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System Familie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114초

Integrated Korean Flora Database: A versatile web-based database for dissecting flora investigations with climate data

  • Yeon, Jihun;Kim, Yongsung;Kim, Hyejeong;Kim, Juhyun;Park, Jongs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2
    • /
    • 2018
  • Flora investigations in Korea have been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for diverse purposes. Accumulated flora investigation data has not been utilized efficiently because there is no accessible database for comparison. To overcome this shortcoming, we constructed web-based database of flora investigation, named as the Integrated Korean Flora Database (IKFD; http://www.floradb.net/intro.php). Until now, 284 flora references (263 papers, 14 reports and books, and 7 unpublished papers written in between 1962 and 2017) were digitalized into the database. From 134,711 records, 4,301 species belonging to 228 families and 1,079 genera were identified via mapping with two major Korean plant species lists. Polygon areas originated from references were used for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identifying precise distribution area. It will be a better index to show pla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Collected micro-climate dat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y Administration were also integrated in IFKD for understanding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ion of plants and micro-climate. Cold hardiness zone which has been utilized for classifying climate zones. 12 out of 26 zones identified based on micro-climate data in Korea were mapped with distribution of plants. More than half species were appeared in zone 6a, 6b, 7a, and 7b. Taken together with these results, IKFD will be a fundamental platform for understanding plants in Korea flora investigation as well as a new standard for classifying distribution of plants. Moreover, Biodiversity Observation Database (BODB; http://www.biodiversitydb.info/intro.php) which integrates plant distribution data was also integrated for further studies.

  • PDF

Integrated Korean Flora Database: A Versatile Web-based Database for Dissecting Flora Investigations

  • Yeon, Jihun;Kim, Yongsung;Kim, Hyejeong;Kim, Juhyun;Park, Jongs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6-16
    • /
    • 2018
  • Flora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for a long time in Korea. Even though large amount of investigation data has been accumulated, there is no accurate statistics or database because most of data were published in a printed form. We developed a web-based database of flora investigation, named as the Integrated Korean Flora Database (http://www.floradb.net/) to understand distribution patterns and habitats of plants in Korea. Till now, 480 published paper, 356 thesis, 76 reports and books, and 8 unpublished papers written in between 1962 and 2017 were collected and their species lists from 280 papers were parsed into the database. From 124,105 records, 3,100 species belonging to 206 families and 965 genera were identified via comparing with two major Korean plant species lists. 55 endangered species, 159 endemic species, and 367 rare species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surveyed species were Commelina communis in herbaceous and Rosa multiflora in woody plants. Microclimate dat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also integrated and analyzed to assign cold hardness zones for each species. By comparing minimum temperature (<2%) acquired from automated weather stations (AWS) near by plant species, 6a to 10b zones (7b is the most frequent zone) were identified. Integrated Korean Flora Database will be a fundamental platform of korea flora investigation as well as a new standard for classifying distribution of plants based on accurate microclimate data. Moreover, it can also provide evidences of investigated plant species, such as specimen and/or pictures with connecting to the InfoBoss Cyber Herbarium (http://herbarium.infoboss. co.kr/) and Biodiversity Observation Datbase (BODB; http://www.biodiversitydb.org/).

  • PDF

모바일 폰을 이용한 원격 환자 관리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Phones)

  • 박흥복;서정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67-1174
    • /
    • 2009
  • 병실의 환자 관리는 자동적으로 측정되는 환자의 생체 및 환경 데이터뿐만 아니라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서 작성되는 임상 데이터(병실 차트) 또한 환자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데이터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병실 환경에서 임상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측정되는 데이터들과 분리되어 수집되고 있어, 이 두 데이터의 효율적인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두 데이터의 수집되는 시간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통합하기가 어렵고, 임상 데이터의 재구성은 현저한 불확실성을 가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병실의 환경 데이터와 임상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소형 장치에 대한사용의 증가와 무선 기반의 솔루션 개발은 헬스 케어 개발자들에게 변함없는 통신 플랫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바일 폰을 이용한 웹 기반의 원격 환자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즉, 간호사나 의사에 의해서 작성되는 임상 데이터와 병실의 환경 데이터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장치 모듈에 의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찰자의 모바일 폰으로 임상 데이터와 병실 환경 데이터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통합하여 저장한다. 환자의 가족은 병원 외부에서 모바일 폰이나 퍼스닐 컴퓨터를 통해 병원에서 작성한 임상 데이터를 열람하고 병실의 환경을 관찰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Routinization of Producing Multicultural News and Cultural Politics of Gatekeeping)

