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DB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초

3T3-L1 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 옥수수수염 물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 및 혈당 저하효과 (Effect of Myadis Stigma Water Extract on Adipogenesis and Blood Glucose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 민오진;샤르마 베스라지;박철민;류동영
    • 생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1-208
    • /
    • 2011
  • Obesity occur from the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besity is a complex chronic disease that is suggested to cause other metabolic disorders such as type 2 diabete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arteriosclerosis. In this study, our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anti-hyperglycemic and anti-obesitic effects of Maydis stigma water extract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Maydis stigma water extract at dose of 100 and 500 ${\mu}g/ml$ slowly inhibited cell viability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mature adipocytes. Also, the additions of 50 and 250 ${\mu}g/ml$ of Maydis stigma water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ipid accumulations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C/EBP) ${\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 ${\gamma}$ expressions with dose-dependent manner in 3T3-L1 adipocytes. Maydis stigma water extract at 250, 500, and 1000 ${\mu}g/ml$ only showed the increasing pattern on lipolysis activity. The oral treatment of Maydis stigma water extract (100 or 400 mg/kg body weight) in db/db mice only showed tendency to decrease body weight, food efficiency ratio (FER), HbA1c,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he adipocyte size of in db/db mice. However, Maydis stigma water extract increased the insulin level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ydis stigma water extracxt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C/EBP${\alpha}$ and PPAR${\gamma}$ expressions in 3T3-L1 adipocytes and shows anti-hyperglycemic effect through increase of insulin secretion in db/db mice.

선박평형수 관리를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Ballast Water Management)

  • 김은찬;오정환;이승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9-197
    • /
    • 2014
  • IMO 선박평형수 관리 국제협약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서는, 선박평형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수집과 관리가 필요하다. 선박평형수 위해도평가 및 국외의 선박평형수 정보시스템을 바탕으로 국내 선박평형수 관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정보시스템은 선박평형수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구분하여 4개의 데이터베이스(DB)로 선박운항 DB, 선박평형수 DB, 항만별 환경 DB 및 생물 DB로 구성하였다. 선박운항 DB는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 자료를 통해 구축하고 있으며, 선박평형수 DB는 협약이 발효되기 전이기 때문에 Port-MIS 자료로 부터 화물물동량을 통한 추정식에 의해 구축하고 있다. 항만별 환경 DB 및 생물 DB는 참고문헌, 기존 모니터링 자료 및 실측 모니터링 자료들을 통해 구축해 가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본 정보시스템은 각종 선박평형수 관련 정보의 검색, 통계자료분석 및 위해도평가까지 수행할 수 있으며, 협약 발효시 국내 선박평형수 배출 및 항만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관리 통합정보시스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산약(山藥) 물 추출물의 급성 췌장염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Dioscorea batas Decaisne water extract on acute pancreatitis)

  • 권빛나;배기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8
    • /
    • 2022
  • Objectives : Dioscorea batas Decaisne (DB) has been known to be good for the digestive system on Eastern Asia.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 of DB on acute pancreatitis (AP) has not been studied.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DB water extract on caerulein-induced AP. Methods : To measure the protective effect of DB on AP, Mice were injected with cholecystokinin analogue caerulein (50 ㎍/kg) hourly for 6 times. DB water extract (200 or 400 mg/kg) or salin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orally 1 h before the first injection of caerulein. The mice were sacrificed at 6 h after the last injection of caerulein. The pancreas tissues and serum samples were immediately taken for further analysis. Results :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increase of pancreas weight/body weight ratio, pancreatic histological damage. And the rise of serum lipase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DB water extract treatment group during AP in mice. However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did not show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amylase level. Also, mRNA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𝛼 but not IL-1𝛽 were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Conclusions : Taken together, we found that administration of DB water extract ameliorates the severity of caerulein-induced AP, which suggests the potential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on AP.

유역단위 Framework 공간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of Watershed)

  • 김경탁;최윤석;김주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19-1222
    • /
    • 2004
  • 임의의 유역에서 유역을 관리할 목적으로 GIS DB를 구축할 경우 DEM을 이용하여 유역의 Framework 공간 DB를 구축하는 절차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유역의 Framework 공간 DB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경우는 DEM을 이용하여 유역의 수문지형학적 특성인자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들이 자동으로 공간 DB의 속성으로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반정보인 Framework 공간 DB의 형성 과정에 대해 정의하고 HyGIS를 개발하여 Network 기반의 수자원 통합 유역관리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효율적 제방관리를 위한 DB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Alternatives Database Construction for a Efficient Levee Management)

  • 강경석;이계윤;박기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2-236
    • /
    • 2011
  • 우리나라의 물관련 정보는 국토해양부 및 관련 기관에서 구축 및 운영,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치수, 이수, 환경 및 생태분야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제방에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며, 시스템 DB간의 상호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제방에 대한 DB관리 및 향후 제방의 안전모니터링을 위해 정확하고 다양한 제방관련 DB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방관련 DB구축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구축을 위하여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인 하천일람의 "하천이력관리체계", 유역조사사업의 "WAMIS", 하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RIMGIS"의 관련 자료를 분석한다. 기구축된 시스템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물관리정보 표준과 RIMGIS 관련코드를 적용한 도형 및 속성 정보의 테이블 설계를 수행하며, 기구축된 시스템의 제방관련 수집자료 DB 및 관련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를 구축하도록 한다. 또한 향후 제방의 안전모니터링을 위한 관련항목을 포함하여 제방 유지 및 보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방관련 DB구축은 치수시설물 안전모니터링의 기초를 마련하여 홍수방어 및 관리시스템 구축에 활용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절감하고 기술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홍수 재해로부터 안전한 국토 건설 및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러한 제방관련 DB구축은 기구축된 시스템과 연계하여 국가 홍수관리 시스템 구축, 치수능력증대, 장래유역단위 통합홍수방어 및 관리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Spatial DB for Developing Watersh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 Network)

