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olvent

검색결과 2,078건 처리시간 0.048초

All-trans retinoic acid 투여가 간흡충 감염 햄스터의 담관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l-trans retinoic acid on the cholangiocarcinogenesis in Hamsters 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 김학엽;서일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1-159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all-trans retinoic acid(RA) on the development of cholangiocarcinoma in hamsters. Eighty six female Syrian golden hamst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I was for the induction of the cholangiocarcinoma, which was infected orally with C sinensis and given dimethylnitrosamine(DMN, 15ppm) in drinking water for 4 weeks. Group II was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all-trans RA treatment on the cholangiocarcinogenesis, which was treated the same as group I and orally given RA(1mg/kg, 5 times per week) for 15 weeks. Group III was given only RA hr 15 weeks. Control group IV was given only soybean oil which was solvent for RA treatment. More than 5 heads of hamsters in each group were sacrificed at 4, 7, 11 and 15 weeks after the begining of the experiment. The livers were examined grossly, histopath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Death of animals started from the 11 weeks after the begining of the experiment. One of the total 22 animals(5%) and 7 of the total 24 animals(29%) died in group I and group II, respectively. 2. Proliferation of oval cell was peaked at 11 weeks in group I and at 7 weeks in group II,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 those periods of the time. 3. Cholangiocarcinomas were found in 1 of 6 animals(17%) at 11 weeks and in 4 of 6 animals(67%) at 15 weeks in group I, respectively. But in group II, the cholangiocarcinomas occured in 1 of 5 animals(20%) at 7 weeks, in 7 of 12 animals(58%) at 11 weeks and in 2 of the rest animals(100%) at 15 weeks, respectively. 4. Expression of $\alpha$-fetoprotein(AFP) of the oval cells in the group II showed the same degree of positive reaction at that of group I at 4 weeks. But AFP postive oval cells decreased gradually and AFP negative oval cells(ductlike oval cells) increased gradually. 5. Expression of cytokeratin of the oval cells in group II was shown slightly at 4 weeks and the degree of expression increased moderately from the 7 weeks. But the expression of the oval cells in group I was shown slightly after the 7 week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l-trans RA promoted the occurrence and the rate of cholangiocarcinoma by inducing differentiation of small cells and oval cells in the liver of hamsters infected with C sinensis and treated with DMN.

  • PDF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 VIII)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수피의 추출성분의 분리 및 항산화 활성-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VIII) -Iso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Maackia amurensis-)

  • 김우진;이학주;이상극;강하영;최돈하;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5-144
    • /
    • 2007
  • 다릅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95% 에탄올로 추출하고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동결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 가용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Sephadex LH-20과 silica gel 6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COSY, NOESY, HMQC, HMBC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구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기기분석 결과, 7-O-$\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so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4', 6-dimethoxyisoflavo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단리 물질의 항산화 활성은 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ol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BHT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쌀보리의 전분지방질에 관한 연구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tarch-Lipid in Naked Barley)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5-520
    • /
    • 1989
  • 쌀보리 전분에서 유리 및 결합지방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중성 당 인지방질 등으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지방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방질들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유리지방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방질의 함량이 각각 69.9%, 27.3%, 2.8%였고, 결합지방질에서는 $34.9{\sim}54.6%,\;30.0{\sim}45.5%,\;15.4{\sim}19.6%$였다. 중성지방질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트리글리세리드$(70.4{\sim}82.4%)$이었고 이외 유리지방산$(8.4{\sim}26.2%)$ 그리고 소량의 esterified sterol과 free st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지방질에서는 $87{\sim}91%$의 monogalactosyl-diglycerides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그외 소량의 digalactosyl-diglycerides $(0.8{\sim}4.2%)$, corebrosides$(1.8{\sim}4.4%)$, steryl glycosides$(3.1{\sim}5.9%)$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인지방질 성분에서는 유리, 결합지방질 모두 lysophosphatidyl choline $(26.8{\sim}30.8%)$과 diphosphatidyl glycerols $(33.6{\sim}40.4%)$의 함량이 많았으며, 그외 $12.1{\sim}21.2%$의 phosphatidyl choline & phosphatidyl serine, $7.1{\sim}9.9%$의 phosphatidyl glycerol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 지방산은 팔미트산$(15.2{\sim}47.3%)$, 리놀레산$(23.0{\sim}68.3%)$였으며 당지방질에서도 대부분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팔미트산$(22.7{\sim}39.8%)$과 리놀레산$(30.2{\sim}63.1%)$이었다. 특히 당지방질의 유리지방질에서는 결합지방질에 비해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인지방질의 지방산 조성도 함량면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마이야르 반응물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Hydrolyzed Wheat Gluten)

