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Prox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3초

Development of a Web Accelerator in the Kernel

  • Park, Jong-Gyu;Lim, Han-Na;Kim, Hag-Bae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70.3-70
    • /
    • 2001
  • In this paper, we suggest a kernel level multi thread web accelerator (called the SCALA-AX), which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web soerver.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proxy web cache that is generally called a caching server and a simple content-copy based system, the primary functions and goals of SCALA-AX are designed to maximize the content services of a front end web server with high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SCALA-AX runs on the kernel level of a web sorrel, based on the newest caching techniques. Moreover, the SCALA-AX supports the http 1.1 protocol and allows the dynamic pages as well as static pages to be processed.

  • PDF

효율적인 인터넷 대역폭 사용을 위한 웹 프리페칭 기법 (Web Prefetching Scheme for Efficient Internet Bandwidth Usage)

  • 김숙향;홍원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7권3호
    • /
    • pp.301-314
    • /
    • 2000
  • World Wide Web(이하 웹)은 저렴한 가격과 다양하고 흥미 있는 정보를 쉽고 간편하게 찾아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웹의 사용자는 하루가 다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웹의 사용자의 증가와 함께 웹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즉, 웹 문서, 그림,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크기 또한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웹 트래픽을 위한 네트워크 대역폭의 사용량을 살펴보면 사용자들의 요청이 많은 peak periods에는 대부분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고, off-peak periods에는 사용하지 않는 대역폭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네트워크의 대역폭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검색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해결방안 중 하나가 웹 캐싱이다. 그러나, 웹 캐싱을 사용하더라도 peak periods 동안에는 네트워크 대역폭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off-peak periods에 여유 있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업사.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균형 있게 사용하기 위해 캐싱 서버(SQUID)를 기반으로 하는 웹 프리페칭(Web prefetching)기법을 제안한다. 24시간 동안의 웹 사용 상황을 분석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다음 24시간 내에 유효기간을 초과하는 웹 객체를 프리페칭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웹 프리페칭 기법은 peak periods 동안 요청되리라 예상되는 웹 객체를 off-peak periods 동안 남는 대역폭을 이용하여 미리 캐싱 서버에 가져다 놓은 방법으로써 많은 디스크 용량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캐시 객체 히트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웹 접근 패턴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프리페칭된 웹 객체에 대하여 높은 객체 히트율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소개한 기법의 유효성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증명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된 프리페칭 기법이 효율적으로 peak bandwidth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WAP 프록시의 구축 및 무선통신 효율을 위한 개선 (Construction of a WAP Proxy and its Improv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Efficiency)

  • 박기현;신양모;주홍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3호
    • /
    • pp.379-386
    • /
    • 2004
  • WAP 2.0 시스템은 인터넷 환경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WAP 포럼에서 새롭게 제안된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서, WAhP 단말기와 기존 Origin 웹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WAP 포럼에서 제안된 WAP 2.0 프록시를 구축하고 2) 이를 개선하여 유무선 통신 간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개선된 WAP 프록시는 split-TCP 개념을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환경을 연결하고 있지만, split-TCP 연결과는 달리, TCP의 end-to-end 의미(semantics)를 유지시키고 상위 프로토클 계층에서의 처리를 되도록 줄여서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또한, SACK(Selective Acknowledgement) 옵션 및 Timestamp 옵션을 지원하여 빠른 재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선통신 경로에서의 TCP의 성능 저하를 줄인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개선된 WAP 프록시를 Linux 환경에서 구현한 후 성능을 측정한 결과, WAP 포럼에서 제안된 WAP 프록시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지연시간과 데이터 전송량이 모두 줄어드는 전송 효율의 향상을 얻었다 특히, 패킷 유실율(packet missing ratio)이 클수록, 데이터 전송량의 감소 효과가 점점 커짐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개선된 WAP 프록시로 인한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성능 항상 효과가 뚜렷함을 입증한다고 생각된다.

이동 컴퓨터를 위한 클래스 기반 프락시 서버 (Class-based Proxy Server for Mobile Computers)

  • 이종국;김명철;이경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8권4호
    • /
    • pp.463-476
    • /
    • 2001
  • 기존의 PC나 W/S보다 이동성으로 인해 성능 상 제약이 많은 이동 컴퓨터 (mobile computer)는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프락시 서버(proxy server)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의 양을 줄이거나 모든 데이타를 문자로만 처리해서 전송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락시 서버들은 다양한 이동 컴퓨터들로부터 H/W의 사양을 전송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동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크기(pixels)의 이미지 파일을 이동 컴퓨터들에게 전송해야만 한다. 그리고 사용자 별로 구분된 캐시를 사용함으로써 캐시의 적중률(hit ratio)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색상을 기준으로 다양한 이동 컴퓨터들을 클래스로 나누고, WWW의 이미지 파일을 각각의 클래스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저장하는 프락시 서버인 '클래스 기반 프락시(Class-based Proxy)'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클래스 기반 프락시는 클라이언트 장치 (client device)가 요구하는 이미지 파일을 해당 클래스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비례하여 변환한다. 따라서, 이동 컴퓨터들은 해당 클래스에 맞도록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클래스 기반 프락시로부터 전송 받기 때문에 PC나 W/S에서 보던 홈페이지의 화면을 이동 컴퓨터에서도 유사하게 볼 수 있다. 또한, 클래스 기반 프락시는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동일한 클래스의 이동 컴퓨터들이 서로 공유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클래스 기반 프락시와 기존의 프락시 서버를 테스트 한 결과, 클래스 기반 프락시 는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하게 변환된 이미지 파일들이 캐시에 저장되어 사용될 때 기존의 프락시 서버보다 빠른 속도를 보였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늘어날수록 클래스 기반 프락시가 기존의 프락시 서버보다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클래스 기반 프락시는 클래스 별로 구분된 캐시로 인해 프락시 서버의 부담을 줄임으로써, 기존의 프락시 서버들보다 확장성(scalability)이 향상되었다.

