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2.0/3.0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8초

질적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업무의 시대별 수행 형태 및 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iod-Specific Changes of Job Factors and Performance Features in Academic Libraries)

  • 조철현;노동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37-165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업무의 수행 형태와 요소의 변화를 시대별(도서관1.0, 도서관2.0, 도서관3.0)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업무를 경영관리, 장서개발 및 관리, 자료조직, 이용서비스,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의 5개 직무로 구분한 다음 각 직무별 세부 업무에 대하여 도서관 현장의 중견 사서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업무가 참여, 공유, 개방(도서관2.0 시대)을 넘어서 소셜 네트워크, 시맨틱(도서관3.0 시대)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업무의 수행 형태 및 요소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2.0 시대에서 시작한 모바일, RFID, SNS, NFC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서관3.0 시대에는 이용서비스에 대한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져서 이를 지원하는 도서관 시스템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DID 플랫폼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MyData Service Model Based on DID Platform)

  • 박소현;김현준;이강효;하태균;김경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8-270
    • /
    • 2023
  • 기존 Web2.0 시대의 플랫폼 기업은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개인 데이터로 다양한 비즈니스를 창출해왔다. 하지만 데이터 제공자인 개인은 해당 수익에서 제외되는 모순된 상황에 놓였다. 이에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적극 관리·통제하면서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인 마이데이터(MyData)가 등장했다. 국내에서는 '20.8월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이 통과되면서 신용정보법에 근거해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존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은 중앙화된 시스템으로 본래 취지와 다르게 개인의 데이터 소유권과 통제권을 보장하기에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마이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Web3.0 등 변화하는 환경에서 개인의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고, 데이터 가치를 공정하게 분배받을 수 있는 DID 플랫폼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건기 및 우기 때의 WHAT system과 유량측정에 의한 기저유출량 비교 (Baseflow Comparison using the WHAT system and Flow Rate Measurements in the Dry and Rainy Seasons)

  • 남경훈;김규범;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17-125
    • /
    • 2013
  • 강우패턴의 변화에 의한 대하천변 지하수홍수발생은 농 경작지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대하천변의 지하수홍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하천의 유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의 정량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수변구역에서 WHAT system이라는 Web GIS 기반의 수문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기저유출량과 실제 하천에서 산출된 기저유출량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지역의 기저유출량은 우기인 2012년 07월 17일에는 0.489 $m^3/s$, 2012년 07월 18일에는 0.260 $m^3/s$, 2012년 07월 19일에는 0.279 $m^3/s$이었고 건기였던 2013년 03월 06일에는 0.006 $m^3/s$, 2013년 03월 30일에는 0.009 $m^3/s$의 기저유출량이 산출되었다. 분석결과 수변구역 충적층 지역에서 강우 발생 시 기저유출량의 증가가 발생하였으며 건기 시 오차가 다소 적게 나타났다.

사이버공간에서 자기 결정권과 보안 기술 (Rights to Control Information and Related Security Technologies on the CyberSpace)

  • 민경배;강장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5-141
    • /
    • 2010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시대, 자기 결정권에 관한 기술과 제도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사이버공간의 3대 구성 요소를 근간으로 기술과 제도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시도한다. 그리고 가상공간의 기술과 제도를 중심으로 프라이버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에 관한 선행 연구와 사례를 탐구한다. 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해 요소 기술, 플랫폼 서비스 기술, 개별 기술 별로 취약점을 분석한다. 특히, 웹 2.0 환경에서 관계맥락으로 활용될 개인정보의 위험과 보안 대책을 자기결정권 측면에서 기술한다. 연구결과는 향후 자기결정권 연구에 방법론적으로 그리고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데 거대 이론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Estimating the mean number of objects in M/H2/1 model for web service

  • Lee, Y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1-6
    • /
    • 2022
  •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mean number of objects in the M/H2/1 model for web service when the mean object size in the M/H2/1 model is equal to that of the M/G/1/PS and M/BP/1 models. To this end, we use the mean object size obtained by assuming that the mean latency of deterministic model is equal to that of M/H2/1, M/G/1/PS, and M/BP/1 models, respectively. Computational experiments show that if the shape parameter of the M/BP/1 model is 1.1 and the system load is greater than 0.35, the mean number of objects in the M/H2/1 model when mean object size of M/H2/1 model is the same as that of M/G/1/PS model is almost equal to the mean number of objects in the M/H2/1 model when the mean object size of M/H2/1 model is the same as that of M/BP/1 model. In addition, as the upper limit of the M/BP/1 model increases, the number of objects in the M/H2/1 model converges to one, which increases latency. These results mean that it is efficient to use small-sized objects in the web service environment.

AI7075합금의 정밀단조시 금형설계와 단조조건의 영향(ll) -유한요소해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Die Design and Process Condition in Precision Forging for AI7075 (ll))

  • 이영선;이정환;이상용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3-121
    • /
    • 1996
  • AI7075 alloy has been used for aircraft components since it has the advantage of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Many airframe components consist of various combinations of rib-web structure. In this study, various process paramenters such as die design, lubricant, ram speed, forging temperature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the experiment and F.E.M. simulation to develop the precision forging technology for AI7075. When lubricant is applied to both material and die, shear friction factor is 0.1 which shows best effect of lubricant. It is specific corner radius of die that minimized forging load regarding process condition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width of rib and web. In conclusion, optimum corner radius is 2~3mm when the width of rib and web is 3mm and 20mm respectively.