  • 김윤숙;문지혜;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2-130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단백 가수분해물(HVP)인 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과 환원당(glucose, fructose, ribose)을 기본 원료로 하여 여러가지 반응온도, 반응시간, pH, 반응용매 등 다양한 반응조건 model system 하에서 MRP를 제조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특성, 관능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meat flavor에 근접하는 적절한 반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반응온도와 압력, 시간 등 반응조건이 높아짐에 따라 갈변도와 항산화 활성효과는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고려하여 관능적 특성이 meat-like flavor에 근접하는 적당한 기질로 ribose/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로 조합된 MRP를 선정하였다. R/HWG의 고기향 발현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반응시간을 세분화한 결과 mild한 고기 냄새와 달콤한 향을 가져 높은 기호성을 나타낸 최적의 반응조건으로 oil-bath에서 140$^{\circ}C$, 30분의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였다. 선정된 기질과 반응온도를 고정해두고 반응액의 pH가 변화됨에 따른반응 생성물의 반응성과 향미변화를 관찰하였는데 pH가 높아질수록 갈변도와 항산화 효과 모두 증가하나 pH 11에서 탄내 등을 나타내 관능적 평가가 낮아져 pH 9로 조정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풍미가 상당히 개선되었다. 이에 대하여 반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응용매로 증류수, 50% ethanol, 50% glycerol의 반응용매를 사용한 결과 증류수보다는 50% ethanol, 50% glycerol로 반응 시 DPPH radical 소거율과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이 더높았으며 50% glycerol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관능평가에서 50% ethanol 사용 시 간장냄새와 다른 이취가 높았고 50% glycerol은 고기 향에 근접하였으나 높은 강도로 인해 기호도가 높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ribose/소맥 gluten 산가수분해물 반응계를 이용하여 물을 반응용매로 하여 pH 9로 조절하여 140$^{\circ}C$, 30분 동안 반응시킨 것이 고기향에 근접한 향의 발현에 가장 좋은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후박피(Magnoliae bark)로부터 항충치활성을 갖는 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 Anticariogenic Compound from Magnoliae Bark)

  • 이윤수;박헌주;유재선;박형환;권익부;이현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0-236
    • /
    • 1998
  • 충치 원인균인 S. mutans가 생산하는 불용성, 부착성 glucan 합성효소인 GT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을 생약재로 부터 탐색, 개발하여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의 소재로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32종의 생약재 추출물에 대하여 G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후박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후박피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분획을 행한 결과 ethylacetate층에 대부분의 활성이 존재하였으므로, 이 획분을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 HPLC 등을 이용하여 더욱 분리, 정제하여 순수한 GTase 저해물질을 분리하였다. 이 물질의 분리수율은 0.013% (w/w)였다. 이 화합물을 UV, FAB-MS 및 NMR spectrometry 등을 이용하여 화학구조의 해석을 실시한 결과 이 물질은 coniferyl alcohol의 중합체로 lignan계 화합물인 4,4'-dihydroxy-3,3'-dimethoxylignan (분자량 330)으로 확인되었다. 이 화합물은 후박피에서는 최초로 확인된 물질이다. 또한 충치 원인균인 S. mutans를 포함한 11종의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검토한 결과 비교 화합물에 비해 비교적 강력한 활성$(MIC;\;31.3\;{\mu}g/ml)$이 나타났다. 지금까지 후박피는 반하후박탕, 후박삼물탕 등 한방약재의 중요한 원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복통의 치료효과 및 건위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후박피 중에는 diphenyl계 화합물인 magnolol 및 honokiol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 물질이 건위작용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4,4'-dihydroxy-3,3'-dimethoxylignan이 충치 예방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금후 산업적 응용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결과로 여겨져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 PDF

