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PB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정보영재 학생의 정보접근성 인식 향상을 위한 PBL 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Improve Awarenes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 김한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9-120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 학생들의 정보접근성 인식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실험수업에 적용된 모형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정보영재 42명(초등학생 22명,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행동의지에 대한 인식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 수업 후 실험수업에 대한 재미, 만족도, 몰입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차이 분석 결과 수업 후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및 행동의지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중,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들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인식과 남학생의 행동의지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학생의 행동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실험수업 후 학습자들의 재미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몰입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후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웹을 활용한 PBL에서 집단지성의 스캐폴더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Scaffold in Web-based PBL)

  • 서순식;허동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5-363
    • /
    • 2008
  •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학습지원 전략으로서 스캐폴더의 역할이 요청된다.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사용자들의 지식, 정보, 경험, 가치 등을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며 문제 해결방법을 제공받는다는 측면에서 스캐폴딩을 제공한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주도적, 자발적, 적극적 참여를 강조하고 있는데, 과연 집단지성이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학습전략의 대안이 되는지 판단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웹에서 집단지성이 스캐폴더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또한 학습자에게 어떤 유형의 스캐폴딩을 제공하는지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집단지성은 정의적 측면에서는 학습자에게 학습태도, 자신감, 흥미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인지적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학년, 학습수준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지성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인지적 측면에서 설명, 방향제시, 예시, 피드백 등과 같은 스캐폴딩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 반응, 격려 등과 같은 스캐폴딩 유형이 나타났다.

  • PDF

초급자의 ICT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Web-Based PBL Learning System for ICT Using Ability of Beginner)

  • 안성훈;구본주;고대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293
    • /
    • 2005
  •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패러다임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이의 실천적 도구인 ICT 활용 교육은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급자의 ICT 활용 교육을 목적으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기술정보화(IT) 시대의 회계 교육 : IT교과와의 융합교육의 제안 (Accounting Education in the Era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 Suggestions for Adopting IT Related Curriculum)

  • 윤소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1-109
    • /
    • 2021
  • Recently,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ccelerated the introduction of databases, communication networks, information processing and analyzing systems, making the use of su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 essential factor for corporate management innovation. This change also affected the accounting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cument changes in accounting areas due to the adoption of IT technologies in the era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to define the required accounting professions in this era, and to present the efficient educational methodologies for training such accounting experts. An accounting expert suitable for the era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means an accounting profession not only with basic accounting knowledge, competence, independency, reli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flexible interpersonal skills, but also with IT skills, data utilization and analysis skills, the understand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chain-based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educate future accounting experts, the accounting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o strengthen the IT capabilities, and it should provide a wide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a practical level of education through industry and academic cooperation. Distance learning, web-based learning, discussion-type classes, TBL, PBL, and flipped-learnings will be suitable for accounting education methodologies to foster future accounting exper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motivate to consider accounting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to enhance IT capabilities.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and e-Portfolio for Educating Pre-service Teachers)

  • 김홍래;김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3-234
    • /
    • 2008
  • 우수한 초등교사의 양성은 우수한 예비교사 교육을 통하여 성취될 수 있다. 양질의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실현 가능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개인적 요구를 반영하고, 대학 강의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컴퓨터 교과교육에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를 통합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N = 105)은 6회에 걸쳐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고, 동시에 그 학습과정을 블로그를 이용하여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며, 학습 과정과 결과에 관한 경험 및 반성을 반성저널에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의 반성저널은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은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을 통하여 컴퓨터교과교육에 대한 이해의 증진, 잠재적으로 ICT 활용 능력의 향상, ICT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습득, 그리고 수행평가로써의 e-포트폴리오 경험을 통해 미래의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ICT 활용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PBL-based Instruction Model)

  • 정효숙;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47-360
    • /
    • 2002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국가와 사회 각 부문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생들을 육성할 책임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학교는 학생들이 정보통신기술을 학습하고 배우기 위한 질적인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수업 모형 중에서도 웹을 가장 널리 적용할 수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프로젝트 학습이다. 이 모형은 다양한 주제, 실제적 과제, 이슈 등에 대한 다양한 탐구 활동과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또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젝트 학습을 개선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형의 각 단계에 ICT를 활용한 8가지 교수-학습 유형과 이를 지원하는 도구를 적절히 투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한 모형을 구현시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 PDF

체육교과용 웹 기반 프로젝트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PBL System for Physical Education Science)

  • 장종철;최숙영;안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16-225
    • /
    • 2006
  • 교수학습법은 학생들이 새로운 경험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변화에 대한 융통성을 가지며 다양한 종류의 가치나 인생의 기로에서 올바른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가치 판단 능력을 가지게 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나 전통 교수학습법에서는 교과서 중심/교수자 중심이었다. 이러한 교수학습법은 21세기 세계화와 정보화 요구에 발맞추어 학생들의 개별 수준이나 창의성 개발에 초점을 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으로 개선되어야 마땅하며, 프로젝트 학습법은 특정 과목에 대한 철저한 학습과 학생들의 협동력과 탐구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가지 활동으로 특히 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체육수업에서 이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과의 바람직한 수업 개선 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시스템을 이용한 수업 실천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해 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