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leoperation system applies all of the industrial field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infrastructure. It is one of the indispensable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robot at a remote sight and monitoring the limit or unknown environment. The common teleoperation robot system is what has the visual module to supply the network system and realistic UI to the existed robot system. Therefore, remarked that the fusion between modules and transmission of visual data the remarked the important element to improve the robot application in the various environments. Delay of development time by robot platform and non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developers are also problem to approach.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dependent teleoperation system. The main application language is JAVA in this system, which is applied JAVA API like JNI and JMF to construct the effective teleoperation system. The system has the both sid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ever and client as a basic structure. The visual data that is attached the robot at a remote sight is captured by JMF API and then is transmitted to the web browser called client by RTR protocol. JNI is used to connect between JAVA and the lower part application (sensor fusion, motion control.) of the robot programmed by various Native languages. The proposed system is the application that can perform the elements, for instance transmission of visual data, the fusion of various native application modules and the effective network communication, with any platfor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제8권4호
/
pp.111-118
/
2008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has the best User Interface and easy way to use. It is used in many Application System and Web Application. This Paper introduces a RIA technology for Implementation of u-Hospital Application. This System uses a history of customers in the hospital and question about diseases, so we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service. This paper shows that the u-Hospital System using RIA is more fast and easy than HTML application. Because RIA has special features that data can be obtained from server without reloading entire page and every user interaction does not require web server response. The proposed technology can improve the efficient u-Hospital System because it can be extended to ubiquitous mobile application.
Seo, Kyung-Ja;Cho, Kwan-Hee;Song, Hyun-Chul;Kim, Seong-Kyoon;Kang, Wook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pp.199-204
/
2008
웹 2.0의 대표적인 형태로 관심을 받고 있는 RSS 서비스는 기술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이용이 저조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 저장과 관리에 관한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 형태를 분석하여 유용성이 높은 유무선 통합 RSS 리더의 인터페이스를 연구하고자 히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를 조사한 결과 웹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툴로 즐겨찾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포탈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의 정보 저장과 보관에 대한 경험에 근거한 인터페이스 개발로 기술에 대한 거부감 해소와 유용성 높은 유무선 연동 RSS 리더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또한 Push model 과 Pull model 의 자연스러운 공존을 통해 웹 1.0에서 2.0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모델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웹 2.0 서비스 개발하는데 있어 현재 사용자들의 웹 사용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pp.723-724
/
2022
지난 코로나 상황 동안 비대면 수업을 진행했고, 학생들은 빠르게 적응했다.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가 이해될 때까지 반복 학습이 가능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온라인상이라는 특징 때문에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점은 차후에 비대면 수업의 지속적인 활용 및 확대를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에듀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온라인 수업의 강의 영상을 세부적인 내용을 나누는 Section을 통해 다른 학생들이 질문했던 Q&A 데이터를 모아서 생성된 Section-FAQ를 열람할 수 있고, 그 Q&A에 반응해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교수자에게 Q&A를 보낼 때 영상의 Section 정보와 강의시간 정보를 같이 전송하여 강의 영상을 확인하지 않고, 빠른 답변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온라인 수업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웹 기반 에듀테크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교수자의 역할을 대신해주고 비대면 수업의 단점을 해소해주면서, 교수자과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높여 수업의 이해도를 높이고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sudden interests of mobile cloud computing as well as conventional internet environment are rapidly increased as cloud computing spread out in our web society. Mobile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 are rapidly changing in a wholesale way that covers hardwares, applications, and services. However, the Internet access using mobile device is not quite smooth in this local mobile internet environment which suffers from lack of understanding and observance of Web Standards. Although most of domestic web sites are developed focusing on various functions and eye-catching designs, this should becam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make the usability and accessability decrease when accessing web with smart phones or table PC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a web interface that considered usability and accessability under mobile cloud environment and we tried to prove it via usability test. It could be foun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of usability of interface of the main page that has been optimized to the mobile device environment sugges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we present, but this paper aimed to prove a usability improvement of total website as a whole by performing the usability test on the entire website. Selecting a special website optimized for mobile cloud computing, we prove an improvement of usability and accessibility. Therefore, we offer a guideline about user interface design applications to developers or companies who want to construct mobile website.
