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cienc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6초

벼-자운영 연속 무경운 직파재배에서 자운영 이용방법 차이가 토양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Vetch Sward Treatments on Soil and Rice Growth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Interrelaying Cropping Systems)

  • 홍광표;김장용;강동주;강남대;최진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64-570
    • /
    • 1997
  • 두과식물인 자운영을 논에 재배하여 유기물 및 질소공급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피복식물로서 잡초방제등 부수적인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자운영 방치, 예취 제거 등 그 이용방법을 달리하여 1995년과 1996년 2년동안 경상남도농촌진흥원 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후 토양화학성은 자운영 이용방법의 차이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토양심도별로 비교하여 보면 pH와 Ca, Mg는 심토(10~20cm)에서, 유기물과 P$_2$ $O_{5}$, K는 표토(0~10cm)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2. 토양의 산화환원전위는 자운영 예취구의 담수초기 때 심한 환원상태를 보이다가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그 정도가 완화되는 경향이었으며, 자운영을 방치하였을 경우 다른 처리에 비하여 환원 정도가 더 심하였고, 최고분얼기경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잡초방제후 최고분얼기경 잡초발생은 자운영 방치답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예취후 제거답이었으며,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여 자운영을 고사시킨 답에서는 그 발생량이 가장 적었다. 4. 벼 입모율은 자운영 재배답에서 가장 낮았고, 출수기 때의 생육은 각 처리간 비슷하였으며, 수량은 자운영 경운답에서 가장 높고, 다음이 관행 경운답이었으며, 자운영을 방치 혹은 예취후 제거하거나 비선택성 제초제를 살포하여 고사시킨 답에서 다소 감수되는 경향이었다.

  • PDF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II. 예취높이가 주요 Reed Canarygrass 목초의 재생과 수량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II.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grass regrowth , dry

  • 서성;김재규;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1-287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3cn1, 6cm, and lOcm of cutting height at harvest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DM) yield, and weeds development in reed canarygrass(Phu1uris umndinacea L.) pasttire. The cultivars of reed canarygrass used in this study were Palaton. Veuture and Frontier(contro1). and the grass was harvested four times at soiling stage in 1992. The plant height at first harvest was 84, 96 and 94cm in Palaton, Venture and Frontier, respectively. The average regrowth height was same as 59cm in three cultivars. However, the regrowth height by cutting height was 61 -65cm in 6 and IOcm, and 51 -53cm in 3cm of low cutting height. Annual DM yield was not different in three cultivars of Palaton(l2.58lkg), Venture(l2,752kg), and Frontier (12,243kgIha). The yield at first harvmt wa5 significantly high in 3cm of height, however, the forage yields at second, third and fourth harvest were greatly high in 6cm of stubble height(P<0.05). Total yields by 3, 6 and lOcm of cutting height were 12.306. 14,094 and 11,342kg in Palaton, 12,794, 14,155 and 11,307kg in Venture, and 12,258, 12,940, and 11.535kglhg in Frontier, respectively. The highest yield was achieved in 6cm of stubble heigth(P<0.05). Daily DM production during grass regrowth was not affected by cultivars, and the best regrowth was observed by 6cm of cutting height. Development of weeds was high in 3cm of low stubble height, regradless of cultivar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hemicellulose were not affected by cultivar and cutting heigh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6cm of cutting height is the most effective for grass regrowth, forage production, and weed control in reed canarygrass pasture. regradless of cultivm of Palaton, Venture and Frontier.

  • PDF

국 종류에 따른 장류의 분양 결정과 조미료의 첨가효과 (A Study on Determining the Optimal Amounts of Fermented Soybean Foods in Various Korean Soups and the Effect of Condiments in Two Basic Stocks)

