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2-butanol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5초

갯메꽃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암전이 억제 효과 (Anti-invasion Effects of Calystegia soldanella Solvent Extracts and Partitioned Fractions on PMA-stimulated Fibrosarcoma Cells)

  • 손재민;김준세;김호준;서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7-294
    • /
    • 2019
  • 갯메꽃은 해안 사구에 분포하며 식물로 높은 환경 적응력을 가지고 있으며 갯메꽃은 항산화, 해열, 살균,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일종인 MMP-2와 MMP-9의 활성에 대한 갯메꽃의 억제효과를 methylene chloride (MC) 및 methanol (MeOH) 추출물과 조추출물, 유기용매 분획물을 시료로 하여 인체 섬유육종 HT-1080 세포를 이용하여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gelatin zymography, Wound healing assay, RT-PCR,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갯메꽃의 MC 및 MeOH 추출물, 조추출물과 4가지 유기용매 분획물이 HT-1080 세포에서 MMP-2와 MMP-9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n-hexane, 85% aq.MeOH 분획물이 전반적으로 MMP-2와 MMP-9에 대한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85% aq.MeOH과 n-hexane 분획물에 MMP 억제 활성이 높은 물질이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어지며, 갯메꽃 추출물 및 분획물이 암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항암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팀은 85% aq.MeOH과 n-hexane 분획물에 있는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수산폐기물인 미더덕껍질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 from Styela clava Tunic, Fishery Waste)

  • 이상미;이예람;조광식;박수연;장은영;황대연;정영진;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17-925
    • /
    • 2015
  • Styela clava tunic is generated in large amounts as a waste from S. clava processing plants and leads to environmental problems. It destroys the beach scenery and causes a bad smell and pollution by trashing on the seashore.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S. clava tunic for recycling of fishery wast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all extracts were concentration-dependent. Of extracts, hot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lowest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value (0.733 mg/ml). Chloroform extract exhibited the highest metal chelation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2.696 mg/ml). Autoclaved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0.491 mg/ml) and n-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A_{700}=1.897$ at 100 mg/ml). And n-but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SOD-like activity with the lowest $EC_{50}$ value (19.116 mg/ml) and ACE inhibition activity with the lowest inhibitory concentration($IC_{50}$) value (0.149 m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s obtained from S. clava tunic may potential candidate to reduce diseases caused by various oxidative stresses and hypertension.

오디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 김은경;장윤혁;고재윤;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82-16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오디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7일째의 알코올 함량은 오디 막걸리(17.1%)와 대조군(17.0%)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발효 1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며 발효 7일째 각각 4.48 및 4.51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총산은 두 시료 모두 발효 1일째에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였다.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오디막걸리의 발효 7일째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오디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glucose는 모든 막걸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가 진행하면서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succinic acid가 오디 막걸리와 대조군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 오디막걸리와 대조군에서 검출된 47종의 휘발성 화합물 중 가장 많이 동정된 성분은 3-methyl-1-butanol이었다.

갈화(葛花)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39-1144
    • /
    • 2009
  • 본 연구는 갈화를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갈화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갈화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69.2%, 조단백질 19.9%, 조지방 2.2% 및 조회분 8.9%이었고 갈화 100 g의 함유 열량은 340.4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85.1%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2.0%, 46.7%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0 g, 6.7 g이었고, 무기질 중 칼슘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마그네슘, 인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5.37%, 단일불포화지방산 33.6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5.68%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17.3, 134.5, 116.7, 109.9, 129.8, 473.5 ${\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료전지용(燃料電池用) 막전극접합체(膜電極接合體)의 막분리(膜分離) 및 염산(鹽酸)에 의한 백금(白金)과 루테늄의 침출(浸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Membrane and Leaching of Platinum and Ruthenium by Hydrochloric Acid from MEA of Fuel Cell)

