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microbiology

검색결과 1,345건 처리시간 0.026초

양식산 넙치로부터 HRV-like Rhabdovirus의 분리 (A New Rhabdovirus (HRV-like) Isolated in Korea from Cultured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오명주;최태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6
    • /
    • 1998
  • 1997년 3월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의 해산어 육상 및 가두리 양식장에서 양성 중이던 넙치가 HRV(hirame rhabdovirus, Rhabdovirus olivaceus) 감염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어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 새로운 rhabdovirus가 분리 되었다. 분리 바이러스(DF-9708)는 RTG-2 및 EPC 세포주에서 $15^{\circ}C$로 배양하였을 때 랩도바이러스 특유의 세포변성효과(CPE)를 나타내었으나 CHSE-214에서는 증식되지 않았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감염 세포내의 바이러스 입자 형태를 관찰해본 결과 bullet-shape의 크기 $70nm{\times}100\sim150nm$으로 인벨롭을 가진 바이러스였다. 분리바이러스는 pH 3 및 diethyl ether의 처리 조건에서는 감염성을 상실하였고, 열($50^{\circ}C$ 5 min, $60^{\circ}C$ 1 min)에도 약한 성상을 나타내었다. DNA 저해제인 IUdR $10^{-4}$M 처리에 의해서는 바이러스 감염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분리 바이러스는 Anti-HRV(8401-H) rabbit serum에 의해서만 중화 되었고, 전염성 조혈기 괴사증 바이러스(IHNV), 연어과 레오바이러스(CSV), 바이러스성 선회병 바이러스(RVS) 및 전염성 췌장괴사증 바이러스(IPNV) 등의 국내에서 분리되어지는 바이러스 항체로는 중화되지 않았다. 초원심법으로 정제한 분리 바이러스를 전기영동 한 결과 polymerase(L), glycoprotein(G), nucleoprotein(N) 및 2개의 matrix proteins(M1 및 M2)으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각 단백질의 분자량은 L, 160 kDa; G, 55 kDa; N, 45 kDa; M1, 26 kDa; M2, 22 kDa의 크기로 계산되었다. 새롭게 분리된 바이러스는 외부증상으로는 기존의 HRV 감염과 유사한 점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이러스학적 특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점이 있어 본 분리바이러스를 우선 Nubchi rhabdovirus(NRV)(HRV-like)로 부르기로 한다.

  • PDF

Effects of Feeding Levels of Starter on Weaning Ag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Health Parameters in Holstein Dairy Calves

  • Nejad, J. Ghassemi;Hosseindoust, A.;Shoae, A.;Ghorbani, B.;Lee, B.H.;Oskoueian, E.;Hajilari, D.;Amouzmehr, A.;Lohakare, J.D.;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827-830
    • /
    • 2013
  •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four different levels of starter in male Holstein dairy calves, a completely randomized study was conducted, using 28 calves with initial body weight of $40.5{\pm}2.4$ kg. The animals were fed iso-nitrogenous starter and were weaned when they consumed 350, 500, 650 and 800 g/d of starter for 3 d consecutively. Starter and water were available ad-libitum throughout the experiment. Body weight at pre-weaning (less than 5 wk) and post-weaning (8 wk) was lower in calves that received 350 g/d of starter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p<0.05).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the highest among all treatments in pre-weaning period (p<0.05). Dry matter intake (DMI) at weaning and total DMI was higher in that calves received 800 g/d of starter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0.05). Calves fed 350 and 500 g/d of starter were weaned earlier (p<0.05) and showed lower milk consumption (kg, DM)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calves fed 350 and 500 g/d of starter (p>0.05). Dry matter, organic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ies were lower in calves that received 350 g/d of starter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0.05).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cid detergent and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 among all treatments (p>0.05).Treatm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ime of starting rumination, respiratory score, and days of drug administration for pneumonia.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feces, fecal odor scores, body temperature, and days of drug administration for diarrhea among all treatments (p>0.05). Total dry matter intake at the end of experi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alves fed 600 and 800 g/d of starter, but calves fed 350 and 500 g/d of starter showed more dry matter (DM) intake than calves in the 600 and 800 g/d groups (p<0.05).