Park, Woo-Ri;Oh, Kyeong-Jin;Hong, Myung-Duk;Jo, Geun-Sik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제20권3호
/
pp.59-76
/
2014
The revolution of smart media such as smart phone, smart TV and tablets has brought easiness for people to get contents and related information anywhere and any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media have changed user behavior for watching the contents from passive attitude into active one. Video is a kind of multimedia resources and widely used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People not only watch video contents, but also search for related information to specific objects appeared in the contents. However, people have to use extra views or devices to find the information because the existing video contents provide no information through the contents.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media is becoming a major concern. The demand for direct interaction and instant information is much increas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is no longer expected to serve as a one-way information service, which requires user to search manually on the internet finding information they need. To solve the current inconvenience, an interactive service is need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exchange function between people and video contents, or between people themselves.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ments for interactive services, but only few services provide interactive video within restricted functionality. Only cooking domain is chosen for an interactive cooking video query service in this research. Cooking is receiving lots of people attention continuously. By using smart media devices, user can easily watch a cooking video. One-way information nature of cooking video does not allow to interactively gett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certain contents, althou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videos, cooking videos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ooking scenes and explanation for each recipe step. Cooking video indeed attracts academic researches to study and solve several problems related to cooking. However, just few studies focused on interactive services in cooking video and they still not sufficient to provide the interaction with users. In this paper, an interactive cooking video query service system with linked data to provide the interaction functionalities to users. A linked recipe schema is used to handle the linked data. The linked data approach is applied to construct queries in systematic manner when user interacts with cooking videos. We add some classes, data properties, and relations to the linked recipe schema because the current version of the schema is not enough to serve user interaction. A web crawler extracts recipe information from allrecipes.com. All extracted recipe information is transformed into ontology instances by using developed instance generator. To provide a query function, hundreds of questions in cooking video web sites such as BBC food, Foodista, Fine cooking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fter the analysis of the investigated questions, we summary the questions into four categories by question generalization. For the question generalization, the questions are clustered in eleven question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an environment associating UI (User Interface) and UX (User Experience) that allow user to watch cooking videos while obtaining the necessary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extra information layer. User can use the proposed interactive cooking video system at both PC and mobile environments because responsive web design is applied for the proposed system. In addition, the proposed system enables the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video in various smart media devices by employing linked data to provide information matching with the current context. Two methods are used to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First, through a questionnaire-based method, computer system usability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proposed system with the existing web site. Second, the answer accuracy for user interaction is measured to inspect to-be-offered inform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receives a favorable evaluation and provides accurate answers for user interaction.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present enterprise simply enterprise support do pass over known dimension and is utilizing by means for enterprise competitive power strengthening. Because of these point, a lot of kind of information systems appeared. It can be said that EIP system that many enterprises are introducing recently is concept that appear to also use information in enterprise more efficiently. If present EIP system sees construct example, segment is detected to improve some. First, should do duplicate development despite it is same function to use EIP system in wireless and web browser environment. Second, can hear management's difficulty by immense contents that happen in System Integration. We wish to solve problem that happen in development of existing EIP system using XUL and a SVG technology in this paper that aim to these. XUL is open source In language to manufacture UI that do not receive court of platform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captain rain, support wireless and web browser equipment at the same time to source that is produced once if is browser that can manufacture usable interface in web and supports XUL as user wants. SVG method is a skill that can offer convenience that is epoch-making in contents management by software that describe contents representation in source code unlike form that show because calls contents forming already in the existent bit map room and establishes to browser handles this and expresses contents. In paper, produced use of XUL and SVG by prototype to presented whether can apply XUL and a SVG technology to actuality EIP system and verifies whether this is possible and that do actuality through existent method and comparison and excellency were seen.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자원을 컴퓨터가 스스로 찾아내서 학습자에게 전달해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지식까지 추론해서 제공해 줄 수는 없을까? 살아 있는 e러닝이 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자원의 의미를 이해하고, 적시적(Just-in-time)으로 학습자에게 맞는 형태(Just-for-me)로 학습자원을 제공해 주어 학습이 단편적이 아닌 연속적, 통합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적응적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의미의 웹이라 불리 우고 있는 시멘틱 웹(Semantic Web)은 의미적으로 연결돼 있는 학습 정보를 컴퓨터가 의미를 이해해서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정보를 제공해주고, 더 나아가 지식까지도 추론해서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전달해 줄 수 있는 강력한 매카니즘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살이 있는 e러닝이 되기 위해서는 시멘틱 웹과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2회에 걸쳐 시멘틱 웹과, 시멘틱 웹을 e러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애기해 보고자 한다.
Kim, Hyeong-Geun;Leem, Woo-Cher;Choi, Hwan-Yong;Seo, Young-Jo
Annual Conference of KIPS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pp.575-578
/
2017
학생 때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에서 직장에서의 규모가 큰 프로젝트까지 다른 사람들과 협업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당연하다.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UI를 제공하는 웹 기반 프로젝트 협업 관리 도구를 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인 MVC 2 Model을 사용하였으며, 단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시스템 성능과 보다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Maven, 자동화 스크립트, Logback, 단위 테스팅, 데이터 6단계 정규화 등을 사용하는 환경을 구축하여 구현하였다.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pp.477-478
/
201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구축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아이디어사업화 플랫폼은 창의적 아이디어의 발굴 육성 확산을 통해 국민의 아이디어를 가치화하는 아이디어사업화 지원 플랫폼으로, 창의적 문화와 창업 확산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아이디어사업화 플랫폼의 PC환경 웹사이트와 모바일 이용자 형태를 분석하여 모바일 환경에 간소화된 핵심 메뉴구조와 최적화된 UI/UX, 모바일 장치의 특성을 활용한 모바일 웹 서비스 구축으로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