  • 이진아;강홍윤;유호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3호
    • /
    • pp.15-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에서 막분리 및 염산침출법을 이용하여 백금과 루테늄을 침출하는 연구를 하였다. 증류수, 10 vol.% 부탄올 용액, 15 vol.% 양이온 계면활성제(Koremul-LN-7)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막전극접합체의 전해질막과 확산층을 침지법으로 촉매입자의 분산 없이 분리하였다. 그리고 질산 또는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하고 사용하는 염산에 의해 분리된 가스확산층의 촉매에 함유된 백금과 루테늄 금속을 침출하는 연구를 하였다. 과산화수소를 산화제로 사용하였을 때 백금과 루테늄의 침출율이 더 높았으며 최적 조건은 $90^{\circ}C$에서 염산 농도 8 M, 과산화수소 첨가량 5 M, 침출시간 6시간이었다. 이 조건에서 백금의 침출률은 98%, 루테늄의 침출율은 71.5%였다.

Chemical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el of Yellowball, a novel citrus variety

  • Sun Lee;Seong-Ho Jo;Ji-Hyun An;Seong-man Jeong;Dong-Shin Kim;Sang Suk Kim;Suk Man Park;Su Hyun Yun;Seung-Gab Han;Hyun-Jin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5-246
    • /
    • 2023
  • Yellowball (Citrus hybrid cv. Yellowball ) is a new citrus hybrid between Haruka (C. tamurana × natsudaidai ) and Kiyomi (C. unshiu × sinensis) and is known to posses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detailed information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its peel has not yet been reported.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eel and identified the antioxidant components by fractionating a methanolic extract of Yellowball peels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with n-hexane, ethyl ether (ether), ethyl acetate (EA), butanol, and water. The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n-hexane, ether, and EA frac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fractions, and these fractions were further separated by semi-preparativ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our antioxidant peaks, EA1, EA2, EA3, and He1, were isolated and analyzed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 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 MS). Sinapoyl glucoside and hesperidin were identified in EA2 and EA3, respectively, and a polymethoxylated flavone (PMF) complex (5-hydroxy-3,6,7,8,3',4'-hexamethoxyflavone, natsudaidain, tetrameth- oxyflavone, and tangeretin) was identified in He1. A compound in EA1 with m/z 223.0246 [M-H] could not be identified and was named unknown2. The antioxidant activity of unknown2 (IC50=69.17 ㎍/mL) was similar to that of Trolox, which was noted as a major antioxidant in Yellowball peel. Further studies 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Yellowball peel are required; however, these results provide a foundation for using Yellowball peel as an antioxidant.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의 산화방지 활성, 활성산소종 생성과 세포독성 조절작용 (Antioxidant activities,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 properties of fractions from aerial par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 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74-5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를 70%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에 대해 용매분획하여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 5분획의 산화방지 효과, ROS 생성효과, 세포독성 효과 및 관련 기작에 대한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이 중 Fr.EA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r.B가 이어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Fr.EA는 DPPH와 ABTS 라디칼 및 아질산이온의 소거에 있어서도 다른 분획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질산이온의 소거에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리놀레산 지질과산화 시스템에서는 Fr.EA와 Fr.B가 강한 산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라디칼 소거능은 물론 $Fe^{2+}$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가 지방질산화에 대한 억제기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r.EA 및 Fr.E가 HCT-116 대장암 세포 및 INT-407 정상장관계 세포에 대해 높은 세포독성을 유발하였으며, 특히 Fr.EA는 HCT-116 대장암 세포에 대해 정상 장관계세포보다 유의적으로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들은 세포 내에서는 ROS를 감소시키는 산화방지효과를 나타낸 반면 배양액 중에서는 $H_2O_2$를 생성하는 산화촉진 효과도 나타내었으며, Fr.EA와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및 N-acetylcysteine 을 같이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지상부 분획의 산화방지 및 산화촉진 효과와 세포독성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향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소재로서의 퉁퉁마디의 이용성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산 콩의 품종별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obtained from Korean Soybean Varieties)

