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cienc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3초

춘파호밀 리빙멀치가 잡초억제 및 콩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g-sown Rye Living Mulch on Weed Suppression and Soybean Production)

  • 서종호;권영업;이재은;정건호;성장훈;김충국;김욱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2-198
    • /
    • 2011
  • 생육 중인 호밀 리빙멀치 사이 부분경운 기계화 콩 파종기술체계를 가지고 2007년은 호밀의 파종시기를, 2009년은 시험장소를 달리하면서 잡초억제 및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중요한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월초~5월초에 파종한 호밀 리빙멀치에 의한 콩 파종 후 40~50일까지의 잡초억제 효과는 70~90%로 현저히 높았는데, 호밀 파종기에 따른 잡초억제의 차이는 없었다. 또 호밀 리빙멀치의 잡초억제 효과는 콩 수확기 까지 지속되었다. 2. 잡초 초종별로는 잡초발생량의 60~80%를 차지하는 피에 대한 리빙멀치의 잡초억제 효과가 뛰어났으며 일찍 발아한 명아주보다 콩 파종 후 발아한 피, 바랭이 및 쇠비름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3. 호밀을 4월 초에 파종한 것이 4월 말~5월 초에 파종한 것보다 콩 파종 시 리빙멀치량이 많았으며, 그에 따라 콩 초기생육이 많이 억제되었고, 수확기 종실수량의 감소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호밀을 4월 말~5월 초에 파종했을 때 콩의 초기생육은 억제되었지만 호밀이 고사한 후에 콩의 생육이 많이 회복되었고, 종실수량은 관행재배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008년 지역별 시험에서는 콩 종실수량은 호밀 리빙멀치 유무보다 지역의 포장조건에 따른 영향이 컸다. 5. 봄 잡초발생 경향, 리빙멀치량에 따른 잡초억제, 콩 초기생육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호밀 리빙멀치 사이 부분경운 기계화 콩 파종체계에서 호밀의 파종시기를 4월말 이전으로 당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최근(最近)의 경기지역(京畿地域) 논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調査) (The Survey of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in Kyonggi Area)

  • 김희동;김영호;주영철;성문석;최영진;이동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1
    • /
    • 1992
  • 1991년(年) 경기도(京畿道) 벼 식부(植付) 면적(面積) 172,000ha를 대상(對象)으로 500ha당(當) 1점(點)씩 기준(基準)하여 340개(個) 지점(地點)에서 답종류별(稻種類別)로 구분(區分)하여 실시(實施)한 잡초분포(雜草分布) 조사결과(調査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분포(雜草分布)는 화본과(禾本科) 4종(種), 방동산이과(科) 7종(種), 광엽(廣葉) 및 기타 14종(種) 등(等) 총(總) 25종(種)이였으며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 잡초분포비율(雜草分布比率)은 25:75로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가 많았다. 2.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초종(草種)은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이었다. 3. 농업(農業) 지대별(地帶別) 우점(優占) 잡초(雜草) 분포(分布)는 남부(南部) 평야지(平野地)에서는 피, 올방개, 벗풀, 너도방동산이 등(等), 서부해안(西部海岸) 지역(地域)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 동부내륙(東部內陸) 지역(地域)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알방동산이 등(等), 북부지역(北部地域)에서는 벗풀, 올방개, 피, 물달개비 등(等)이 분포(分布)하였다. 4. 답(畓) 종류별(種類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보통답(普通畓)과 습답(濕畓)에서는 올방개, 벗풀, 피, 너도방동산이 등(等), 염해답(鹽害畓)에서는 매자기, 너도방동산이, 피, 물수세미 등(等)이었다. 5.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잡초(雜草) 발생량(發生量)은 1모작(毛作) 지대(地帶)가 2모작(毛作) 지대(地帶)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 PDF

작약(芍藥) 재배포장(栽培圃場)에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의 종류(種類)와 우점초종(優占草種) (Dominant Weed Species i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as) Fields)

  • 김세종;류정기;유오종;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50
    • /
    • 1998
  • 작약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와 우점초종을 조사하여 잡초 방제의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경북의 의성, 영천 농가 작약 포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성, 영천지역 작약재배지에 발생하는 초종수는 각각 14과 29종, 16과 30종의 잡초가 발생하였으며 두지역에서 총 17과 33종의 잡초가 발생하였다. 2. 잡초(雜草)의 분류학적(分類學的) 분포(分布)는 국화과 9종, 화본과 4종, 십자화과 3종, 마디풀과와 현삼과, 대극과가 각각 2종 등이었다. 3. 잡초의 생활사별 분류에 의한 발생비율은 일년생(一年生)이 19종(種)으로 57.6%, 월년생(越年生)이 8 종(種)으로 24.2%, 다년생(多年生)이 6 종(種)으로 18.2%이었다. 4. 형태적(形態的) 특성별(特性別) 잡초발생 초종은 화본과(禾本科) 4(12.1%), 광엽잡초(廣葉雜草) 25(84.8%), 사초과(莎草科) 1종(種)(3.1%)이었다. 5. 작약밭에 발생하는 주요 우점초종(優占草種)은 4월하순에는 냉이, 명아주, 쇠뜨기, 망초, 씀바귀, 6월하순에는 바랭이, 망초, 피, 쇠비름, 명아주, 8월하순에는 바랭이, 망초, 피, 쇠비름, 명아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충북지역 발생 논잡초 분포 조사 (Survey of Weed Flora on Paddy Fields in Chungbuk Province in Korea)