위생교육에 따른 선식 제조기구와 작업장의 위생상태변화 및 일부 선식제품의 안정성과 영양적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Stability of Cereals and Sanitation Status of Processing Utensils and Environments Based on Hygiene Education)

  • 김은미;김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33-843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giene education on the microbiological changes of processing utensils and the environmental in the manufacture of cereals and to evaluate the Cd, Pb contents and nutrient compositions of 11 cereals. The result of microbiological evaluation was that fungi, coliforms and staphylococcus species were detected in employees, on equipment, utensils and environments in the first inspection. Fungi were detected in most of the cereals, staphylococcus species were detected in soybeans, perilla seeds and sea tangle How,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sorghum and black sesame seeds. The water content of rice, barley, glutinous rice, brown rice and carrot flour in packaged products, and in carrot flour, angelica keiskei, carrot, sea mustard and potato in bulk products was in excess of 8.0%. The Pb content of cereals was 0.14-0.51 mg/kg and Cd was not found. The acid value of Job s tears flour and black sesame seed flour was higher than 5.0 mg/g oil. Cereals were manufactured from 41 different cereals and grains, legumes, seeds and nuts, vegetables, potatoes, seaweeds, fruits, glucose and salt. The average content of cereals and grains, legumes, and seeds and nuts in cereals was 75.75%, 16.19% and 4.93%, respectively. The mean nutrient content per 100 g of cereals was calories 365.8kcal, protein 13.3 g, fats 5.9 g, carbohydrates 63.4 g, Ca 91.8 mg, p 269.9 mg, Fe 3.15 mg, Na 76.2 g, K 421.8 mg, Zn 2.33 mg, Vit. A 12.5 R.E., Vit. B$_1$0.23 mg, Vit. $B_2$ 0.16 mg, Vit. $B_6$ 0.46 mg, Niacin 3.5 mg, Vit. C 1.36 mg, folic acid 62.3 $\mu$g and Vit. E 1.24 mg. When nutrients value of 48 g of cereals and 200 $m\ell$l of milk was compared to 1/3 of the RDA, the values were below than 60% of 1/3 of the RDA except Na, K, Vitamin $B_1$ and C contents. The average carbohydrate : protein : fat ratio of energy intake was 54.27 : 17.45 : 28.28, respectively. Therefore, a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the education of the staff in surveillance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the elimination of dangerous procedures, sanitation checklist, the implementation of Preparation methods and standard recipes for cereals is required.

마비성패류독의 생물학적 제독 -2. 해수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sp. CW-6를 이용한 마비성패류독의 분해- (Chang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Components during Bacterial Detoxification)

  • 박미정;이희정;이태식;김지회;이태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50-553
    • /
    • 2000
  • 해수에서 분리한 마비성패류독 분해 균주 Enterobactersp. CW-6 균주의 마비성 패류독소 최적 분해 온도 및 시험 균주의 독소 분해과정 중의 독소 함량 및 구성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 균주는 배양 적온으로 확인된 $30, 35^{\circ}C$에서 배양 5일만에 각각 최초 첨가 독력의 $56.8, 44.1{\%}$, 12일 후에는 $93.0, 79.5{\%}$를 분해하였다. 그러나, 배양 적온에서 벗어날수록 균주의 독소 분해 활성은 감소하여 $20^{\circ}C$에서는 배양 12일 후에도 최초 독력의 $69.0{\%}$가 잔존하였다. 시험 균주 Enterobacter sp. CW-6는 $30^{\circ}C$에서의 조독소를 이용한 분해 활성 측정에서 초기 농도 38.2nmole/g의 마비성패류독을 배양 8일 및 12일째 각각 $88.4, 92.7{\%}$ 분해하였다. 정제 독소를 이용한 분해 시험에서, 조독소 분해과정 중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STX group은 GTX2, 3에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균주 Enterobactersp. CW-6는 정제 독소에 대해서도 강한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초 농도 47 nmole/g 의 GTX1과 37 nmole/g GTX4를 분해 과정 12일 후에 각각 $100, 90.8{\%}$ 분해하였으며, GTX2, 3 혼합물에 대하여는 최초농도 25.6 nmole/g의 독소를 12일 후에 $66.4{\%}$까지 분해하였다.