  • PDF

이동 단말을 위한 웹 기반 텍스트 요약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Text Summariz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 차지은;천승만;박종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6호
    • /
    • pp.725-730
    • /
    • 2009
  • 최근에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이동 단말을 통한 인터넷 웹 접속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 단말의 작은 화면은 한 번에 웹페이지의 전체 내용을 브라우징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이동단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웹 기반 텍스트 요약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텍스트 요약 시스템의 특징은 문서의 구문적 특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다량의 텍스트가 단락 안에 존재하는 경우에 문서를 요약하여 텍스트 용량을 줄임으로써 웹 브라우징에 있어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고 빠른 접근과 불필요한 데이터의 출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특징을 구현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Metered Signatures: How to Restrict the Signing Capability

  • Kim, Woo-Hwan;Yoon, Hyo-Jin;Cheon, Jung-Hee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2권3호
    • /
    • pp.201-208
    • /
    • 2010
  • We propose a new notion of metered signatures. Metered signature is an extension of k-times signatures in which a signer can generate only k signatures. However, the restriction of metered signatures can be more elaborate: It can be used k-times every day or to preserve the order of signed messages in some applications. Any violation of this regulation reveals a secret key or the signature on a predetermined message. The applications includes proxy signatures, limited free downloads, and the rating web site. We give two instances of metered signatures: One is based on the computational Diffie-Hellman problem (CDHP) using a bilinear map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RSA problem. In both schemes, the signature and certificate size and the verification cost are constant with respect to k. Further,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ered signatures admit batch verification of many signatures almost at one verification cost with small security loss.

Automated Link Tracing for Classification of Malicious Websites in Malware Distribution Networks

  • Choi, Sang-Yong;Lim, Chang Gyoon;Kim, Y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100-115
    • /
    • 2019
  • Malicious code distribution on the Interne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nternet-based threats and distribution technology has evolved to bypass detection systems. As a new defense against the detection bypass technology of malicious attackers, this study proposes the automated tracing of malicious websites in a malware distribution network (MDN). The proposed technology extracts automated links and classifies websites into malicious and normal websites based on link structure. Even if attackers use a new distribution technology, website classification is possible as long as the connections are established through automated links. The use of a real web-browser and proxy server enables an adequate response to attackers' perception of analysis environments and evasion technology and prevents analysis environments from being infected by malicious code.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for classification are verified using 20,000 links, 10,000 each from normal and malicious websites.

위성 인터넷에서 웹 트래픽의 성능 향상을 위한 동적 응답 패킷 생성 기법 (A Dynamic ACK Generation Scheme to Improve Web Traffic Performance over Satellite Internet)

  • 박현규;이지현;임경식;정우영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64-72
    • /
    • 2006
  • The long propagation delay over satellite internet causes degradation of TCP performance in slow start phase. Especially, web traffic performance is greatly reduced by low throughput in slow start phase. To improve web traffic performance, we propose the Dynamic ACK Generation Scheme which generates ACKs and considers sender RTO in PEP (Performance Enhancing Proxy). The Normal ACK generation mechanism improves TCP throughput, and also decreases sender RTO. if PEP stops generating ACKs, TCP performance will be reduced by frequent RTO expiration. To solve this problem, our scheme adjusts RTO using ACK generation interval. And it supports retransmission mechanism for loss recovery in PEP.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provide a good evidence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our mechanisms over satellite internet.

  • PDF

클라이언트 기반 분산 웹캐싱 시스템 (A Client-based distributed web caching system)

  • 박종호;유성구;정길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29-830
    • /
    • 2006
  • A distributed web caching system can transmit information to a user quickly and stably, avoiding a congested internet network by storing and later supplying requested content to a cache that is distributed and shared like a proxy server. This paper proposes a client-based distributed web caching system that assigns an object and controls the load using a user's direct connection to shared caches, without the aid of additional domain name system (DNS) requests. The proposed system simplifies information transmission by reducing both DNS queries and delay time.

  • PDF

커널 쓰레드 웹가속기(SCALA-AX) 개발 (Development of a Kernel Thread Web Accelerator (SCALA-AX))

  • 박종규;민병조;임한나;박장훈;장휘;김학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3호
    • /
    • pp.327-332
    • /
    • 2002
  • 주로 캐싱서버로 사용되는 기존의 프록시웹캐시는 단순히 웹서버의 컨텐츠를 복사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 방법은 실제로 컨텐츠 서비스를 담당하는 웹서버의 성능 향상보다는 컨텐츠 전달 중간단계의 속도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동시 접속자로 인하여 웹서버에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에는 많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서버의 성능을 극대화시켜 클라이언트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웹가속기(SCALA-AX)를 제안한다. SCALA-AX는 리눅스 커널 모듈로 구현되어, 유저레벨 웹서버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작동을 한다. SCALS-AX는 HTTP 요청을 커널쓰레드를 이용하여 처리 하기 때문에 전달 속도 향상뿐만 아니라 캐싱서버 설치로 인한 추가비용도 발생하지 않는다. SCALS-AX의 성능평가 결과, SCALA-AX가 구현된 웹서버는 기존의 웹서버보다 데이터 전달면에서 5배 이상의 속도 향상을 얻었다. 즉, 웹서버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