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2-butanol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7초

울금으로부터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UlGeum (Curcuma longa L.))

  • 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02-1209
    • /
    • 2009
  • 울금 분말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여러 용매로 분획하여 식품부패미생물의 증식억제 효과를 검색하고 그 항균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울금의 ethyl acetate 분획 추출물은 낮은 농도인 1,000 ${\mu}g$/disc의 농도에서 B. subtilis, S. aureus, L. monocytogenes, E. coli,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8.5 $\sim$13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울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로 monitoring 하여 항균성을 실험하였다. 이 결과 우수한 항균성을 보인 sub fraction을 재차 분리하여 yellow oil의 항균성물질을 얻었고 이를 GC/MS, $^1H$-NMR로 구조 분석한 결과 화학식이 $C_8H_8O$이며 분자량이 120.154의 2,3-dihydrobenzofuran(coumaran)으로 동정 되었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 김용현;백종윤;권현정;이재우;윤옥현;한만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67-376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The S. baicalensis was successively extracted with 5 kinds of solvents. The obtained samples were as follows; hexan fraction (IPK-1), chloroform fraction(IPK-2), ethyl acetate fraction(IPK-3), butanol fraction(IPK-4), and water fraction(IPK-5). These extracts were determined to process antibacterial effects using a paper disc method against 18 species of human pathogenic bacteria, antioxidant activit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method and inhibiting ability of linoleic acid autoxidation. Extracts of S. baicalensis has shown selective antibacterial effects on various strains of bacteria. Ethyl acetate fraction(IPK-3)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lective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285, S. aureus 503. In antioxidant activity test,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y of IPK-3 fraction was 92% compared with BHA at the same concentration, while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was 48%. These results suggest that IPK-3 fraction of S. baicalensis could be suitable in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gents.

TOSC 방법을 이용한 참당귀 뿌리 용매분획(Angelica gigas)의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of Angelica gigas Root Using TOSC Assay)

  • 이숙영;서영배;우원홍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1-150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Angelica gigas root. Methods: The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s root was suspended in water and then partitioned with dichloromethane (MC Fr.), ethyl acetate (EA Fr.) and butanol (BuOH Fr.), sequential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Angelica gigas root were evaluated fo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stable free radical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hydrogen peroxide and superoxide anion radical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Angelica gigas root against peroxyl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peroxynitrites were determined by the total oxy-radical scavenging capacity (TOSC) assay. Results: Among the solvent fractions of MC Fr., EA Fr., and BuOH Fr., BuOH Fr. was found to have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59.72, 14.36, 30.96 and $44.75\;{\mu}g/m{\ell}$ on the DPPH radical, nitrite,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respectively, than BHA used as a positive control. Moreover, specific TOSC values(564.8, 276.4 and 405.5 TOSC/mM) of BuOH fr. against peroxyl radicals, hydroxyl radical and peroxynitrite were 4 times higher than GSH (136.5, 67.4 102.6 TOSC/mM) used as a positive contro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uOH fr. of Angelica gigas root has a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can be useful to develop functional food against oxidative stress conditions.

Protective Effects of the BuOH Fraction from Laminaria japonica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Park, Min-Jung;Song, Young-Sun;Han, Ji-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94-9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butanol (BuOH) fraction from Laminaria japonica (BFLJ) extract o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Freeze-dried L japonica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 extracted solution was mixed with ethanol then centrifuged. The supernatant was subjected to sequential fractionation with various solvents. The BuOH fraction was used in this study because it possess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BFLJ,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by exposing of HUVECs to the high glucose (30 mM) or normal glucose (5.5 mM) for 48 hr. Cell viability, lipid peroxidation, glutathione (GSH)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such as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glutathion reductase (GSH-re) were measured. Exposure of HUVECs to high glucose for 48 hr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cell viability, SOD, GSH-px and GSH-re and a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rmation in comparison to the cells treated with 5.5 mM glucose or untreated with glucose. BFLJ treatment decreased TBARS formation and increased cell viability, GSH concentration,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catalase, SOD, GSH-px, and GSH-re in high glucose pretreated HUVE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FLJ may be able to protect HUVECs from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partially through the antioxidative defence systems.

단백질 glycation 저해효과가 있는 식품소재 (Anti-glycation Activities from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 최희돈;최인욱;김윤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8-463
    • /
    • 2007
  • 식품소재의 단백질 glycation 저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곡류, 채소류 및 생약재 등 83종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단백질 가교결합 저해효과를 $[^{14}C]$-N-formyl-lysine incorporation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나 일부 추출물은 단백질의 가교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낸 시료 중 20개를 선별하여 형광광도법을 이용한 AGE형성 억제능을 조사한 결과, 1일 발아한 메밀의 추출물 (GB-l)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GB-0l은 콜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분획되었으며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단백질 glycation 저해활성(95.2% inhibitory activity at 100 ug/mL addi- tion level)을 보였다. HPLC를 이용한 폴리페놀 분석결과 발아 및 추출, 분획과정을 거친 메밀의 아세테이트 분획은 rutin 및 quercetin 함량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서 부분정제물의 rutin 및 quercetin 함량과 저해활성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추출물의 in vitro계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needle extracts)

  •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13-217
    • /
    • 1998
  •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잎의 에탄올 추출물들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폐암, 간암, 위암, 유방암 세포에 대한 성장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 주였고 각각의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 또한 농도 증가에 따라 성장 억제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0.25 mg/mL 처리시 각각의 비교 결과 잣나무의 디에틸에테르 분획물은 위암세포에 대해서는 억제효과가 보여지지 않았다. 현미경의 관찰하에서 암세포의 변화는 세포막의 경계가 흐트러지는 사멸 현상을 보였다.