  • 김은정;박재성;이채영;임상철;박인서;조용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78-85
    • /
    • 2014
  • 충북지역의 이앙재배 논의 잡초 분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충북지역 12개 시 군의 346지점에 대한 잡초 발행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충북지역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모두 15개과 43초종이었고 과별 우점도는 방동사니과 21.5%로 가장 높았고 그뒤로, 화본과 17.4%, 물옥잠과 15.5%, 국화과 12.7%순이었다. 충북지역에서는 1년생 잡초는 32초종, 다년생 초종이 11종 분포하였고, 발생비율은 일년생이 71.3%, 다년생이 28.1%로 일년생잡초 발생 비율이 높았다. 충북지역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4.5%), 올챙이고랭이(10.5%), 강피(9.3%), 올방개(7.0%), 자귀(6.2%), 순이었다. 그 외의 지역은 모두 물달개비가 가장 우점하는 초종으로 조사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한 시 군의 잡초 유사성 분석 결과 개여뀌, 사마귀풀, 고마리, 바람하늘지기, 올챙이솔, 바랭이, 가래, 나도방동사니가 시 군을 구별하는 지표종으로 영향을 미쳐 이 초종의 출현 유무에 따라 지역별 논 잡초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충북지역 잡초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맞는 잡초 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最近) 한국(韓國)의 논 잡초분포(雜草分布)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 오윤진;구연충;이종훈;함영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9
    • /
    • 1981
  • 1981년(年) 전국(全國) 1,760개소(個所)에서 작부양식별(作付樣式別), 답유형별(畓類型別)로 논 잡초분포(雜草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조사(調査)된 초종(草種)은 화본과(禾本科) 2종(種), 방동산이과(科) 7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18종(種)이었다. 2. 초종분포(草種分布)와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중북부지역(中北部地域)이 남부지역(南部地域)보다 많았다. 3.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잡초(雜草)는 물달개비 벗풀, 가래, 올미, 너도방동산이 등(等)이고 4. 1모작답(毛作畓)은 2모작답(毛作畓)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고 5. 1모작답(毛作畓) 중(中)에서도 춘경답(春耕畓)에서 추경답(秋耕畓)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으며 6. 2모작답(毛作畓) 중(中)에서도 맥류재배답(麥類栽培畓)에서 채소재배답(菜蔬栽培畓)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았다. 염해답(鹽害畓)과 습답(濕畓)에서 보통답(普通畓)에서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았고 어느 답조건(畓條件)에서나 1년생(年生)보다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이 많았다.

  • PDF

동일비료연용(同一肥料連用)이 답토양(畓土壤)의 봄잡초(雜草) 발생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Annual Repeated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Occurrence of Paddy Weed in Spring)

