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pen poin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수침대 그물전극형 방전장치의 이온풍 발생특성 (Ionic Wind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a Water-Pen Point-to-Mesh Type Discharge System)

  • 정재승;문재덕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8권4호
    • /
    • pp.783-787
    • /
    • 2009
  • A point-to-mesh type discharge system, utilizing a water-pen point as a corona discharge electrode and a mesh as an ion induction electrode, has been proposed, and the effect of the water-pen point electrode of the discharge system to the ionic wind velocity and generation yield was investig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proposed discharge system with the water-pen point electrode can generate a higher ionic wind velocit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metal point electrode. As a result, the peak ionic wind velocities of 2.61 and 4.05 m/s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corona discharges of the proposed discharge system can be obtained, which are 1.39 and 1.15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metal point electrode with same design. The ionic wind generation yield of 4.72 m/s/W of the discharge system with the water-pen point electrode was obtained for the positive corona, which was 3.6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metal point electrode. This enhancement may be due to the effect of the water-pen point electrode.

수성(水性)펜침방전(針放電)의 전기화학적(電氣化學的) 특성(特性)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Water-Pen Point Discharge in Atmosphere)

  • 이대희;김진규;문재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378-1381
    • /
    • 1995
  • Some interesting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pen point-to-plate airgaps for dc and ac powers have been investigated at room atmosphere in a metal chamber. It is found that the ac discharge on the Pt point generated much ozone, while the negative do discharge on the waterpen point generated the highest ozone. And, the ac discharges of the waterpen point and the Pt point produced a little $NO_x$. But the dc discharge of the Pt point and waterpen point did not generated $NO_x$ anyway. As a result, it could be said that the water on the pen point acts something to generate ozone and $NO_x$ in room atmosphere.

  • PDF

콩을 이용한 치-즈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a Cheese-like product from Soybean Milk)

  • 김창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3
    • /
    • 1971
  • 1. 5섯가지 젖산균을 대두유에 접종배양 하여 산 생성도를 비교 하였드니 Str. thermophilus 와 Str. diacetilactis가 Str. lactis, Str. cremoris 및 L. bulgaricus보다 높았다. 2. 대두유와 탈지 분유를 7 : 3의 비로 혼합하여 젖산균 발효를 하였을 때에 침전물의 수획량이 가장 많고 또한 그의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으며 수분의 량이 적고 견고한 curd를 만들수 있음을 알았다. 3. 대두유와 탈지분유를 7 : 3의 비로 혼합한 것에 젖산균 starter로 Str. thermophilus를 첨가하고 Pen. caseicolum을 접종하여 제조한 치-즈를 3주간 숙성$(15^{\circ}C,\;RH:\;85{\sim}90%)$ 하였드니 숙성 7일째부터 Pen. caseicolum의 생육이 왕성하게 되며 pH가 상승함과 동시에 proteolytic activity는 14일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또 total water soluble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및 amino-N도 숙성 7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숙성 21일째는 이들의 값이 각각 total nitrogen의 52%, 32% 및 14%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차원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3주간 숙성한 치-즈에서 17종의 아미노산을 검출 하였다. 또 3주간 숙성한 후 제품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63.2%, 조단백질 17.5%, 조지방 13.2%, 조회분 2.8% 및 식염 2.5%였다.

  • PDF

금호강, 남강 중권역 지류·지천의 상세오염 현황 및 오염기여율 조사 (Analysis of Specific Contaminated Status and Pollutant Loads Contribution Rate of the Tributaries in Gumho and Nam River Basin)