  • 윤태헌;임경자;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5-382
    • /
    • 1984
  • 한국산 콩의 8품종에 대하여 유기 용매로 총지방질, 유리 지방질 및 결합 지방질의 분획을 얻은 다음 각 분획의 지방질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한국산 콩의 정제 전 총지방질, 유리 지방질 및 결합 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각각 21%, 18% 그리고 3 %였다. 이상 8품종의 콩에서는 모든 분획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는 10 : 0, 12 : 0, 14 : 0, 16 : 1, 17 : 0, 20 : 0, 22 : 0 등 7 종의 지방산들을 더 검출하였다. 모든 지방질 분획에서 18 : 2의 상대적 함량은 50.1 - 59.7%로서 가장 높았는데 총지방질 및 유리 지방질에서 국내 선발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총지방질과 유리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지방산 중 18 : 1 의 상대적 함량은 결합 지방질의 그것에 비하여 배 이상 높았고 반면에 16 : 0과 14 : 0의 상대적 함량은 각각 결합 지방질의 그것의 60%, 66% 수준에 머물렀다. 한편, 18 : 3 의 상대적 함량은 총지방질 및 유리 지방질에서는 평균 9.0%, 결합 지방질에서는 이보다 다소 낮은 7.3%였는데 총지방질에서의 광교 품종이 11.1%로 가장 높았고 결합 지방질에서의 은대두 품종이 6.0%로 가장 낮았다. 기타의 지방산들은 지방질 분획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총지방질 및 유리 지방질에서 18 : 1 의 상대적 함량(16.5-28.0, 18.6-28.6%)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18 : 1 의 상대적 함량이 높은 품종에서는 18 : 2 와 18 : 3 의 상대적 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어성초의 항혈전,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tidiabet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 이윤진;강덕경;김종식;이만효;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49
    • /
    • 2023
  •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s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 줄기 및 뿌리의 전초를 약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혈행개선,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 치료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 및 암세포 성장억제, 간손상 및 신경세포 사멸 억제, 카드뮴 독성 감소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항혈전, 항당뇨, 항산화 및 적혈구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어성초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기 분획물은 5 mg/ml 농도에서 용매 대조구보다 2.09배, 2.19배 및 1.69배 연장된 TT, PT, aPTT를 보여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DPPH, ABTS 및 nitrite radical에 대해 각각 30.9, 19.9 및 49.6 ㎍/ml의 RC50을 보여, 9.8, 5.2 및 11,8 ㎍/ml의 RC50를 나타낸 vitamin C의 항산화력에 비교되었다. 트롬빈 저해활성이 강력한 헥센 분획물이 강력한 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는 바와 달리,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 mg/ml 농도까지 전혀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어성초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로, 어성초의 quercitirin, hyperoside, orientin 및 isoquercitrin이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에 관련되어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항혈전 식품소재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택란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효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Cytotoxic Effects, and Flavonoid Content of Fractions from Leaves of Lycopus lucidus Turcz.)

  • 나은;이정우;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택란 잎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택란 잎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택란 잎 분획물에 의한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택란 잎 85% MeOH 및 n-BuOH분획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1.5{\pm}0.00mg/g$$77.2{\pm}0.01mg/g$으로 n-BuOH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DPPH assay에서 택란 잎 n-BuOH 분획물의 활성산소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85% MeOH 분획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높았다(p<0.05).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9.76 mg/ml, 85% MeOH 0.50 mg/ml, n-BuOH 0.03 mg/ml 및 water 0.78 mg/ml로 나타났다. 또한 택란 잎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에 의한 ABTs+소거활성은 각각 89.3% 및 92.1%이었으며 대조군인BHT와 L-ascorbic acid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p<0.05). ABTs+ assay에서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0.96 mg/ml, 85% MeOH 0.16 mg/ml, n-BuOH 0.01 mg/ml 및 water 0.31 mg/ml로 나타났다.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은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 특히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가장 높았다. AGS 암세포에 대한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18, 0.03, 0.62 및 0.12 mg/ml이었고 HT-29 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26, 0.16, 0.60 및 1.14 mg/ml이었다. HT-1080 암세포에서 택란 잎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34, 0.14, 0.48, 및 1.05 mg/m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택란 잎 n-BuOH 분획물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에 효과적이었고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은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향후 택란 잎을 이용한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