  • 김경탁;최윤석;김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7-96
    • /
    • 2004
  • 유역의 공간 DB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경우에는 DEM으로부터 유역의 수문학적 지형특성 인자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이들이 자동으로 공간 DB의 속성으로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반정보인 프레임워크 공간 DB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롤 위하여 프레임워크 공간 데이터의 범위를 결정하고, 이들의 상호 연관관계를 정의하였으며 실제 유역을 대상으로 프레임워크 공간 DB률 구축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순수 국내기술로 수자원 공간자료 생성 및 수자원 시스템 개발 모듈인 HyGIS(Hydrolog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개발하였다. HyGI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 및 공간자료를 추출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실제 유역의 프레임워크 공간 DB를 구축하는 기본 데이터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공간 DB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romobenzene으로 유도된 간 손상 마우스에 대한 Microcluster수의 효과 (Detoxification Effect of Microcluster-Water on Bromobenzene-Induced Liver Damaged Mice)

  • 박범호;백경연;이상일;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1-297
    • /
    • 2007
  • McW의 간 해독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총 4개군 즉, 증류수급여군으로 대조군(DC)과 증류수를 3주간 섭취케 한 후 희생직전에 BB를 처리한 군(DB), McW 급여군으로는 McW 대조군(MC)과 McW를 3주간 섭취케 한 후 희생직전에 BB를 처리한 군(MB)의 4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DC군과 MC군의 혈청 ALT 및 AST 활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MB군에서는 DB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간 AH 활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변동이 없었으나 GST 활성은 MC군이 DC군에 비하여, MB군이 DB군에 비하여 각각 높았다. 간 조직의 LPO 함량은 DC 및 MC군이 유사하였으며, DB 및 MB군 모두 DC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MB군이 DB군에 비하여 낮았다. McW의 전자공여능은 DW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 McW는 간 해독효소의 일종인 GST의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McW의 지속적인 섭취에 의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해독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나 추후 계속적인 연구검토가 행해져야할 것이다.

LSTM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도데이터 정제기법 (A Study on the cleansing of water data using LSTM algorithm)

  • 유기현;김종립;신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1-503
    • /
    • 2017
  • 수도분야에서는 정수장 및 관말 관로 상의 전 공정에서 유량, 압력, 수질, 수위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수집되는 데이터는 각 정수장 DB에 저장되며, 권역별 DB에서 합쳐져 수자원공사 본사의 DB 서버에 최종 저장된다. 측정기기가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여러 과정에 걸쳐 데이터가 통신될 때 다양한 이상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으며 크게 결측 데이터와 오측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이상 데이터의 발생원인은 상이하다. 따라서 오측 및 결측 데이터를 검출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실제 이를 정제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의 일종인 LSTM(Long Short Term Memory) 방식을 적용하여 오 결측 데이터를 자동으로 정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고찰한다.

  • PDF

시계열분석과 요인분석에 의한 결정질 암반의 지하수 유동 평가 (Evaluation of Goundwater Flow Pattern at the Site of Crystalline Rock using Time Series and Factor Analyses)

  • 이정환;정해룡;윤시태;김지연;조성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4호
    • /
    • pp.12-22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the pattern of groundwater fluctuation in cyrstalline rock using time series and factor analyses. From the results, groundwater level for the 18 wells was classified into 4 types reflecting the hydrogeological properties and rainfall event. Type 1 (DB1-5, DB1-6, DB2-2, KB-10, KB-13)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oundwater flow through water-conducting features, whereas type 2 (DB1-3, DB1-7, KB-1~KB-3, KB-7, KB-11, KB-14, KB-15) was affected by minor fracture network as well as rainfall event. Type 3 (DB1-1, DB1-2) was mainly influenced by surface infiltration of rainfall event. Type 4 (DB1-8, KB-9) was reflected by the irregular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caused by anisotropy and heterogeneity of crystalline rock.

제2형 당뇨모델 db/db 마우스에서 밀순 물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 Water Extracts in db/db Mice as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Type II)

  • 이선희;임성원;이영미;허정무;이회선;김대기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2-288
    • /
    • 2010
  • We evalu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sprout water extract (TA) in diabetes mellitus type 2. For the experiments, the diabetic animal model db/db mice were divided to 3 groups: diabetic control (db/db) and two experimental groups orally treated with 25 and 100 mg/kg single dose of TA (TA-25 and TA-100, respectively). The lean mice were used as the non-diabetic normal control. All mice have free access to water and AIN-93 diet. TA was administrated to diabetic mice for 5 weeks and the diabetic clinical markers, including blood glucose level, body weight, food intake and insulin level, were measured at a time. After administration for 5 weeks, the blood glucose level was decreased 1.10 and 1.98 folds in TA-25 and TA-100 groups, respectively, compared with db/db group. The body weight and diet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A treatment in dose-dependent manner. The treatments of TA-100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remarkedly liver weight and slightly serum insulin levels when compared with them of the diabetic control group. However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nsulin clearly showed high expression of insulin in the pancreatic islet cells derived from all db/db mice, even if TA was administrated. Moreover, TA-100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diabetic db/db mice. The results suggest that TA has anti-hyperglycemic effect attenuating blood glucose in the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and might be useful as a functional diet for human diabetic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