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Meter

검색결과 636건 처리시간 0.029초

농업용수 사용량 계측을 위한 전자파 표면유속계의 적용 (Application of microwave water surface current meter for measuring agricultural water intake)

  • 백종석;김치영;이기성;강현웅;송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071-1079
    • /
    • 2020
  • 하천수의 통합적인 물관리를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는 하천수량과 같은 기초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취입보를 통해 취수되는 하천수는 농업용수로를 통해 도수되는데, 계측지점의 특성에 맞는 취수량 계측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 어우보의 농업용수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표면유속을 산정하는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적용하였는데, 주로 홍수기와 같이 고유량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다. 저유량이나 고풍속에서는 표면유속이 단면 전체의 평균유속을 대변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중 지속적인 활용도가 낮다고 평가받고 있어, 농업용수로에서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이용한 계측이 적합한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자파 표면유속계로 계측한 자료를 실측 유량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농업용수로에서의 취수량 자료를 산정하였다. 농업용수로에서 최저유속 약 0.3 m/s, 최저유량 약 1.0 m3/s 이상시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이용해 산정되는 일단위 유량은 기준유량 대비 경향성과 정확도가 높은 편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고유량일때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유량에서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유효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자료의 경향성이 불안정한 것으로 미루어 저유량시 표면유속으로 단면의 평균유속으로 산정하는 것에는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일정 유속 이상의 인공수로에서는 전자파 표면유속계를 통해 취수량을 산정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사료되어 하천수 사용량 계측의 방안으로서 널리 보급되길 기대한다.

Chloride Meter(CL-2Z형)를 이용한 담배잎 중 chloride의 신속한 검정방법 (Rapid Quantification of Chloride in Tobacco Leaves by a Chloride Meter (Model: CL-2Z))

  • 이미경;정훈채;김용연;윤연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3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mple and rapid fiel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ide content in tobacco green or cured leaves. To set up a practical process,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roper sampling position of each leaf, the size of leaf lamina pieces for blending, the substitution of deionized water fur the extracting solution, 0.1N $HNO_3$, the submerging durations before blending, and the standing times before measuring were studied using flue-cured and burley tobacco with a stable and reproducible Chloride Meter, KRK CL-2Z. From the results, chloride contents of tobacco leaves could be analyzed with the Chloride Meter(CL-2Z) using the suspension of 14 mm diameter leaf disks after soaking in distilled water for 30 min., blending with a mini-blender for 30 seconds. The chloride contents measured in this way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s by the conventional potentiometric method using an ion meter-chloride electrode and $AgNO_3$ titration. In our method, the procedures such as drying, powdering and weighing samples, and using chemical reagents for extraction (0.1N $HNO_3$) and titration(0.028N $AgNO_3$) could be elimin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ly constructed method using the Chloride Meter is more efficient to determine the chloride content of tobacco leave in comparison with the one by the Ion $Meter:AgNO_3$ titration.

선박 유수분리기용 유분검출기의 개발 (Development of Oil Content Meter for Oily Water Separator in Ship)

  • 황정웅;정병건;김창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38-344
    • /
    • 2001
  • According to the MARPOL 73/78 of Convention, all ships should have oil filtering equipment and 15 ppm bilge which satisfy Requirements of MARPOL 73/78.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prototype Oil content Meter(OCM) used in machinery area of ship. The prototype OCM is composed of two parts which are oil content sensing module and data processing unit. The oil content sensing module consists of infra-red light source, photo-diode light receivers, and a glass tube for bilge water s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has a micro-processor as hard core and peripheral devic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rototype OCM and analysis of collected data reveal linear property between transmitted light and scattered light as long as the bilge water has low level content of oil. And this linear property leads to a oil content detecting method which is programmed and loaded into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OCM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mercial OCM in the market.