  • 주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72-485
    • /
    • 2014
  • 본 연구는 스스로를 단일 민족 국가라고 여기는 한국 사회가 민족적 우월성이라는 이데올로기와 인종적으로 계층화된 질서를 재확인 하는 도구로서의 미디어 담론을 어떻게 생산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전세계적 공공 미디어 모델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공영 방송은 계층, 나이, 인종, 성별, 이데올로기의 구분없이 공공의 경험과 의견들을 불편부당하게 재현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러한 책무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표적 공영방송 KBS는 한국 사회 내의 다양한 문화적 집단들을 공정하게 재현해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 공영방송에서 재현되는 이주민들에 대한 뉴스 제작 과정에서 1차적 게이트키퍼로서의 취재기자들을 인터뷰함으로써 이주민들과 다문화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KBS의 일선 취재기자들은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정형화된 스테레오타입을 가지고 있었고, 이주민들과 관련된 기사를 생산함에 있어서 KBS 내부의 취재 관행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웹을 기반으로 한 장난감 도서관 대여 및 반납 시스템 (Toy Library Rental and Return Systems Based on Web)

  • 김은경;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72-183
    • /
    • 2019
  • 현대 사회는 적은 자녀만 낳아 키우는 추세이다. 그러다보니 학부모들은 자녀의 창의적 사고방식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새로운 교육 방식을 찾기 시작하였다. 육아종합지원센터는 다양한 장난감 및 도서 대여를 통해 아동에게는 신체 및 정서적, 사회성을 향상시켜주고 부모에게는 가계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긍정적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장난감 도서관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여 반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누구나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모든 지점의 품목을 쉽게 검색하고 대여 및 반납 내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대여 및 반납 처리 시스템을 통해 발생하는 대여, 반납, 연체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때 만들어지는 데이터들의 통계를 통해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아동에게는 다양한 놀이문화를 제공하고 가정에 문화적 혜택을 제공해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시킬 것을 기대한다.

Review of potential spermatogenic and aphrodisiac effects of the Ferula genus

  • Seyyed Majid Bagheri;Amir Shieh;Jalil Alizadeh Ghalenoei;Maryam Yadegari;Nasrin Alborz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3호
    • /
    • pp.143-153
    • /
    • 2023
  • Objective: Men's sexual healt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le fertility and childbearing, as it is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sexual desire, healthy spermatogenesis, and erectile function. In various cultures, medicinal plants have been utilized to address male sexual issues, including infertility and erectile dysfunction. Despite recent advancements in medical science for treating male impotence, some men opt for herbal supplements as an alternative, given that numerous herbs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male sexual performance. The Apiaceae family is one of the oldest plant familie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Ferula, a genus within this family, comprises approximately 170 different species worldwide. Members of this genus possess numerous therapeutic properties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compounds.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impacts of Ferula plants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Methods: This review article was prepared by searching for terms including Ferula and "aphrodisiac," Ferula and "spermatogenesis," and Ferula and "male reproductive system." Relevant information was gather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ISI Web of Knowledge, PubMed, and Google Scholar.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relatively compreh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area, revealing that certain Ferula species have been employed in folk medicine to boost fertility and libido. Recent research has corroborated these effects. Conclusion: It is hoped that new aphrodisiac compounds with fewer side effects can be isolated from Ferula plants in the future.

Agent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An Intelligent Call Center based on Agent)

  • 이동규;한경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5호
    • /
    • pp.522-538
    • /
    • 2001
  • 본 논문은 현재 개발중인 웹 기반의 실시간 중환자 관찰 시스템의 부 시스템인 호출 시스템을 소개한다.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이 호출 시스템은 환자 상태의 변화와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통신 매체를 찾아서 담당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를 효율적이고 자동적으로 연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시지의 긴급성, 연락 시점, 연락 대상자에게 가능한 통신 매체 등에 따라 호출 상황이 매우 복잡할 수 있는데, 불확실성 추론 방법 중의 하나인 Dempster-Shafer 이론을 이용하여 가장 적합한 통신 매체를 결정함으로써, 메시지 전달의 신속성과 안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에이전트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간섭 없이 호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개별적인 통신매체를 이용하지 않고도, 하나의 통합된 환경에서 적합한 매체를 결정하여 호출하는 본 시스템은 중환자실 의료진의 연락 업무를 경감하고 나아가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 PDF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 고찰을 통한 인체조직기증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Measures of Human Tissue Donation in Korea through Comparing with Foreign Countries)