  • 이재석;김상효;최대웅;윤재탁;박노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4-311
    • /
    • 1985
  • 본시험(本試驗)은 경상북도농촌진흥원(慶尙北道農村振興院)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8개(個) 연간(年間) 동일비료(同一肥料)를 연용(連用)하여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이 다른 답토양(畓土壤)에서 발생(發生)하는 봄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狀)이 크게 차이(差異)가 있어 처리별(處理別)로 발생(發生)된 초종(草種), 잡초(雜草)의 수량(收量),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 등을 조사(調査)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생(發生)된 전초종(全草種)은 1~6종(種) 이었는데 인산흠제구(燐酸欠除區)는 너도방동산이만 발생(發生)되었고 3요소구(要素區), N+P구(區), 3요소(要素)+퇴비구(堆肥區) 등은 4~6 종(種)으로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게 발생(發生)되었다. 2. 인산단용구(燐酸單用區), P+K구(區), NPK+퇴비구(堆肥區), 3 요소구(要素區) 등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가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고 인산흠제구(燐酸欠除區)와 질소단용구(窒素單用區)는 잡초발생(雜草發生)이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3. 독새풀, 여뀌, 명아주 등의 발생량(發生量)은 토양중(土壤中)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1~5% 정(正)의 유의적(有意的)인 상관계(相關係)가 있었다. 4. 토양중(土壤中)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은 잡초(雜草)의 생육(生育)과 군락상호간(群落相互間)의 초종구성(草種構成)에 영향(影響)을 미쳤다. 5. 잡초중(雜草中)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을 보면 개여뀌, 명아주, 여뀌 등은 질소(窒素), 인산(燐酸), 석회(石灰) 고토(苦土) 등이 많았고 독새풀, 너도방동산이, 벼룩나물 등에서는 적었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및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雜草)의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1. Distribution and Growth of Weeds in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8-288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및 군락구조(群落構造)의 변화(變化)를 파악하여 비교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잡초(發生雜草)는 화본과(禾本科) 2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8종(種), 및 사초과(莎草科) 4종(種) 등 총 14종이었고, 우점초종은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황새냉이, 너도방동사니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비율은 73.6 : 26.4%로 일년생 점유율이 높았다. 2.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 1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7종(種), 사초과(莎草科) 4종(種)등 총 12종이었고, 우점초종은 알방동사니, 올챙고랭이, 밭뚝외풀 순(順)이었다.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82.1 : 17.8%로 일년생(一年生) 점유비율이 단연 높았다. 3. 건답(乾畓) 및 담수직파(直播)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장양상에서 대부분 잡초(雜草)들의 개체수(個體數)는 파종(播種) 후(後) 45일(日)경에서 결정되었고, 건물중(乾物重)은 파종(播種) 후(後) 75-90일(日)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초장(草長)의 신장(伸長)은 피, 올챙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播種) 후(後) 45~60일(日), 미국가막사리는 파종(播種) 후(後) 60~90일(日)에 큰폭의 신장성(伸長性)을 보였으며 그 외의 잡초(雜草)들은 파종(播種) 후(後) 45일(日)이후부터 완만한 신장(伸長)을 나타냈다. 4. 생육후기까지 가장 우점했던 초종은 건답직파에서 알방동사니, 가막사리, 바랭이 및 피였으며,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알방동사니, 피 및 올챙고랭이였다.

  • PDF

Glyphosate Resistant Conyza canadensis Occurring in Tangerine Orchards of Jeju Province of Korea

  • Bo, Aung Bo;Won, Ok Jae;Park, In Kon;Roh, Sug-Won;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50-354
    • /
    • 2017
  • Conyza canadensis is the weed species which most frequently develops resistance to glyphosate in many agricultural crop fields. The continuous use of glyphosate has resulted in the spontaneous occurrences of resistant biotyp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suspected C. canadensis biotypes to glyphosate. Seeds of C. canadensis were collected from 18 sites in tangerine orchards in Jeju province of Korea. In the preliminary screening, 6 resistant and 12 susceptible biotypes were found at the recommended glyphosate rate ($3.28kga.i.ha^{-1}$). The susceptible biotypes were completely killed at the field application rate whereas the resistant biotypes were initially injured but recovered 14 days after glyphosate application. This is the first case of glyphosate resistance found in Korea despite the national ban on genetically modified glyphosate tolerant crops cultivation. Extended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how widely spread the glyphosate resistant C. canadensis is and to estimate the severity of this weed problem in the tangerine orchards of Korea.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식물(植物)의 저항성(抵抗性) (Resistance of Plants to Herbicide)

  • 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6-106
    • /
    • 1984
  • Changes in weed floras and development of plant resistance to herbicides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increased and repeated use of herbicides. Herbicide use increased from 5% of the total consumption of pesticide in 1950 to 45% in 1976 in world basis. About 200 herbicides have been introduced to agriculture so as to control about 206 weed species which have been recorded important to human beings. In Korea, there was about 351 times in increased use of herbicides from 1966 to 1982. Interspecific selection by herbicide is mainly responsible for changes in weed floras and resulted in varying tolerance or susceptibility to herbicides,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agricultural practices. The present trend toward continuous cereal cultivation throughout world will lead to type of changes in weed floras favorable to therophyte which can survive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as seeds rather than the types of geophyte which can survive unfavorable seasons as buds placed below soil surface. However, geophyte such as Sagitaria pygmaea, and Scirpus jurtcoides, and Cyperus rotundus and Cynodon dactylon in temperate warm climate become severe paddy weeds, presumably because of the removal of annual weeds by herbicides. Since differential tolerance to 2,4-D was firstly reported in Agrostis stolofera, about 30 species of weeds in 18 genera are presently known to have developed resistance to triazine herbicides. Resistance of weed biotypes to triazine herbicide is not mainly due to limited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r to the difference in metabolism, but is the result of biochemical changes at the site of metabolic activity, such as a loss of herbicide affinity for triazine binding site in the photosystem II complex of the chloroplast membrane. Genetical study showed that plastid resistance to triazine was wholly inherited through cytoplasmic DNA in the case of Brassica campestris. Plant tissue culture method can be utilized as an alternate mean of herbicide screening and development of resistance variants to herbicides as suggested by Chaleff and Parsons. In this purpose, one should be certain that the primary target process is operational in cell culture. Further, there are a variety of obstacles in doing this type of research, particularly development of resistance source and it's regeneration because cultured cells and whole plants represent different developmental st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