  • PDF

독일가문비(Picea abies Karsten) 잎 추출성분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ives from the Needles of Picea abies Karsten)

  • 이상극;배영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29-434
    • /
    • 2006
  • 독일가문비(Picea ahies Karsten)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1.5 kg을 acetone-$H_2O$(7:3, v/v)로 추출하고 핵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가용부로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와 EtOH-n-hexane 혼합액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셀룰로오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고 FAB 및 El-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독일가문비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에는 (+)-catechin(화합물 I), (-)-epicatechin(화합물 II), kaempferol-3-O-${\beta}$-D-glucopyranoside(화합물 III), 4-hydroxyacetophenone(화합물 IV)가 분리되었으며 물 가용부에서는 (+)-catechin(화합물 I)과 protocatechuic acid(화합물 V)가 분리되었다. 각 분획물 및 단리된 화합물들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분획물중에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 그리고 화합물중에는 (T)-catechin과 (-)-epicatechin에서 기준물질과 유사한 우수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법에 따른 메탄생성과 메탄생성 세균의 T-RFLP 패턴 (Methane Production and T-RFLP Patterns of Methanogenic Bacteria Dependent on Agricultural Methods)

  • 김훈수;조주식;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5
    • /
    • 2009
  • 농법에 따른 토양의 토양 성분과, 메탄생성량, 메탄생성 세균의 수, 그리고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패턴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대부분 토양 성분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토양내 물 함량은 5월 시료 보다 10월 시료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ost probable number (MPN) 방법을 이용한 메탄생성 세균 계수에서, 모든 논토양에 메탄생성 세균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였으나 수소를 이용하는 메탄생성 세균과 포름산을 이용하는 메탄생성 세균에 비해 아세트산을 이용하는 메탄 세균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 포름산 이용 실험에서 대부분 토양이 1주부터 빠른 포름산 이용능을 보여, 4주에는 미량만이 검출되었으나, 아세트산을 첨가한 실험에서는 3주까지 아세트산이 증가된 후, 그 이후에야 아세트산이 이용되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소를 첨가해준 모든 시료에서는 많은 양의 메탄생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Sou96I을 처리한 mcrA 유전자의 T-RFLP 패턴을 분석한 결과, 농법에 따라 토양성분이 크게 차이가 없는 것과 같이 농법과 계절에 의해서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부 통계분석 자료는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토양 미생물의 군집비교 기법을 미생물학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18 방사성동위원소 피폭에 의한 금붕어(Carassius auratus)뇌의 신경전달물질 변화 (Effect of 18 Irradiation on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s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 박남규;고혜진;김군도;이종규;길상형;이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46-1051
    • /
    • 2012
  • $^{18}F$ 방사성동위원소 피폭으로 금붕어 뇌에서 유도된 생리활성물질을 조사하기 위해 금붕어 뇌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생성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8}F$ 580 mCi를 납으로 밀폐된 공간에 두고 선원으로부터 4 cm 떨어진 위치에 금붕어들을 수조에 넣어 4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거리, 노출시간 및 $^{18}F$의 반감기로부터 계산된 흡수선량은 약 2 Gy이었다. $^{18}F$에 의해 피폭된 금붕어 뇌와 피폭되지 않은 정상 금붕어의 뇌를 각각 10마리씩 절개하여 즉시 냉동 보관 하였다. 각각의 조직들은 초산으로 추출하였으며, 동결건조 후 샘플들은 증류수로 녹여 HPLC를 사용하여 물질을 정제하였다. $^{18}F$로 피폭된 금붕어와 피폭되지 않은 금붕어의 뇌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의 흡광도의 세기는 전체적으로 커다란 차이점은 없었지만, 방사선에 노출된 금붕어 뇌 추출물의 경우 13분대에 해당하는 물질 피크만이 정상 금붕어 뇌 추출물에 비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분석 결과, 이 물질은 트립토판(tryptophan, Trp)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금붕어의 뇌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트립토판은 $^{18}F$ 방사성동위원소 피폭으로 금붕어 뇌에서 농도 변화가 유도된다는 것을 이 결과는 나타내고 있다.