  • 현윤정;이난영;김동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36-844
    • /
    • 2020
  • 현대 사회는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인체조직기증에 대하여 인식도와 기증률이 낮아 기증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문헌고찰 및 나라별 이식 등록기구 홈페이지 자료를 참조하여, 인체조직기증과 관련한 국내 법률과 운영 제도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인체조직기증 활성화 방안으로 법률적 측면에서 이원화된 장기와 조직이식에 관한 법체계의 통합화, 제도 운영적 측면에서 과도한 압력이 없는 국가의 장기기증에 대한 추정적 동의 방식인 Opt-out 제도의 활성화와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대국민 홍보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추정적 동의 방식은 다양한 사회적 공론화 단계가 필요하며, 거부 의사를 위한 등록체계 운영사항에 대해 국내 실정에 맞는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외국에 비하여 낮은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 정비가 요구되며, 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전환, 대중 홍보 및 사후 기증자와 가족에 대한 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정형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이슈의 동적 변이과정 고찰 (Investigating Dynamic Mutation Process of Issues Using Unstructured Text Analysis)

  • 임명수;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8
    • /
    • 2016
  • 최근 가용한 텍스트 데이터 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방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뉴스, 민원,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유통되는 글로부터 다양한 이슈를 발굴해내고 이들 이슈의 추이를 분석하는 이슈 트래킹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이슈 트래킹은 토픽 모델링을 통해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된 주요 이슈를 발굴한 후, 각 이슈를 구성하는 문서 수의 세부 기간별 분포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통적 이슈 트래킹은 각 이슈를 구성하는 내용이 전체 기간에 걸쳐 변화 없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세부 이슈가 서로 영향을 주며 생성, 병합, 분화, 소멸하는 이슈의 동적 변이과정을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전체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출현한 키워드만이 이슈 키워드로 도출되기 때문에, 핵실험, 이산가족 등 세부 기간의 분석에서는 매우 상이한 맥락으로 파악되는 구체적인 이슈가 오랜 기간의 분석에서는 북한이라는 큰 이슈에 함몰되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세부 기간의 문서에 대한 독립적인 분석을 통해 세부 기간별 주요 이슈를 도출한 후, 각 이슈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이슈 흐름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각 문서의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카테고리간의 이슈 전이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총 53,739건의 신문 기사에 제안 방법론을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통적인 이슈 트래킹을 통해 발굴한 주요 이슈의 세부 기간별 구성 내용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이슈의 선행 이슈와 후행 이슈를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테고리간 분석을 통해 단방향 전이와 양방향 전이의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하였다.

팔당호 어류군집의 생태특성 및 장기 변동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Variation of Fish Community in Lake Paldang and its Tributaries)

  • 박혜경;이장호;최명재;윤석환;송호복;이규;윤석제;신경애;변명섭;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51-963
    • /
    • 2009
  • The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Lake Paldang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2008. During the survey period, 53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wa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representing 81.8% of total number and 25.7% of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and subdominant species was Lepomis macrochirus representing 3.3% of total number and 18.9% of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There were 20 Korean endemic species (38% of collected species number) including Cottus koreanus and 4 exotic species (7.5%) including Micropterus salmoides. The similarity analysis of fish communities among water areas of Lake Paldang using UPGMA showed that fish community of North-Han River was similar to that of South-Han River area and was different from that of Gyeongan River area. Long-term variation of fish community from 1972 to present study in Lake Paldang showed decrease of the species numbers after dam construction until 1994, and gradual increase from 1996 to present study indicating the disturbance of lentic system by dam construction in the 1980s. The increase of species number in the late 2000s may results in part from the increase of survey sites of successive studies. L. macrochirus which was designated as a domestic ecosystem-disturbing alien species with wide food niche have shown more than 20% of relative abundance since 1996 indicating the adverse effect on not only fish community but also aquatic ecosystem food web of Lake Pald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