중순에 조사한 결과 광엽초종은 쑥, 명아주, 여뀌, 망초, 닭의장풀, 메꽃, 비름 등이 우점발생하였고 화본과초종은 피, 바랭이, 강아지풀 등이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잡초종들이 거의 분포하였다. 새로운 경엽처리 제초제인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의 약량에 따른 혼합처리시 과수에 대한 약해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광엽초종에 대한 살초효과는 뚜렷하였으나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Glyphosate나 glufosinate의 단제 처리구에서 보다 carfentrazone-ethyl과의 혼합처리구에서 glyphosate나 glufosinate를 표준약량의 절반으로 혼합하더라도 약효발현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혼합처리에 의해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처리후 10일까지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보다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광엽 및 화본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약효의 지속기간이 길어점에 따라 후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도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 혼합처리시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