석유탄화수소를 이용한 단세포단백질의 생산에 관한 연구 -V. 균체의 회수, 정제 및 예비 동물사육 시험- (Production of Single-Cell Protein on Petroleum Hydrocarbon -V.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the Yeast Cell and Its Preliminary Animal Feeding Test-)

  • 변유량;권태완;지규만;김춘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52-258
    • /
    • 1972
  • 경유(輕油)를 기질(基質)로 한 석유탄화수소발효액(石油炭化水素醱酵液)으로부터 효과적(效果的)으로 균체(菌體)를 회수(回收), 정제(精製)하기 위한 몇가지 지견(知見)과 예비동물사육시험(飼備動物飼育試驗)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효배양액(醱酵培養液)으로부터 균체(菌體) cream의 정치분리(精置分離)는 30분만에 종료(終了)되며 이때 cream의 균체농도(菌體濃渡)는 5.6%였다. 2) pH 9 이상의 강알칼리성에서 균체(菌體) emulsion은 불안정(不安定)하였으며 열처리(熱處理), 동결(凍結)에 의하여 emulsion으로부터 $60{\sim}80%$의 균체(菌體)를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3) Emulsion 파괴(破壞)를 위한 식용계면활성제(食用界面活性劑)로는 트리오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 적합한 농도(濃渡)는 0.3%였다. 이 외에 Aldo, Monogly 5-7 및 G-4도 유효(有效)하였다. 4) NaCl, KCl 등의 할로겐화알칼리금속염이 균체(菌體) emulsion 파괴(破壞)에우수하였으며 트리오와 같은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와 혼합(混合)하여 사용하므로서 90% 이상의 균체(菌體)를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5) 건조반제품(乾燥半製品)을 hexane-ethyl alcohol 및 iso-propyl alcohol의 공비혼합물(共沸混合物)로 유출(抽出)하는 것이 가장 기대(期待)되는 균체(菌體)의 정제방법(精製方法)이며 추출온도(抽出溫度)는 $58^{\circ}C$, 추출시간(抽出時間)은 30분(分), 균체(菌體) 대(對) 용매비율(溶媒比率)은 1 : 3이 적합하였다. 6)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사양실험결과 어백과 5% 대체(代替)한 수준(水準)에시는 대조구(對照區)보다 3.3%의 더 좋은 증체(增體)를 보였으나 8% 대체구(代替區)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간(肝)중량이 더 무거운 것이 인정되었다.

  • PDF

N-Acyl Taurates의 환경친화적인 제조공정 개발 및 이의 물성 연구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N-Acyl Taurates Manufacturing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 박지나;송아람;정용우;배재흠;지흥진;임호
    • 청정기술
    • /
    • 제11권4호
    • /
    • pp.195-204
    • /
    • 2005
  • 기존 공정에 비하여 오염물 발생이 적고 수율이 60 % 이상의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N-acyl taurate 단일축합공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공정의 최적 운전조건은 석유계 정제유인 parasol 123 용매와 반응촉매로 sulfone산계 촉매와 인산계 촉매의 혼합촉매를 사용할 때 반응온도가 $210{\sim}230^{\circ}C$이며 반응시간이 6 ~ 9시간 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기존 수입된 N-acyl taurate와 비교하여 산가, 아민가, 색상 등의 물성이 비슷하거나 더 좋고 부산물도 적게 배출되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공정이 기존 공정보다 우수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조된 N-acyl taurate를 시판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표면장력, 기포력, 기포안정성, 경수안정성, 유화력 등의 물성을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물성을 보여 기존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포도종자의 처리별 추출조건 및 저장에 따른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s of Crude and Defatted Grape Seed Extract by Extraction Condition and Storage)