  • 나승민;권헌각;김경훈;신동석;임태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3-377
    • /
    • 2016
  •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오염도가 높은 금호강 및 남강 중권역의 지천들 가운데 수질측정망과 일정한 거리에 있고 오염도가 높은 지천들을 선정하여 각 지점의 오염부하량, 오염특성, 중점관리지천별 세부 유입되는 지천의 오염현황 및 중점 지류가 낙동강 본류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호강 및 남강의 대부분의 수질항목별 오염도는 유사하였으나, TN, Chl-a 및 SS는 금호강이 남강에 비해 약 20~120% 이상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오염발생부하율(kg/day) 및 발생밀도($kg/day/km^2$)는 유량과 하천유하면적에 따라 하천 오염도 순위가 달랐으며, 이러한 영향은 남강에서 더 크게 차이가 발생하였다. 금호강 및 남강의 상세오염조사는 하천의 유로길이, 합류되는 소하천의 개수와 형태에 따라 상세지점을 2개에서 최대 9개까지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달서천과 의령천의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달서천과 의령천의 본류오염 기여율이 약 10% 내외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공단, 생활거주지역 형태 및 크기, 농경지 경작 유 무 및 축사 존재 유 무에 따라 오염도 및 상 하류 오염형태가 다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밀양(密陽) 퇴노리(退老里) 서고정사(西皐精舍)와 삼은정(三隱亭) 별서(別墅)의 조영(造營) 특성(特性)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go-jeongsa & Sameun-jeong Byeolseo Gardens in Toerori Miryang)

  • 이현우;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0-83
    • /
    • 2013
  • 한국전통정원으로서 별서의 지평을 넓히고자, 경남 밀양 퇴로리에 소재한 여주이씨의 서고정사와 삼은정의 조영 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종택을 중심으로 서고정사는 약 340m, 삼은정은 약 630m 가량 이격되어 있으나, 모두 1km 권역권내에 포치되어 있음으로써, 종택과의 일체감은 유지하면서도 은일을 실현하고자 했던 조영자의 작정의도가 여실히 읽혀진다. 항재(恒齋)와 용재(庸齋)라는 조영자의 아호를 당호로 삼은 서고정사 항재와 삼은정 용재 그리고 한서암은 서로 다른 좌향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원의 중심이자 핵심시설인 지당(池塘)으로의 시선 유도와 적극적인 완상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공간구성이라는 측면에서 동질적이다. 서고정사의 활수당과 삼은정의 삼은지의 지당 연출기법은 공히 매우 특징적이다. 특히 배후로부터 전면을 향한 3단 구성의 단계적인 물의 연출과 전개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 구성은 기존 별서에서는 찾기 힘든 양식으로 양 별서의 동질적인 요소로 귀결된다. 또한 활수당과 삼은지의 중도(中島)는 식재를 위한 공간이라기보다는 석가산(石假山)을 추구한 다분히 관념성과 상징성이 두드러진 조형 특징으로 파악된다. 이는 서고정사의 과육천 배면에 형상화한 3개의 석가산과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더욱 흥미로운 연출이다. 한편,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자체의 완상뿐만 아니라, 특별한 시각구성의 연출을 목표로 외래수종을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별서와는 차별화된 특성을 보인다. 특히 삼은정에 화백 편백 백송 대왕송 금송 메타세쿼이아 그리고 히말라야시다 등의 교목성 침엽수종을 비중 있게 도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특징으로, 서고정사 또한 풍치용으로 식재된 비자나무 주목 섬잣 나무 등의 자생 침엽수와 백송 삼나무 편백 등의 외래 조경수는 조선 말기라는 전환기적 시기의 식재 양상으로 판단된다. 한편, 양 별서에 설정된 집경(集景)인 '서고잡영17영'과 '삼은정12경'에서도 알 수 있듯, 일곽 밖의 경외로까지 정원영역을 확장 해석하고자한 발상 등에서는 원림적 풍취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이 발견된다. 이 같은 특성을 종합할 때 밀양 퇴로리 소재 서고정사와 삼은정은 입지와 공간 및 시각구성 등에 있어서는 조선조 별서의 유풍은 공유하지만, 수공간과 석가산의 조성 및 조경식물의 활용 측면에서는 매우 독특한 양상을 띄는 정원유적으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