  • PDF

밸브 수압측정기의 유동해석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of Hydraulic Valve Meter)

  • 이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63-1968
    • /
    • 2012
  • 본 논문은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밸브 수압측정기를 3차원 자동설계 프로그램인 CATiA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코드인 ANSYS를 활용하여 설계된 밸브 수압측정기에 대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여 내부압력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구하였다. 이러한 해석결과는 새로운 밸브 수압측정기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며 개발예정인 밸브 수압측정기는 밸브 점검 시 시간을 단축하고,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리드 스위치 센서를 이용한 원격 검침용 상수도 계량기에서 채터링 오차 감소 방안 연구 (Reduction of Chattering Error of Reed Switch Sensor for Remote Measurement of Water Flow Meter)

  • ;김희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42-47
    • /
    • 2007
  • 상수도 원격 검침에서는 리드 스위치의 채터링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센서 연구 및 개선이 필요하다. 센서의 동작은 전기적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구 자석 주각의 접근에 의한 기계적 접촉스위치처럼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 회전 또는 전달 이동을 잡기 위해 사용되고 수류 측정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신뢰성이 필수이다. 동작 형태를 간단히 설명하게 되면 미터기 작동 모터 끝에 달려있는 작은 자석이 미터기 회전에 의해 리드 스위치 내부에 있는 두 개의 스프링과 기계적 접촉 형식으로 반복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수류량에 따라 펄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값은 무선 이동 통신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게 된다. 문제는 자석과 리드 스위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스위치가 멈추게 되면 떨리면서 펄스가 잘못 올라가는 오차가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보통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필터 알고리듬을 사용하는것과 통계적인 보정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 하지만 그러한 방법보다는 하드웨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더 직접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적인 이력현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리프 스프링 구조의 변화로 오차를 감소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합 원격검침 지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eter Reading Home Concentrate Device)

  • 박재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7-42
    • /
    • 2015
  • 본 논문은 가정의 6종 미터기(수도, 온수, 난방, 냉방, 가스, 전력량)의 계량을 통합하여 검침할 수 있는 통합 검침장치 지시부(HCD)를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본 개발 장치에서는 각 세대의 6종 계량기의 계량값을 원격으로 검침하여 표시부에 표출하는 한편, 이 검침값들을 통신라인을 통하여 원격검침 서버컴퓨터로 보내질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2개의 MCU로 미터기 검침과 서버응답 기능을 분리하여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HCD의 하드웨어 설계, 통신 프로토콜, HCD 용 LCD 설계, 프로그램 구성 등과 함께 완성된 시스템의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하여 개발된 시스템을 automatic meter reading(AMR)에 적용할 경우 기존시스템 보다 응답이 빠르며, 가격, 설치비, 유지비 등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지온탐사에 의한 저수지 제방의 누수 조사 (Delineation of water seepage in a reservoir embankment from ground temperature measurements)

  • 박삼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69-175
    • /
    • 1999
  • The water leakage of reservoir embankment usually occurs through water vein, which gives little influence on the embankment in a normal state. However, the embankment can be destroyed when the water level of reservoir increases with heavy rain in summer. Investigating the water vein and its path is therefore ver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disater prevention and embankment protection. This paper presents survey results of one-meter-depth ground temperature and multi-point temperature logging in an embankment in Japan to delineate water veins and permeable formations. Four water veins have been predicted in the embankment by comparing measured one-meter-depth ground temperatures with the background ones which have no effect of water vein. The multi-point temperature logging was carried out in the borehole drilled at one of the predicted water veins. Depth and thickness of the permeable formation in the borehole can be determined from temperature restoration ratios with elapsed time. From these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water leakage of reservoir embankment mainly occurs in sandy soil formation in the embankment.

  • PDF

수도미터의 측정과 요금청구방법, 물 사용과 절수

  • 한국수도협회
    • 수도
    • /
    • 통권26호
    • /
    • pp.26-28
    • /
    • 1981
  • 이 글은 국제수도협회(IWSA) 주최 국제수도회의 수도미터 및 계량상임위원회(International standing comittee on water meter and water metering)에서 벨기에의 A. Desmed가 발표한 내용을 번역 게재한다.

  • PDF

배터리 수명을 고려한 원격검침 모듈 설계 (Design of a Remote Meter Reading module considering battery life time)

  • 정원창;구명모;장성주;김상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5-50
    • /
    • 2008
  • 계량기의 지침을 인식하고 수도 관리 사업소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검침모듈은 전원을 전력선으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검침모듈은 배터리를 이용해야 하므로 주기적으로 소모된 배터리를 교체하는 유지보수 문제가 발생한다.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전원 소모를 줄이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전원관리를 통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면서 고객계량기의 지침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RF를 이용하여 검침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는 원격검침 모듈을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