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front Satisfac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이용자 수요를 반영한 수변 공간 개발요소와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Elements and Direction of Waterfront Reflecting User Demands)

  • 박기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083-1094
    • /
    • 201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x waterfront users who are currently being used to select indicators for waterfront development. It can be classified into urban type, inland type and coast typ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waterfront space is located. These waterfront design elements include accessibility, public activity, and waterfront characteristics. Waterfront environment involves selecting the elements for considered and examined these with resepect to the goals of the study.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most waterfronts, it is analyzed that users who are located within 30 minutes' distance of walking are most likely to use it. As shown in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is study, the unsatisfactory satisfaction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was found to be low in Unam pon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waterfront space is also low. In the case of Chunggye Chu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eekdays showed that the office workers, such as the offices located in the surrounding area, were mainly resting places. In the case of Naesungchu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indicators that can help the direction of the festival as a survey on the users during the festival period. In this study, waterfront location, purpose of use,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subdivision are presented as indica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waterfront.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indicators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users.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쿄 임해지역 집합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that Improve Waterfront Satisfaction: Targeting Residents of Apartment Houses in the Tokyo's Coastal Area)

  • 김주홍;오세경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7-134
    • /
    • 2024
  • 본 연구는 도쿄 임해지역에 있어서 거주자의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세대별로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도쿄 임해지역의 집합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수변 이용에 수반하는 수변 만족도의 향상과 수변 인식에 수반하는 수변 만족도의 향상에 대한 관계성의 세대차를 분석했다. 연구의 데이터 구축을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서 수변의 이용 및 인식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는 수변의 이용에 관해서는 수변까지의 거리・수변에 체재하는 시간・수변을 방문하는 횟수를 선정했다. 또, 수변의 인식에 관해서는, 공간・행위・관리 상태를 선정했다. 이상을 토대로 세대별 수변의 이용 및 인식과 수변 만족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은 세대별로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쿄 임해지역에 있어서의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거주 환경의 정비로서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청년 세대와 노년 세대의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방문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변으로의 연결로 개통에 수반하는 보행하기 쉬운 액세스 정비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중년 세대와 노년 세대는 거주지 인접에 수변을 배치하는 등 이동거리를 단축하는 개선을 통해 시간 거리를 줄여 수변 이용을 촉진하는 정비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모든 세대에 있어서 수변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휴식성・위생성・정비성이 고려된 수변을 조성하여 위생적으로 정비된 수변 휴식 공간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다.

친수공간 이용효율성 개선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국내·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위한 친수공간 사례로 - (A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Efficiency Use of Waterfront - A Focus on the Waterfront Analysis for Domestic and Foreign Dragon Boat Festival -)

  • 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86-9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수상레포츠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통해 친수공간의 외적 환경과 내적 공간구조의 분석하고, 이용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홍콩, 부산, 인천, 대전 등 국내외 4곳의 대상지를 통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기초데이터를 제공하여 친수공간의 문화컨텐츠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항목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 친수공간 주변의 현대적 관광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변경관, 수변광장 및 오픈스페이스, 편의시설, 교통접근성, 수변녹지, 전망공간, 역사적 관광자원, 보행접근성, 수면의 폭, 수질, 수심, 파랑 등의 수면조건, 계류시설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변경관성은 대상지의 공간 구조적 문제라기보다는 도시 규모에 따른 외적 환경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며, 친수공간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해석된다. 수변 녹지경관의 분석에서 국내 대상지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최근 천변공원 등이 친수적 행위를 고려하여 조성된 원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망공간은 수변 쾌적성 체험과 드래곤보트를 비롯한 수상레포츠의 역동성을 입체감 있게 볼 수 있는 주요 인프라로서, 이용효율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관광자원적 요소는 친수공간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가 높은 인자로서, 역사적 자원보다는 현대적 관광자원에 더욱 민감히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젊은 계층들의 쇼핑, 레저 등을 위한 관광인프라가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며, 홍콩과 부산은 주변 관광자원 인프라가 인접해 있는 친수공간 이용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교통 접근성 분석에서, 홍콩과 부산 두 곳 모두 지하철에 의한 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의 영향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전은 교통 인프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장소적 인지도의 영향 탓으로 만족도가 낮게 분석되었다. 홍콩의 보행접근성은 친수공간이 도심으로 연결되어 있고, 부산은 주거단지와 쇼핑센터 등의 이용객들이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의한 결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수면의 폭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에서, 인천을 제외하고는 3곳 모두 수면의 폭이 200m 이상이며, 일정수준 이상의 수면 폭이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집중력을 저해하는 결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수질, 수심, 파랑 등의 수면 조건의 분석에서, 부산은 설문조사시 수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대전 갑천의 경우는 대회 참여자들에 의해 적정수심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Waterfront 주거환경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Waterfront Residental Environment Satisfaction)