  • PDF

미선나무의 추출조건 확립 및 효능평가를 통한 기능성 탐색 (Screening of Functional Compound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or Optimize Extraction Condition and Efficacy Evaluation)

  • 조석철;김명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1-67
    • /
    • 2017
  • 미선나무 잎과 줄기 중 유효성분의 최적 추출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물과 에탄올 혼합물(0, 20, 40, 60, 80, 100% ethanol(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환류냉각, 초음파 및 침지법을 적용하여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80% 에탄올로 2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미선나무 줄기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침지 추출 시 71.3%로 가장 높았다. 미선나무 잎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용매별로 분획하여 측정한 결과 용매별로 다른 값을 나타내었으며 부탄올 층에서 10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미선나무의 잎과 줄기를 생리활성을 보유한 천연물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treptomyces sp. YBE-316이 생산하는 항암성 항생물질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ntitumor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YBE-316)

  • 박재홍;함병권;배동훈;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9-336
    • /
    • 1995
  •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tumor antibiotics produced by microorganisms, Streptomyces sp. YBE-316 was isolated from soil. The productivity of the antitumor antibiotic from Streptomyces sp. YBE-316 gradually increased after 60 hours, and was maximum after 100 hours after inoculation in growth medium (2.0% sucrose, 1.0% soybean meal, 0.1% K$_{2}$HPO$_{4}$, pH 7.0) at 30$\circ$C, 150 rpm, 5 NL/min by 30 l jar fermentor. This antitumor antibiotic was present only in mycelium, and stable in pH 5.0-10.0 for 20 minutes at 100$\circ$C. Antitumor and antibiotic activities were maintained at neutral pH, and heat stability was low. This antitumor antibiotic was soluble in methanol and ethanol, and insoluble in water,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n-hexane. This antitumor antibiotic was sequentially purified by acetone extraction from mycelium, butanol extraction,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titumor activity was low against most tested cell lines, but antibiotic activity was high and low against yeasts and bacteria, respectivelv. The visualization test showed that this antitumor antibiotic had higher hydroxyl, ketone, amino, carboxyl groups, and sugar(s) in its structure. Instrumental analyses showed that this antitumor antibiotic was a pentaene in polyene class antibiotics. In pentaene class antibiotics, this was considered as an eurocidin or capacidin type antibiotics.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antitumor antibiotic was higher than 683.0 daltons, and this antitumor antibiotic might be glycosylated by other sugar(s), instead of mycosamine or perosamine, an amino sugar.

  • PDF

국내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검색과 용매 분획물의 비교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 임대관;최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89
    • /
    • 1996
  • 116종의 생약을 75% 에탄올로 추출한 후 팜유와 돈지를 기질로 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추출물들이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는데 그중에서도 건강, 강황, 방기, 백작약, 석곡, 소목, 편축, 현호색, 황금 등의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생약 추출물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들의 팜유에 대한 항산화력은 소목>강황>건강 순이었고, 돈지에 대해서는 소목>백작약>석곡>건강 순이었으며, 소목 추출물 1,000 ppm 첨가구의 팜유와 돈지에 대한 AI는 각각 2.16, 7.85 였다. 항산화력이 비교적 높았던 생약류의 에탄올 추출물들은 순차분획을 함에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증가되었는데, 팜유에 대한 생약류의 chloroform 및 ethyl acetate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소목>백작약>건강>산수유>석곡 순이었고, 돈지에 대해서는 소목>백작약>석곡>산수유>건강>강황 순이었다. 이들 추출물 중에서 소목 75% 에탄올 ethyl acetate 분획물 600 ppm 첨가구는 팜유의 유도기간을 2배 이상 증가시켰고, 돈지의 유도기간도 7배 이상 연장시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는데,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는 계속 수행중에 있다.

  • PDF

보라우무 (Symphyocladia latiuscula)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The Antioxidant Activity in Extracts of Symphyocladia latiuscula)

  • 박혜진;정해영;최재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27-932
    • /
    • 1998
  • 일본, 따렌 등에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 동해안, 서해안, 남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조류로서, 조간대의 바위위에서 서식하는 빨강 검둥이과 홍조류인 보라우무 (Symphyocladia latiuscula)를 대상으로 하여 안정한 free radical인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를 사용하여 그 소거능을 측정하고, 또한 생체내의 과산화지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과산화지질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를 thiobarbituric acid(TBA)로 비색정량하는 방법과 Hepatocyte에 의해 생성되는 free radical 생성량 측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검색에서 강력한 radical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각 용매 분획별로 항산화활성을 살펴본 결과 수층을 제외한 모든 분획들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dichloromethane과 hexane 가용성 분획의 항산화활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dichloromethane 가용성 분획의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ascorbic acid의 항산화활성과 비교하여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ee radical 생성 억제 효과에서도 dichloromethane 가용성 분획의 경우 control과 비교하여 0.1 mg/ml에서 $5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