  • 정경숙;우경자;홍성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1986
  • This sudy was conduct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optimal amounts of soy tauce, soy bean paste and hot pepper paste, in 3 different Korean soups and comparing the effect of condiments such as salt, soy sauce, black pepper, and Mono Sodium Glutamate, on the taste of two basic Korean Stocks, The results estimated by Palatability Test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aCl contents of two kinds of commercial soysauce were 15.9%, 25.6%, respectively. 2. The NaCl contents of 2% sardine stock, and 19% beef stock were 0.16~1.17%, 0.17~0.18% respectively. 3. @ According to Saltiness in sardine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y sauce-added group and the salt-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soy sauce-group had higher score than salt-added group respectively. (p>.0.1) ⓑ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ysauce-added group and the salt-added group in Saltiness test. The soy sauce-added group had higher score in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p>.0.1). On other hand, in Overall Taste, the salt- add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oy sauce-added (p>.0.1). 4 @ According to Saltiness test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black pepper-added and non-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added group had higher score than the non-added group, respectively. (p>.10, p>.0.5) ⓑ Also, according to Saltiness test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trence between the MSG-added group and non-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MSG-add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non-added group. (p>.01) 5. The best recipes of soybean sprouts soup for S persons, in this experiment, were soybean sprouts 180 g, sardine 28 g, soysauce 1/2 T.S., salt 7 g, green onion 15 g, choppedgarlic It. s., against 7 C of water, and total cooking time was 20 minutes. 6. The best recipes of clear-beef soup were beef 200 g, radish 200 g, tangle weed 10 g, sesame oil 1/2 t.s., green onion 15 g, chopped garlic 1 t.s., black Pepper 1/8 1.s., and soy sauce 1 T.S., salt 7 g or soy sauce 2 T S., salt 3.5 g. The total cooking time was minutes. 7, The best recipes of soybean pasted Chinese cabbage soup were Chinese cabbage 300 g, sardine 28 g, green onion 15 g, chopped garlic 1 t.s., and bean paste 50 g, hot pepper paste 13 g, salt 3g or bean paste 65 g, hot pepper paste 16 g, salt 1.5 g. And the total cooking time was 25 minutes. 8. Soy sauce, black pepper, M.S.G., bean paste and hot pepper paste were effective on removing Off-flavor of experimental soups.

  • PDF

양식미역의 품질요인과 그 가공 (FACTORS INVOLVED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 변재형;박영호;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5
    • /
    • 1977
  • Recently, culture of Undaria pinnatifida, one of the representative esculent sea weed, has been prevailing in tile east and south coasta of Korea and reached the mass culture stage. In this study, compositional quality factors for food were studied and the contributory effects of blanching and pigment fixatives in the quality retention of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are discussed. When the place and time of harvesting were the same, cultured pinnatifida showed scarce differenc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comparing to til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but cultured Undaria pinnatifida shelved a considerable difference depending upon the cultured pla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the alginic acid comprising about $40\%$ of the whole solid materials seemed to be responsible for the compositional puality.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 of the clutured Unaria pinnatifida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ly grown Undaria pinnatifida and wass inferior in puality by color to the naturally grown one. Dried Undaria pinnatifida contained a considerable amount of amino-N,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omponents play a great role in the relish effects. It could also be evaluated as a good albuminous source for food science the dried pinnatifida contains about $18\%$ of crude protein. In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the naturally growm samples showed so what higher levels in al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cultured samples. The contents of theronine, 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major in quantity wherease histidine cyste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minor. The contents of such amino acids like serine and proline were particularly low or undetectable.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is of the acid hydrolysates of dried Undaria pinnatifida in quantity of individual amino acid showed te same pattern as that of free amino acid. It is noticed that Undaria pinnatifida seemed to contain good quality protein since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considerably higher and uniform. By blanching the fresh sample, the water soluble components brought about cousiderable loss, and, particularly, it was noteworthy that both mannitol and soluble minerals apparently decreased. In the pigment analysis of the dried sample, blanching was effective to reta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The addition of pigment fixatives in blanching solution such as Ca-gluconate, Ca-carbonate, and Ca-hydroxide did not exhibit much effect on the pigment retention except that Ca-carbonate shelved some effect only in the early stage of storage.

  • PDF

제주 연안의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에서 분리된 세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및 군집 구조 분석 (Phylogenetic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icrobiome Isolated from Sargassum Horneri off the Jeju Island Coast)

  • 문경미;박소현;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79-1185
    • /
    • 2018
  • 최근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제주의 해안가와 해변, 연근해 양식장 등 매년 대량으로 속출되어 인근 양식업자 및 주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인근 연안으로 흘러 들어온 괭생이 모자반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의 다양성을 탐색하고 동정을 통한 미생물의 기능을 파악함으로써 생태학적 문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Proteobacteria는 분리 된 균주 중 88%를 차지한 우점문으로 ${\alpha}-proteobacteria$강은 6속 10종으로 Pseudorhodobacter속이 40%를 차지하고 Paracoccus속 20%, Rhizobium, Albirhodobacter, Skermanella 및 Novosphingobium 속은 각각 10%를 차지했다. ${\beta}-proteobactera$강은 5속 10종으로 Hydrogenophaga속이 50%, Azoarcus 20%, 나머지 Oxalicibacterium, Duganella, Xenophilus속은 각각 10%를 차지했다. ${\gamma}-proteobacteria$강은 13속 57종으로 Proteobacteria문에서 74%로 우점강을 차지했고, Shewanella는 23%, Pseudomonas속 12%, Cobetia 19%, Rahnella, Vibrio 및 Serratia속은 4%, 나머지 Rheinheimera, Raoultella, Pantoea, Acinetobacter, Moraxella 및 Psychrobacter속은 2%를 차지했다. Actinobacteria는 1속 2종으로 Gordonia와 Nocardioides속이 각각 50%를 나타냈다. Bacteroidetes문은 3속 5종으로 Lacihabitans, Mariniflexile속은 33%, 나머지 Dyadobacter, Cellulophaga와 Ferruginibacter속은 11%를 차지했다.