  • 김가야;윤상복;김정호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0-296
    • /
    • 2003
  • The waterfront the house it falls to empty, it sprouts and un-waterfront to beggarly more view, showing a high satisfactory degree from elements which of the house environment back is diversified, there is to immigration plan of future and the waterfront the area is high and it was visible the degree which is probably. Also the waterfront against to the development of the area the rate where the development recognizes a necessity will be high, it will be high, it will be pay scheduled one expense from even and the river or the coast the line will choose to the view is visible the answer back own house was many. Here upon the waterfront to development of the which indispensability or development hour (1)sublation of the development which is insensitive, (2)the fixed quantity development which hits to demand and supply, (3)after developing the continuous civil official, (4)the environment friendship development back is indicated with consideration fact.

  • PDF

ISA 분석을 활용한 신천 수변공간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incheon Waterfront using the ISA)

  • 장철규;닝닝;이슬기;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5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하천 수변공간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수변공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대구광역시 신천 수변공간에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환경요소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최종적으로 ISA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운동 목적으로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경우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의 구분'이 중요도가 가장 높고, '자판기, 화장실, 음수대등 편의시설'에 관한 항목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가 및 휴식 목적일 경우 '나무그늘'이 중요도가 가장 높고, '전시회 등의 이벤트 여부'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ISA 분석 결과, 운동 목적과 여가 및 휴식 목적으로 이용할 때 '자판기, 화장실, 음수 등의 편의시설', '수질 및 공간의 깨끗함', '수질관리' 등의 항목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운동 목적에 따른 중점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나무그늘', '벤치, 파고라 등 휴게시설', '자전거 도로 및 산책로의 폭',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의 구분'으로 나타났으며, 여가 및 휴식 목적의 경우 '조명시설'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중점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하천정비 사업을 시행할 경우 효율적인 재원투입 및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워터프론트 환경개선을 위한 WTP 분석 - 부산의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 (WTP Analysi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Waterfront)

  • 김가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197-1206
    • /
    • 2003
  • As growing importance and concern of waterfront, we have tried to study its landscape, accessibility, landuse and so on as well as its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fact we had been under the false thought that it always gaves what we wanted, and it was neglected in its economic value. This paper/looks at one alternative, the non-market value generated by management of waterfront as public resources. We consider the question : how much are people willing to pay to improve, how much are people want to improve\ulcorner The contigent valuation method was implemented during Sep. 9 to 14 in 3 beaches ; haeundae, Gwanganri, Songjeong. They are representative waterfronts which have been widely known and visited. We find out that households are willing to pay about 12,000-16,000 den per year for improving nature elements and inviting more valuable functions about 3 beaches. Especially Ive pay attention to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3 beaches and their substructural factors satisfact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public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and etc.