  • 김영국;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55-460
    • /
    • 2004
  • 본 연구는 추출용매 및 주정에 의한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의 수율,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pH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저장시 항산화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수율은 탈지 및 비탈지 처리한 포도종자 분말 모두 $70\%$ 에탄올로 $70^{\circ}C$에서 6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8.9\%,\;9.16\%$로 다른 유기용매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hanol, acetone-acetic acid 및 acetone 순으로 나타났으며 $70\%$ ethanol 탈지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41.52\;{\mu}g$으로 나타나 다른 용매의 추출물보다 훨씬 높았다. 포도종자 추출물은 탈지 및 비탈지추출물 모두 주정농도는 $90\%$, 추출온도는 $70^{\circ}C$, 추출시간은 6시간에서 가장 항산화활성이 좋았으며 $70^{\circ}C$에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열에 의한 변성으로 인하여 항산화활성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조건하에서 각 추출물의 total 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 및 비탈지 추출물의 경우, ethylacetate 분획층이 $RC_{50}$값이 14.78, $12.35{\mu}g/mL$로 항산화활성이 가장 컸으며, buthanol, water, chloroform, hexane 분획층로 나타났다. 한편,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을 pH 2, 7, 10의 표준 buffer 용액에 녹인 후 $50^{\circ}C$에서 1달간 저장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산성 조건보다는 알칼리성조건에서 더욱 항산화활성이 감소하였으며 건조상태로 저장시 고온에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비의 항산화활성 증가를 위한 효율적인 추출조건 탐색 (Screening of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s for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ies from Fronds of Osmunda japonica)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4-180
    • /
    • 2011
  • 본 연구는 고비의 성엽으로부터 항산화 물질 추출과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정 추출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동결건조 한 다음 분쇄한 고비 성엽 1 g을 메탄올, 80% 에탄올, 물 등 3종류의 용매와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침지, $60^{\circ}C$의 항온 수조에서 가열, 200 rpm에서 교반하여 6시간동안 추출하거나 42 kHz의 초음파 수조에서 15, 30, 45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다음 최종 볼륨을 50 mL로 정량하여 가용성고형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의 함량을 구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0.15 mM의 DPPH와 7.4 mM의 ABTS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고비 성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메탄올과 8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수조에서 15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폴리페놀의 함량(45.15 $mg{\cdot}g^{-1}$ db)과 DPPH radical 소거활성($RC_{50}$=0.35 $mg{\cdot}mL^{-1}$)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메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38.10~38.10 $mg{\cdot}g^{-1}$ db),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80% 에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RC_{50}$=0.21~0.22 $mg{\cdot}mL^{-1}$). 연구의 결과, 초음파 수조를 이용한 추출은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으로 생각되었으며, 고비의 성엽은 메탄올을 용매로 15~30분 동안 초음파 수조에서 추출하는 것이 추출물의 다양한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PLGA 분자량에 따른 이중층 독소루비신 미립구의 방출거동 (Effect of Molecular Weight of PLGA on Release Behavior of Doxorubicin for Double-Layered PLGA Microspheres)

  • 박정수;양재찬;육순흥;신형식;이종문;김문석;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189-193
    • /
    • 2007
  • 항암제인 독소루비신의 지속적인 방출을 위하여 PLGA와 독소루비신의 미립구를 수중유형(O/W) 용매증발 방법을 이용하여 약물의 농도와 고분자의 분자량의 변화에 따른 방출거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중층 미립구내의 독소루비신의 방출을 분석하기 위하여 형광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5주 동안 독소루비신의 방출을 보았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중층미립구의 단면과 표면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는 외부층이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표면과 구형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중층 미립구의 단면을 잘라 계면층을 중심으로 하여 내부형태와 외부형태를 구분 지을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이중층 PLGA 독소루비신 미립구는 방출 결과를 통하여 저분자량의 고분자를 이용할수록 방출이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따라서 미립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방출거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