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Prox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5초

모바일 환경에서 웹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한 동적 분산적응 프레임워크 (Dynamic Distributed Adaptation Framework for Quality Assurance of Web Service in Mobile Environment)

  • 이승화;조재우;이은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6호
    • /
    • pp.839-846
    • /
    • 2006
  • 최근 무선기기의 다양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항상 적절한 서비스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상황인식형 적응 서비스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적응 모듈이 클라이언트나 프록시, 서버 중 한 위치에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가 증가하는 경우에 작업부하가 한 곳에 몰리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응답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적응 모듈을 클라이언트, 프록시, 서버 측에 분산배치하고 시스템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가장 적절한 시스템이 작업을 처리하는 분산적응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작업부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보다 빠른 적응작업이 가능해지며, 부하가 분산되어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프레임워크의 평가를 위해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크기가 큰 이미지파일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반 학습콘텐츠를 이용하여 분산처리를 테스트하였다. 그리고 서버의 과부하를 시뮬레이팅하여, 기존 적응시스템들과의 응답시간과 시스템 안정성측면의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프레임워크의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기술가치 전략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Value Strategy using Technology Valuation System)

  • 권방현;황규승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5권1호
    • /
    • pp.129-146
    • /
    • 2003
  • 기술 투자와 거래의 증가는 기술가치 평가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평가의 전문성과 기술가치의 다양성으로 인해 객관적인 기술 가치 평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웹 기반의 대화형 기술가치 평가(WITV)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 시스템을 이용한 기술가치의 평가 및 기술가치의 전략 분석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WITV 시스템은 내적 기술가치(IVT)와 외적 기술가치(EVT)로 구성 된 기술가치 매력도(TVA)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해당 산업에서 기술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을 분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코스닥에 등록된 IT산업 의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TVA 모형과 WITV 시스템의 타당성과 적용가능성을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에 의해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도서관 학술DB 이용 패턴 연구: K대학도서관 학술DB 이용 사례 (A Usage Pattern Analysis of the Academic Databas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in K University Library)

  • 최일영;이용성;김재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40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하여 K대학도서관의 학술DB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 도서관의 학술DB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문분야별, 신분별, 학문분야 및 신분별 학술DB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임교원의 학술DB 네트워크와 박사과정의 학술DB 네트워크는 특화된 학술DB를 중심으로 강한 결속력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신분의 학술DB 네트워크보다 밀도, 연결정도 집중도 및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Head-End-Network에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멀티캐스트 VOD 시스템 (Multicast VOD System for Interactive Services in the Head-End-Network)

  • 김백현;황태준;김익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3호
    • /
    • pp.361-368
    • /
    • 2004
  • 본 논문은 멀티캐스트 전송 네트워크 상에서 Head-End-Network(HNET) 및 BISM(Buffering algorithm for Interactive Services in Multicast)을 사용하여 VCR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VOD 시스템을 제안한다. HNET은 Switching Agent(SA)와 캐쉬를 적용한 Head-End-Nodes(HENs) 및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HENs는 SA의 제어하에 요청된 비디오 스트림을 분산저장하며, 클라이언트 버퍼는 다양한 VCR 재생률을 지원하기 위하여 BISM을 사용하여 동적으로 확장된다. 본 논문에서 대화형 VCR 서비스는 서버 또는 HENs에 의해 네트워크 상에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과 클라이언트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안된 기술은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서버로부터 불필요한 채널의 할당 및 중복된 비디오 컨텐츠의 전송을 제한하게 되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중재 쓰레드와 지연 캐싱에 의한 스퀴드 프록시 서버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SQUID Proxy Server Performance by Arbitral Thread and Delayed Caching)

  • 이대성;김유성;김기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1호
    • /
    • pp.87-94
    • /
    • 2003
  •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캐시 서버의 사용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캐시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캐시 서버의 병목 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중재 쓰레드와 지연 캐싱을 제안한다. 중재 쓰레드를 사용함으로써 캐시 서버가 디스크 쓰기 연산 시에 준비된 다중 쓰레드를 탐색해야 하는 문제점을 없애고 즉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준비된 다중 쓰레드가 없는 경우에는 지연 캐싱을 이용해 과부하 상태의 디스크 연산을 피하고 큐가 안정화될 때 캐싱을 하도록 하여 시스템이 안정성 있게 동작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캐시 서버는 스퀴드(SQUID) 캐시 서버를 변형하여 구현되었고 실험을 통해 기존 스퀴드 캐시 서버의 성능과 비교한 결과, 응답 시간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효율적인 APT 대응 시스템 운영 모델 (Efficient Operation Model for Effective APT Defense)

  • 한은혜;김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501-519
    • /
    • 2017
  • 진보하는 IT의 혁명적인 기술 발전에 따라 사이버 보안에 대한 위협과 보안 사고는 함께 증가하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 큰 규모의 APT 보안 사고가 국내와 해외에서 다수 발생 하였다. 특히 보안 사고에 대한 피해 사실을 해당 조직 내부에서 스스로 알기 전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의해 알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4차 산업혁명 등 진보하는 IT 발전과 함께 생성되는 민감한 데이터의 규모는 점점 더 커져가고 있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고비용을 투자하여 주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접근을 통제하고, 여러 보안 장비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상 징후를 찾아내기 위한 SIEM을 구현하는 등 많은 보안 대책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극도로 지능화된 APT의 경우 내부 침투 사실을 인지하는 것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진보된 APT의 보안위협은 소규모, 대규모 기업 및 공공 기관을 포함하여 전 업계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킬체인 체계에 맞추어 주요 취약점 현황을 분석하고 이러한 취약점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연구하여 운영 조직의 업무 환경과 운영 인력을 고려한 효율적인 APT 대응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BLE 상의 IPv6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Pv6 over BLE)

