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quality level model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7초

EQPS 모델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운전 평가 (Evaluation of Operational Options of Wastewater Treatment Using EQPS Models)

  • 유호식;안세영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1-408
    • /
    • 2018
  • 하수처리 공정모델링 소프트웨어인 EQPS(Effluent Quality Prediction System, Dynamita, France)를 적용하여 A하수처리시설 생물반응조 설계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A하수처리장은 친수용수 수준의 목표수질을 준수하기 위하여 이차침전지 유출수 설계농도를 총질소와 총인, 각 10 mg/L, 1.8 mg/L로 설정하여 설계하였다. 4-Stage BNR 공정인 반응조의 체류시간은 총 9.6시간으로 전무산소조 0.5, 혐기조 1.0, 무산소조 2.9, 호기조 5.2시간이었다. 동절기 공정모델링 결과 친수용수 수준의 목표수질을 만족하기 위하여 혐기조의 체류시간을 0.2시간 늘렸고 당초 설계조건이던 외부탄소원 비상시 주입을 상시적으로 주입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델링 결과의 왜곡을 배제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제조사가 제시한 one step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모델의 Default 계수를 사용하였다. 공정모델링은 대체적으로 최적의 상태를 제시하기 때문에 생물반응조 여유율을 고려하면 4-Stage BNR의 체류시간은 9.8시간보다 증가시켜야 한다. 하수처리장 설계단계에서 공정 모델링의 정확한 사용은 하수처리장 건설 후 처리성능과 효율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설계단계에서 철저한 평가가 필요하다.

하수처리수의 관개용수 재이용을 위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wastewater reuse for Irrigation water)

  • 한정윤;윤춘경;정광욱;장재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61-666
    • /
    • 2005
  • Wastewater reuse are exposed public health risk by pathogens. Therefore, this study was examined for microbial risk assessment after irrigation as treated wastewater in paddy rice plots. Five treatments were used: biofilter effluent, UV disinfected water, pond treatment, wetland treatment and conventional irrigation water. Risk assessment was calculated based on the beta-Poisson model by concentration of E. coli from 2003 to 2005. Monte-Carlo simulation (n=10,000) was used to estimate the risk characterization of uncertainty. The risk range was from $10^{-5}$ to $10^{-8}$ except biofilter effluent was $10^{-4}$ in June. The USEPA(1992) has recommended that risk of < $10^{-4}$ is acceptable level of safety for potable waters. In 2005, risk value was lower than 2003, 2004 because of the first irrigation for plowing water is lower E. coli concentration used tap water. It is shown that the first irrigation water quality was important for wastewater irrigation in paddy. UV disinfection and natural treatment used pond and wetland were thought to be an effective for wastewater reuse.

  • PDF

유역 모형과 하천 모형의 연계를 통한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Numerical Estimations of Nakdong River Flows Through Linking of Watershed and River Flow Models)

  • 강형식;장재호;안종호;김익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7호
    • /
    • pp.577-5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하천 흐름 연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흐름 및 수질 영향 분석을 위한 전단계의 연구이다.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 수문 모형인 SWAT 모형을 구축하고 낙동강 본류 EFDC 모형에 유량 경계자료를 제공하여 본류 흐름을 예측하였다. 유역 모의를 통해 계산된 유출량을 본류 13개, 지류 30개 지점에서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환경부8일 자료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 difference, NSE, $R^2$를 산정하였으며, % difference는 몇몇 지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15%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고, NSE와$R^2$ 역시 대부분 적정 수준인 것으로 모의 되었다. 한편, SWAT 모형으로부터 본류의 상류 및 지류 경계의 유출량 값을 제공받아 EFDC모형에 입력하였고 낙동강 본류에서의 2007년도 흐름을 예측하였다. 계산된 결과를 낙동강 본류의 각 수위 관측소에서의 측정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본 모형이 저수기 및 홍수기시 모두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곡부 및 하중도 부근에서의 유속 증가와 감소 현상 등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상류 경계로 부터 1월1일 유입된 염료의 이동현상을 모의한 결과 하구언까지 도달하는데 약 65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인 제어를 위한 알칼리도와 경도 조절제의 선택 (Selection of Chemicals for the Dissolved Phosphorus Control by Variations of Alkalinity and Hardness)