영남지역의 왕우렁이 월동 및 월동처 (Over-wintering of the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and Its Over-wintering Habitat in the Yeongnam District)

  • 김현주;배순도;이건휘;박성태;박정규;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37-444
    • /
    • 2007
  • 원산지가 열대지방인 왕우렁이가 국내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1980년대 초에 도입된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 한국 기후에 적응되어 남부지방의 일부 지역에서 월동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영남지역에서 왕우렁이를 이용하여 벼 잡초방제를 실시한 지역을 중심으로 왕우렁이의 월동분포와 월동지역의 환경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영남지역의 왕우렁이 월동실태를 조사한 결과, 하동, 합천, 산청, 김해, 밀양, 창원, 울산, 부산, 경주, 포항, 칠곡, 구미, 상주 및 영주에서 월동을 확인하였는데, 월동지역은 해마다 북상하였다. 왕우렁이가 월동되는 지역의 환경을 조사한 결과 주로 깊은 웅덩이나 겨울에도 물이 계속 흐르는 하천이나 수로, 지하수가 계속 흘러내리는 수로 및 수막재배를 하는 비닐하우스 단지 주변의 도랑 등이다. 이들 장소들의 특징은 겨울에도 수온이 크게 내려가지 않아 물이 얼지 않거나 표면에만 물이 얼고 속에는 물이 얼지 않는 장소들이었다.

자연상태에서 대기 중 오존 농도에 상이한 민감성을 가진 Black Cherry(Prunus serotina)의 상이한 광합성 반응 (Different Photosynthetic Responses of Black Cherry (Prunus serotina) with Different Sensitivities to Ambient Ozone Concentrations under Natural Conditions)

  • 윤명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32-140
    • /
    • 2008
  • 오존은 식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대기 오염원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대기 중 오존 농도만으로도 민감한 종에서는 피해가 관찰된다. 기공을 통해 유입된 실제 오존량이 식물의 잎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며, 광합성률의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의 오존에 대한 반응은 식물의 생리적 연령과 민감성에 따라 다양하며, 잎의 성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가장 최근에 성숙한 잎이 이미 성숙한 잎들이나 빠르게 성장하는 어린 잎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오존에 가장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lack Cherry(Prunus serotina)는 경제적, 생태적으로 중요한 수종중의 하나이다. 또한 오존에 민감한 수종중의 하나이며, 대기 중 오존 농도에 의해 피해를 보여, 오존의 생물지표로 이용되기도 한다. 상이한 오존 민감성은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점으로 인해 대기 중 오존 농도가 식물의 광합성 및 PSII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에 이상적인 수종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3년간 버지니아 주 Giles County에 위치해 있는 Horton 연구센터 실험 숲에서, Black Cherry 중 상이한 두 민감성을 보이는 품종을 이용하여 대기 중 오존 농도가 민감한 품종과 저항성을 지닌 품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대기 중 오존에 노출된 채로 식물의 생장이 가장 빠른 성장기를 거친 결과, 대기 중 오존에 의해 민감한 품종은, 가시적인 피해와 함께 최대 순 광합성이나 탄소 동화에 대한 양자 수득율이 크게 감소되었으나 저항성을 지닌 품종은 가시피해의 부재와 함께 소폭의 최대 순광합성 및 양자 수득률의 피해가 관찰되었다. 오존에 민감한 품종에서 잎의 가시피해는 광합성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잎의 생리적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 더욱 커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오존에 저항성이 있는 품종에서도 잎의 연령 증가에 따른 광합성 기능의 저하가 관찰 되었으나, 가시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오존에 의한 총 광합성률의 감소는 오존에 민감한 품종에서 더욱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강원도 인삼재배지 농약 사용 실태 (Survey on Pesticide Use by Ginseng Growers at Gangwon Farmland in Korea)