  • PDF

시맨틱 위키를 이용한 RDF/OWL과 토픽맵 사이의 상호운용성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RDF/OWL and Topic Maps using the Semantic Wiki)

  • 김훈민;양정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3-133
    • /
    • 2007
  • 시맨틱 웹과 웹 2.0의 개념이 등장하며 시작된 차세대 웹은 기존의 자원 중심의 서비스를 바꾸고 있다. 즉, 관심의 초점이 이미 풍부해진 자원 자체가 아닌 그 자원을 설명하는 메타 정보로 옮겨지고 있는 것이다. W3C와 ISO에서는 이러한 메타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표준으로 각각 RDF(Resource Description Language)와 토픽맵(Topic Maps)을 정의하여 발표하였다. 그러나 메타 정보를 XML형태로 직접 기술하는 방법은 사용자 참여가 중요시되는 차세대 웹에서 일반 사용자들의 진입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한 방법으로 기존의 WikiWikiWeb 시스템을 확장한 시맨틱 위키(semantic wiki)가 등장하였으며 사용자는 간단한 문법을 통해 위키 페이지에 대한 RDF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토픽맵 기반의 시맨틱 위키와 현재 구현된 RDF 기반의 시맨틱 위키 사이의 메타 정보 상호운용성을 위한 방법을 RDFTM Task Force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기초로 살펴보고, 상위의 Wiki 문법을 통해 하위 단의 변환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HP를 이용한 웹 사이트 신뢰성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Web Credibility Evaluation Model Using AHP)

  • 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6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웹정보의 신뢰성 평가 요인과 지표들을 바탕으로 계층적 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여 지표들의 가중치를 산출하고 민감도 분석을 통해 웹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AHP를 이용한 분석 도구로는 Expert Choice 2000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지표의 가중치 산출을 위한 대상자는 비확률 표준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판단표본추출방법(judgement sampling)을 사용하여 2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설문대상자를 추출하였다. 한편 민감도 분석은 평가요인들의 가중치를 달리 했을 때 하위지표들의 글로벌 가중치에 대한 민감성을 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가 영역의 가중치를 네 가지 경우로만 제한된 변화에 대해서 하위지표들의 글로벌 가중치와 우선순위의 변동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1차 지표 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에서는 진실성 요인의 중요도가 0.606으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차 지표에서는 콘덴트의 믿음성(0.857), 유용성(0.460), 시의성(0.417)이, 그리고 3차 지표에서는 '정보의 출처에 관한 정보 제공', '기사의 인용이나 참고문헌 제공', '이용자의 의견이나 리뷰제공' 등의 요인의 가중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역별 가중치를 달리했을 때 AHP 결과와 민감도 분석의 결과에서 하위지표들의 가중치와 우선순위의 반전이 나타났지만, 안전성 요인의 가중치를 0.5로 상향조정한 민감도 분석 D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AHP 결과에서 글로벌 가중치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민감도 분석에서도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웹콘텐츠 서비스 평가 (An Evaluation Method for Web Contents Services)

  • 장희선;박종태
    • 서비스연구
    • /
    • 제3권2호
    • /
    • pp.33-44
    • /
    • 2013
  •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의 증가로 유무선 웹 콘텐츠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보다 다양한 콘텐츠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로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접근성, 웹표준에 대한 기술적 오류를 없애고 콘텐츠 이용률이 높은 사이트가 되기 위해서는 마케팅 및 캠페인과 같은 이벤트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정기적인 사이트 평가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평가 방법을 크게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정량적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138개 홈페이지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정량평가를 위하여 접근성, 표준성 및 이용성 항목으로 구분하고 접근성은 K-WAH(Korea-Web Accessibility Helper)를 이용하여 인식 운용 이해의 용이성 및 기술적 진보성 항목에서의 오류수를 진단하고 표준성은 W3C Validator를 이용하여 웹표준의 오류 및 경고수를 분석하며, 이용성은 구글 애널리틱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방문수, 평균 방문시간, 이탈률 등을 평가한다. 그리고 웹사이트에 대한 비용(구축 및 운용비)을 고려하여 정량평가와 비용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평균 55점, 표준편차 14점으로 평가되었으며 정량평가 점수와 비용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나 상관계수는 0.058로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PDF

정보서비스 평가연구: 국내 행정부처 Web 정보사례 (Quality Control of Web Information Service: the case of government web site)

  • 유사라;한선영;오혜경;강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3-115
    • /
    • 2001
  • 국가 차원의 정보화 사업이 국내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재. 본 연구는 국내 40개 행정부처의 대 국민 서비스를 목적으로 제공되는 웹 정보서비스의 실태를 조사하고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여, 정부기관의 정보서비스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팀은 6개월 간 해당 부처의 홈페이지와 민원정보와 R & D 정보의 실험검색들을 실시하였으며 서비스 평가는 Web정보 서비스 품질 평가기준에 따라 측정되었다. 1${\sim}$7점 척도에서정보서비스 품질의 평균은 3.6(최고 5.3 ${\sim}$ 최하 2.2)이었고, 검색성은 3.7, 용이성은 3.9, 이용자지원성은 3.1 등 모두 기준 척도의 중간치 (4.0)를 밑도는 결과를 보였다. 정부정보 서비스품질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이용자 지원성 측면이었으며 대 국민 정보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각 부처별 정보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 노력이 절실함을 보이는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