  • 김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09-315
    • /
    • 2017
  • 근래 제한된 자원과 이기종 통신 장치를 가진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4.2 기술인 Bluetooth Low Energy(BLE) 상에서 IPv6를 사용하여 센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발행-구독 방식의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인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MQTT)를 이용하여 별도의 데이터 변환이나 프록시가 필요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시스템과 연동된 웹 클라이언트에서는 BLE 장치가 감지한 센서 데이터는 MQTT 브로커로 중개된 후에 HTTP 및 웹소켓 프로토콜을 통해 웹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므로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테스트 플랫폼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검증하고 본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적용하면 개발 비용을 줄이고 이기종 장치들로 사물인터넷 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전산망 보호를 위한 혼합형 방화벽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Hybrid Firewall System for Network Security)

  • 이용준;김봉한;박천용;오창석;이재광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1593-16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스크리닝 라우터, 듀열-홈드 게이크웨이, 스크린드 호스트 게이트웨이, 그리고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를 사용한 혼합형 방화벽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스크린드 호스트 게이트웨이는 스크리닝 라우터와, DMZ, 그리고 베스쳔 호스트로 구성되었으며, 외부의 모든 트랙픽은 프로토콜 필터링 기능을 가진 스크리닝 라우터에서 필터링되고, 그리고 응용 레벨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베스쳔 호스트로 전송된다. 듀얼-홈드 게이트웨이는 외부의 사용자가 내부 네트워크를 직접 접근을 못하도록 중개 역할을 한다.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는 프럭시 서버를 통해서만 트래픽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외부 사용자는 DMZ에 있는 고개 서버를 통해서만 내부 네트워크로의 접근이 가능하지만 내부 사용자는 외부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DMZ에 있는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시스템 관리자만 Telnet 접속이 가능하도록 규칙기반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접근 거부는 Web, Mail, FTP, Telnet 순으로 나타났으며, DMZ에 있는 공개 서버릴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에 대한 접근은 거부되었다. 프로토콜별 접근 거부는 모든 네트워크에 broadcast하는 BOOTP와 NETBIOS를 사용하는 호스트가 많았기 때문에 TCP보다 UDP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에 불법적인 Telnet이나 FTP는 거의 없었다.

  • PDF

무선 인터넷 컨텐츠의 자동 생성을 위한 WML 변환기와 WML 편집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ML Converter and WML Editor for Automatic Generation of Wireless Internet Content)

  • 전윤주;최은혜;정현숙;조혜영;이민수;용환승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2호
    • /
    • pp.309-318
    • /
    • 2005
  • 기존의 HTML 컨텐츠와 관련 응용들을 효과적으로 무선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HTML 문서를 WML 기반의 문서로 효율적으로 변환하고 저작하여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반기술 및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TML을 사용하여 제작된 기존 웹 페이지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WAP 환경에 적합한 언어인 WML 문서로 변환해주는 WML 변환기, 그리고 WML 문서를 WYSIWYG방식으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WML 편집기를 설계하고 구현함으로써 무선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현된 WML 변환기는 프록시 서버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변환기에 비해서 다양한 이미지 변환 및 링크, 프레임에 대한 태그 변환을 개선함으로써 링크를 통한 연속적인 탐색이 가능하고 프레임으로 구성된 복잡한 웹 페이지도 볼 수 있게 하였다. 이외에도 휴대폰 크기에 맞도록 WML 문서의 자동적인 카드 분리, 사용자 정의 변환 규칙의 추가를 지원한다. 또한 WYSIWYG 방식의 편리한 WML 편집기와 통합되어 있어서 WML 문서의 생성부터 출판까지 통합환경을 제공한다.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피싱공격 확산방지모델 연구 (A Study of Prevention Model the Spread of Phishing Attack for Protection the Medical Information)

  • 최경호;정경용;신동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73-277
    • /
    • 2013
  • 피싱 공격은 시간이 흐르면서 보다 더 지능적으로 실행되며, 기술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해커는 지능화된 피싱 공격을 주요 기관의 내부 네트워크 침투를 위해 내부 사용자 컴퓨터를 점령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도화된 피싱 공격으로부터 내부 사용자와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피싱공격 확산방지모델(PMPA : Prevention Model the spreading of Phishing Attack)을 기술하고자 한다. 내부 사용자들은 외부 웹메일 서비스와 내부 메일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한다. 따라서 양 구간에서 발생하는 위협 요소를 동시에 식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패킷을 감시하고 저장하여 각각의 항목별로 구조화시켜야 한다. 이는 해커가 내부 사용자를 공격할 때 외부 웹메일 서비스와 내부 메일 서비스 중 어느 한 쪽을 이용하거나 또는 양쪽 모두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은 기존에 연구된 메일 서버 중심의 보안구조 설계를 내부 사용자가 접속하는 내부 메일 서비스까지 보호할 수 있도록 확장한 것이며, 프록시 서버를 이용하여 직접 피싱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것보다 메일 확인 시 해당 사이트를 목록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요청/응답을 위한 대기 시간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