Wheat Fiber 첨가가 Meat Batter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iber on the Quality of Meat Batter)

  • 최윤상;이미애;정종연;최지훈;한두정;김학연;이의수;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28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 단백질인 ISP와 CSP의 대체제로서 식이섬유인 wheat fiber를 첨가함으로써 돈육 유화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돈육 유화물의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pH는 차이가 없었으며 (p>0.05), 보수력과 육색의 L-값은 대조구보다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났다(p<0.05). 가열감량, a-값과 b-간은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처리구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화안정성에서 수분리는 ISP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분리의 경우는 비육 단백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낯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점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높았지만(p<0.05), 처리구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물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경도, 검성, 씹음성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WF-200 처리구와 대조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하여 볼 때, ISP와 CSP의 대체제로 wheat fiber가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와송 다당체 및 올리고당류의 생리 활성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of Orostachys japonicus)

  • 김기훈;김은영;김예운;백금옥;김한복;이동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4-341
    • /
    • 2004
  • 와송으로부터 고온 고압의 열수 추출로 다당체 조추출물(OJP1)을 얻어 디스크 확산법, fluorescein diacetate(PDA)법 및 액체 배지 희석법을 통하여 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ephadex G-50을 통하여 다당체(FI)와 올리고당류(FII)를 분리하고, 이들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FI과 FII의 분자량은 각각 30$\~$50 kDa과 1$\~$3 kDa으로 추정되었다. OJP1의 항균 효과는 디스크 확산법에서 Candida albicans가 $20\pm4.9\;mm$의 억제대로 가장 높았으며,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도 각각 $18\pm2.0\;mm$$17\pm1.0\;mm$의 억제대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도 양성 대조군인 프로폴리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FDA법, 액체배지 희석법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OJP1과 Fl, FII의 인체 암세포주와 Sarcoma 180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이들은 모두 MTT assay와 형태 변화 관찰에서 강력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와 자궁 경부암 세포주인 HeLa 세포, 위암 세포주인 AGS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더 나아가 DNA 분절화를 통해 apoptosis 유발 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이들 물질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apoptosis발생을 뜻하는 DNA 분절화 현상이 뚜fut하게 나타났다. 요컨대, OJP1과 Fl, FII는 광범위한 병원성 균주에 대하여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각종 암세포주에 대하여 현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잎권세균에 대한 개선된 형광현미경 관찰법 (Improved Epifluorescence Microscopy for Observation of Phyllosphere Bacteria on Leaf Surfaces)

  • 정필문;신광수;이인수;박성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65
    • /
    • 2001
  • 식물잎권의 잎표면세균에 대한 직접관찰과 이들을 분리시킨 용액 내 세균에 대한 간접관찰을 위하여 형광염료인 4', 6-diamidino-2-phenylindole(DAPI)와 acridine orange(AO)로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였다. AO로 염색한 잎표면은 배경형광이 진한 주홍색 이나 적색을 띠어 잎표면세균의 관잘 및 계수가 극히 힘들었으나 DAPI로 염색된 잎권세균은 뚜렷한 형광 영상을 나타내었다. 반면 잎표면세균 분리용액의 여과지에 대한 형광염색 결과는 DAPI와 AO 모두가 관찰이 가능하였다. 다만 DAPI가 AO에 비하여 형광 영상이 좀 더 뚜렷하였고 AO 염색과정에서는 염색된 여과지에 대한 세척과정이 필수적이었다. 최적의 DAPI 염색법은 잎과 여과지 모두가 5 $\mu$g/ml의 농도에서 5분 동안 염색하는 것이었다. 잎권의 형광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는 잎에서 나오는 수분을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염색된 잎 시료를 거름종이 위에 올려놓고 공기 중에서 말리는 대신 $70^{\circ}C$를 유지한 건조기에서 2분 동안 말린 다음 바로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장 종은 방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확립된 형광현미경 관찰법을 떡갈나무의 잎권세균을 성공적으로 관찰하고 계수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