친수지구의 계절별 수질특성과 친수활동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on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Waterfront Activitiesin Waterfront Areas)

  • 김택호;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2호
    • /
    • pp.134-145
    • /
    • 2023
  • 현재 주요하천의 홍수터는 레저활동의 증가와 접근성 개선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친수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도내의 친수활동은 여름철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이 시기의 친수활동은 수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친수활동이 집중되는 시기의 친수활동의 특성과 수질에 대한 정확한 비교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지구 이용자의 친수활동 현황과 친수지구 수질을 비교분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환경부 수질측정망 정보를 이용하여 조사대상 친수지구 3개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친수지구 이용자를 대상으로 친수활동 만족도 및 유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월별 수질측정 인자를 기준으로 수질등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넷째, 최근 5년간의 수질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친수활동이 높은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의 수질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분석(일원배치 분산분석)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친수활동 이용도는 캠핑, 수상스키, 낚시, 수영, 래프팅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친수활동 만족요소는 활동편이성, 수질, 수변경관, 교통접근 편의성, 기온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친수지구 수질만족도는 관할기관에서 제시되는 수질등급과는 상관없이 대체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부 수질측정망 데이터를 수질등급으로 비교결과 대체로 양호한 등급이 나타났고 특히 BOD항목 등은 계절별로 등급 빈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질관측망 자료를 계절별로 통계분석(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DO를 제외한 COD, BOD, TP, TOC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친수지구내의 수질개선에 대한 종합적 관리체계 마련과 친수활동이 높은 시기에 대해서는 수질개선 노력이 더 필요하며 향후 에는 친수지구의 수질예보 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 수변공간 방문객의 이용행태와 사업평가 분석 (Project Evaluation and Usage Behaviors on Visitors of Waterfront in Youngsan River)

  • 이정록;장문현;유선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7-261
    • /
    • 2013
  • '영산강살리기사업'은 하천의 원래 모습을 되살리고 새로운 수변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4대강살리기사업의 일환인 이 사업은 2009년 시작되었다. 2011년 10월 승촌보와 죽산보가 완공되었고, 하천양안에는 자전거 도로를 비롯하여 70개소의 수변공원이 조성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살리기사업으로 조성된 수변공간과 자전거 도로를 이용하는 방문객의 이용행태와 만족도, 영산강살리기사업에 대한 평가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문객들은 산책, 자전거 타기 등과 관련한 여가 레저 활동을 목적으로 수변공간을 주로 이용하였고, 수변공간과 자전거 도로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다. 영산강살리기사업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이었다. 그렇지만 수변공간 내의 편의시설 부족과 안내시설 개선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 PDF

Waterfront 지역의 주거환경 평가 (The Estimation of the Waterfront Residential Environment)

  • 김가야;윤상복;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9-139
    • /
    • 2005
  • The waterfront$(W{\cdot}F)$ region can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sources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region. The research aims to find the essential factors to read the region fitted to the best residential environment, figuring out the estimation of being satisfied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survey it could be revealed that what kind of value the region can have and what kinds of factors have to be emphasized on the region development. As a result the Waterfront residential region has more satisfying like sight views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than the non-waterfront residential region, showing high quality of perceiving the future moving plan. Some positive opinions could be found in insisting to develop the waterfront region, but it should be kept continually to prevent senseless developments, to develop the region fitting the demand to the provision, to manage the region continually since, and to observe some conservation criteria in developing the region.

워터프론트 환경개선을 위한 WTP 분석 (WTP Analysi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Waterfront)

  • 김가야;김정호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4-289
    • /
    • 2003
  • As growing importance and concern of waterfront, we have tried to study its landscape, accessibility, landuse and so on as well as its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fact we had been under the false thought that it always what we wanted, and it was neglected in its economic value. This paper/ looks at on alternative, the non-market value generated by management of waterfront as public resource. We consider the question : how much are people willing to pay to improve, how much are people want to improve? The contigent valuation method was implemented during Sep. 9 to 14 in 3 beaches ; haeundae, Gwanganri, Songjeong. They are representative waterfronts which have been widely known and visited. We find out that households are willing to pay about $12,000{\sim}16,000$ won per year for improving nature elements and inviting more valuable functions about 3 beaches. Especially we pay attention to defference between cognitive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3 beaches and their substructural factors satisfact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public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and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