  • 김성옥;김학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6-211
    • /
    • 2014
  • This study was done to find chemicals adequate to control alkalinity and hardness in order to reduce dissolved phosphorus in water bodies like rivers and lakes. Five chemical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calcite, lime, dolomite, magnesite, and gypsum. Data were obtained from the calculations with MINTEQ model as a function of dosage variations of each chemical. Findings are as follows: Three out of the five chemicals are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dissolved phosphorus, i.e., calcite, lime, and dolomite. Calcite and dolomite are able to lower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up to one thousandth fold whereas lime does one hundred thousandths fold. In viewpoint of pH variation, both calcite and dolomite seem to be safe since the pH does not increase over 8.3 even in case of overdose. In the same circumstance, with lime the pH increases beyond 9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highest pH level for the protection of water ecosystem. Nevertheless it is recommendable to use lime in case where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water quality control due to algae blooms.

평림천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 평림댐 상·하류 수질 및 하천건강성평가와 함께 - (A Study on Fish Community in Pyeonglim Stream - with Water Quality and Stream Health Assessment in Up- and Downstream of Pyeonglim Dam -)

  • 서진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51-160
    • /
    • 2009
  • In order to use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and stream health with dam development, fish investigation in up- and downstream of Pyeonglim Dam was seasonally conducted in 2007~2008. In addition, data of water qualities, investigated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used to determine a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in Pyeonglim Stream, and it revealed that water environment condition was good in the stream.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4 study sites was 5,449 representing 9 families 25 species, and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32.0%) including Rhodeus uyekii,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Microphysogobio yaluensis. Two species of Zacco temminckii (37.5%) and Zacco platypus (26.3%) were dominant and subdominant in all sites. There were few individuals of the $2^{nd}$-class endangered species (Sand lamprey, Lampetra reissneri) and the introduced species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found in the upstream of the dam. and further investigation for conserv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and for prevention of the introduced species is needed in future. With fish fauna and multi-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in each sampling attempt, index of biotic integrity(IBI) was evaluated and it resulted mostly in good(26~35) and excellent(36~40) condition in all si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not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fish composition but also stream health assessment in order to conserve healthy aquatic ecosystem.

해수교환을 고려한 진동수주형 파력발전구조물에서 불규칙공기흐름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Irregular Airflow in OWC Wave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Sea Water Exchange)

  • 이광호;박정현;조성;김도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28-137
    • /
    • 2013
  • 최근,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 등에 의해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해 왔다. 특히, 가까운 미래에 직면하게 될 화석에너지자원의 고갈문제는 이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다양한 재생가능 에너지자원 중에서 지구의 3/4을 점유하고 있는 해양은 막대한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내 수질개선과 파랑에너지의 이용이라는 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실 내에서 해수면의 상하운동을 공기흐름으로 변환하고, 이를 터빈의 구동력으로 이용하는 파력발전장치인 진동수주형(OWC, Oscillating Water Column) 파력발전시스템을 적용한 해수교환구조물을 제시한다. 또한, 3차원불규칙파수치파동수로에 기초한 3D-NIT(3-Dimensional Numerical Irregular wave Tank)모델을 불규칙파동장에 적용하여 산정된 공기실 내 수위변동의 시간변화로부터 공기흐름속도를 추정하고, 입사주파수스펙트럼의 변화에 따른 공기흐름 주파수스펙트럼의 변화특성, 구조물의 존재여부에 따른 공기실 위치에서 주파수스펙트럼의 변화특성, 구조물에 의한 파랑변형율의 변화특성 및 공기흐름과 유체흐름에 의한 동력 등을 검토한다. 이로부터 공기실 내에서 수위변동 및 공기흐름의 시계열 자료에서 위상차가 존재하며, 유체흐름에 의한 동력이 공기흐름에 의한 동력에 비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수문과정 해석 (Analysis of Hydrological Processes for Musim River Basin by Using Integrated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Model)