  • 강혜순;박동식;황윤갑;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5
    • /
    • 2007
  • 본 연구는 강원도내의 4개시 8개군에 거주하는 271명의 인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36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강원도 인삼 재배지의 농약사용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빈도 및 교차 통계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 문제가 되는 식물병으로 점무늬병,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뿌리썩음병, 균핵병, 해충은 달팽이, 줄기 굴파리, 굼벵이, 선충, 거세미나방, 잡초는 망추 바랭이, 명아주, 피, 쑥 등을 선정하였다.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응답자의 35%는 농약에 의존한다고 하였으며, 31.5%는 농약사용뿐만 아니라 해충의 천적과 미생물 이용 및 친환경자재 등을 혼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78.8%가 본인의 경험, 농약상 및 이웃의 추천 등으로 농약을 선정하고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서 미적용 약제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농약 살포 시 기준량을 준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96.3%), 이것은 낮은 비율의 인삼약해(30.1%)와 살포자 중독 경험(38.8%)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사용 농약을 2년에서 5년간 연용하고 있어(44.1%) 이 지역 병해충 및 잡초의 약제 저항성 유발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올바른 농약 선정 및 사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 입모중 벼 무경운 직파재배가 토양 이화학성 및 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lk Vetch(Astragalus sinicus 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 in the Paddy Soil of Rice No-tillage Seeding)

  • 정지호;신복우;유철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7-121
    • /
    • 2001
  • 자운영 입모중(立毛中) 벼 무경운(無耕耘) 벼직파재배(直播栽培)에 의한 성력화(省力化) 및 환경지속형(環境持續型) 농업기술개발을 위하여 전북통(全北統) 보통답(普通畓)에서 자운영 입모중(立毛中)에 동진벼를 건답직파(乾畓直播)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자운영 입모수(立毛數)는 시험전(試驗前) 256개 $m^{-2}$에 비하여 시험후(試驗後)에는 440개 $m^{-2}$로 자운영종자(種子)를 다시 파종(播種)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충분한 입모수(立毛數)가 확보(確保)되었다. 토양 이화학성의 변화는 자운영 입모중(立毛中) 시비량(施肥量)을 50% 절감(節減)하여 벼를 파종(播種)한 구(區)가 관행(慣行)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관행(慣行) 87g, 건중(乾重) $m^{-2}$ 발생(發生)하였으나 자운영 입모중(立毛中) 벼파종(播種)에서는 잡초(雜草)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벼 수량(收量)은 관행(慣行) 4.9t $ha^{-1}$에 비하여 자운영 입모중(立毛中) 파종(播種)에서 콩 파종기(播種機)로 파종시(播種時) 4.5t $ha^{-1}$이였다.

  • PDF

경사도별 3요소 시용수준이 겉뿌림 산지초지에 미치는 영향 I. 총건물수량 , 수량구성요소 및 식생구성비율의 변화 ( Effects of Nitrogen , Phosphorus and Potassium Application Rates on Oversown Hilly Pasture under Different Levels of Inclination I. Changes in th

  • 정연규;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1-195
    • /
    • 1985
  • 산지경사도(山地傾斜度)($10^{\circ},\;20^{\circ},\;30^{\circ}$) 및 3요소(要素)($N-P_2O_5-K_2O$) 시용수준(施用水準)(0-0-0, 14-10-10, 28-25-25, 42-40-40kg/10a) 별(別) 겉뿌림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조성(造成), 생산성(生産性), 식생(植生) 및 목초품질등(牧草品質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였다. 식생구성비율(植生構成比率)에 관(關)해 검토(檢討)하였다. Orchardgrass, Tall fescue, Redtop, Ladino clover를 혼파(混播) 수년초지(水年草地)의 2년간(年間) 시험결과(試驗結果)는 ; 1. 경사도(傾斜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총건물수량(總乾物收量), 구성초종중(構成草種中)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 및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수량(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게 크게 감소(減少)되었으나 잡초수량(雜草收量)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또한 경사도(傾斜度)가 높아짐에 따라서 파종목초(播種牧草)의 정착율(定着率)이 잡초(雜草)에 비(比)해서 상대적(相對的)으로 낮았다. 2. 3 요소수준(要素水準)의 증가(增加)는 총수량(總數量), 구성초종중(構成草種中)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의 수량(收量) 및 목초율(牧草率)을 크게 증가(增加)시켰으나, 잡초(雜草)의 수량변화(收量變化)는 경미(輕微)하였다.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수량(收量)은 질소(窒素) 소비수준(少肥水準)에서 가장 높았으며 높은 3 요소수준(要素水準) (특(特)히 질소영향(窒素影響))에서는 감소(減少)되었다. 3. 경사도(傾斜度)에 따라서 생산성(生産性),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시비효율이 다른 특성(特性)을 나타내므로 혼파초종(混播草種)의 선택(選擇), 파종량(播種量), 시비량(施肥量), 초지조성(草地造成) 및 관리이용(管理利用) 방법(方法)에 차이(差異)를 두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