  • 김남원;정일문;이정우;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419-430
    • /
    • 2007
  • 지표수와 지하수의 통합모델링은 지속가능한 수자원과 수질개선에 대한 점증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모형인 MODFLOW의 통합모형을 무심천 유역에 작용하여 유역단위의 수문과정을 재생하였다. 모의결과 2001-2004년의 관측수문곡선과 모의유량수문곡선간의 적합이 잘 나타나는 한편 계산된 지하수위 분포와 관측지하수위와의 보정결과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통합모형은 서로 다른 기간의 강수평균이 하천유출, 침루, 함양, 지하수 유출의 동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도 활용되었다. 나아가, 윌별강수와 각 수문성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의를 수행한 결과, 수문성분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소유역경사, 토지이용, 토양종류 같은 유역특성의 비균질성이 함양량의 공간변화에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합모형은 시공간적으로 변모하는 유역단위의 지표수와 지표하 수문과정을 전반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상지 공정 폐쇄화에 따른 백수 내 산화전분의 축적 현상에 관한 연구 (제1보) -공정 폐쇄화의 영향- (A Study on the Accumulation Phenomena of Oxidized Starch in White Water in Closed Fine Papermaking Process (Part 1) -Effect of Papermaking system closure-)

  • 안현견;이학래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3호
    • /
    • pp.15-34
    • /
    • 2004
  • Diverse benefits such as reduction of fresh water consumption and effluent discharge, efficient use of raw materials and energy savings can be obtained by papermaking system closure. Closure of papermaking processes, however, causes many problems including reduction of the efficiency of additives, decrease of retention and dewatering, felt plugging, poor Paper quality, generation of slime and odor, poor vacuum efficiency, etc, a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accumula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in the process white water is the prime cause of these problems. Therefo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these detrimental substances are urgently required for Implementing papermaking system closure. Understanding of the accumulation phenomena of the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in the papermaking process white water is prerequisite for papermaking system closure. In this study a process simulation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accumulation phenomena of anionic starch In the process white water as the closure level of a fine paper making process is increased. A pilot paper machine was used as a model process. Starch adsorption and desorpt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starch adsorption ratio, which was not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Steady state simul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is model using a commercial simulator. In steady state simulation, the variation of dissolved starch concentration in each process unit was monitored as a function of white water usage for wire shower. The result of the steady state simulation showed that dissolved starch concentration and its increase ratio in Process units increased as white water usage ratio for wire shower increased.

선택취수에 따른 대청호 탁수 조절효과 및 수질영향 분석 (Effect of Selective Withdrawal on the Control of Turbidity Flow and Its Water Quality Impact in Deacheong Reservoir)

  • 정용락;류환;김유경;예령;정세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8호
    • /
    • pp.601-615
    • /
    • 2007
  • 선택취수 방법은 성층화된 저수지로부터 공급되는 방류수의 수온, 용존산소농도, 탁도 등의 수질을 제어하고, 하천의 생태계 서식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하류의 탁수피해 저감을 위해 다단 취수가 가능하도록 기존의 취수시설을 개량하였거나 계획하고 있는 댐들이 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청댐에 선택취수 시설을 도입하였을 경우 하류의 탁수 제어 효과와 저수지 수질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다양한 선택취수 조건이 방류수 탁도와 저수지 수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보정 검증한 2차원 폭 방향 평균 수리 및 부영양화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년 연속$(2004\sim2005)$ 수문조건에서 표층수의 선택취수를 통한 댐 하류의 탁수 장기화 저감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하류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표층수를 과다하게 취수 할 경우, 높은 농도의 인을 포함하고 있는 중층 탁수를 유광대로 유입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호수역의 조류 성장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정지역의 지하수 유동해석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Chojung Area)

  • 안상도;김경호;정영훈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3-140
    • /
    • 2000
  • 초정지역은 세계 3대 광천수 생산지의 하나로서 지하수 이용업체들이 집중적으로 지하수 개발을 하고 있어 지하수자원의 고갈이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정지역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장래 예측되는 지하수 장애에 대처하기 위해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초정지역의 지하수 유통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동북쪽에 위치한 산간유역의 수위의 변화에 비하여, 하류 구릉지역에서는 양수정들을 중심으로 수위 강하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하류 구릉지역에 공장들이 밀집하여 있고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또한 많은 양을 양수를 하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향후 지하수자원의 고갈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심각하게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