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gas

검색결과 1,141건 처리시간 0.026초

폐윤활유의 아크 열분해 생성물 및 잔류물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Product Gas and Residues from Arc Cracking of Waste Lubricating Oil)

  • 김인태;김정국;송금주;서용칠;김준형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5호
    • /
    • pp.34-43
    • /
    • 1999
  • 폐윤활유로부터 활융가능한 연료기체를 생산하기 위해 개발한 전기아크를 이용한 분해자치에서 폐윤활유를 아크 분해할 때의 기체생성물과 잔류물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생성되는 기체는 수소(35~40%)와 아세틸렌(13~20%), 에틸렌(3~4%), 그 외 탄산수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온 열분해에서는 주요 생성물인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매우 적었다. 발생기체의 발열량은 11,000~13,000kacl/kg으로 기체 연료로의 활용성이 충분하여 유해기체도 배출기준치 이하였다. 액상 잔류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폐유의 고분자량 탄화수소물들이 저분자량 탄화수소물과 수소로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전지아크에 의한 고온 열분해이므로 탈수소반응이 주 반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상 잔류물인 검댕이 평균 입경은 $10.3\mu\;extrm{m}$이며, 탄소 함량은 60%이상이고, 중금속 성분은 0.01ppm 이하였는데 전제과정을 거치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시설의 효율적 에너지회수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운전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conditon of Effective Energy Recovery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by the facility using Waste / Biomass fuel)

  • 주원혁;여운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1호
    • /
    • pp.83-95
    • /
    • 2020
  • 폐기물을 이용한 공공 자원회수시설, BIO-SRF를 이용한 민간 열원시설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에 있어 투자 대비 회수 기간의 경제성 문제가 대두 되었고, 이로 인하여 기존에 통상적으로 설계 시공 운영 되었던 온도, 압력 조건 범위값을 넘어서 실현 가능한 최적의 온도, 압력 조건의 열원 설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열원시설을 대상으로 온도와 압력 조건에 따른 모델링을 통하여 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분석하였고, 도출된 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 연료를 이용한 열에너지 생산시설의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을 위해서는 고온의 온도와 고압의 압력 생산시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이 이루어지고 경제성 있는 투자와 회수로 이루어지리라 판단된다.

우리나라 음식물 쓰레기의 혐기성소화 가스 성분과 발열량 예측 (Estimation of Sludge Gas Composition and Heating Value from Anaerobically Digested Korean Food Wastes)

  • 장호남;홍원희;이태용;장승택;정창문;박영숙
    • 청정기술
    • /
    • 제9권1호
    • /
    • pp.23-28
    • /
    • 2003
  •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연간 410만톤으로 이는 82만톤의 유기물에 해당한다. 이를 사료 혹은 퇴비로 사용하려는 노력은 최근 한계에 달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발효로 메탄을 생산하는 것을 고려하여 메탄함량, 총에너지 생산량 등을 산출 하였다. 음식물 쓰레기를 전부 혐기성으로 처리하면 호기성 방법 보다 연간 약 3,000억원의 이득이 있으며 이 때 생산되는 메탄량은 4.4억톤 $m^3$로 우리나라에서 연간 사용하는 총 도시가스 128억톤 $m^3$의 3.43%에 해당한다. 특히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현장 처리하여 생기는 메탄은 주방용 도시가스의 28.9%에 해당하는 양이다.

  • PDF

엔진 폐열 회수를 위한 랭킨 스팀 사이클 설계 및 HT Boiler의 성능 평가 (Design of Rankine Steam Cycle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HT Boiler for Engine Waste Heat Recovery)

  • 허형석;배석정;이동혁;이헌균;김태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1-29
    • /
    • 2012
  • A dual loop waste heat recovery system with Rankine steam cycles for the improvement of fuel efficiency of gasoline vehicles has been investigated. A high temperature loop (HT loop) only recovers the heat of the exhaust gas. A low temperature loop (LT loop) recovers the residual heat from the HT loop, the coolant heat and the remaining exhaust gas heat. The two separate loops are coupled with a heat exchanger. This paper has dealt with a layout of the dual loop system, the review of the working fluids, and the design of the cycle. The design point and the target heat recovery of the HT boiler, a core part of a HT loop, have been presented. The prototype of the HT boiler was evaluated by experiment.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HT boiler, inlet temperature of the HT boiler working fluid was set equal to the temperature degree of sub-cool of $5^{\circ}C$ at the condensing pressure. The exit condition was the degree of super-heat set at $5^{\circ}C$. The characteristics of the HT boiler such as heat recovery and pressure drops of fluids were evaluated with varying flow rates and inlet temperatures of exhaust gas under various evaporating pressure conditions.

선박의 해수 온도차를 이용한 ORC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ip's ORC Power System using Seawater Temperature Difference)

  • 오철;송영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9-35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CO_2$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선박에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고 재활용하여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조사하고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ORC(Organic Rankine Cycle) 발전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하였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열원으로 하는 유기냉매 랭킨사이클을 구성하는 방안과 열에너지 비중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해수냉각 시스템으로 배출되는 열에너지를 재활용하여 터빈 발전기를 구동하는 ORC 발전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스템 해석 결과 배기가스에서는 1,000kW급, 해수 냉각 시스템에서는 650kW급 발전 출력을 얻을 수 있었고, 다양한 친환경 유기냉매를 이용하여 온도와 유량 조건에 따른 열 해석을 실시하여 시스템의 효율과 출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國內産) RDF의 배출(排出)가스 특성(特性) 비교실험(比較實驗) (A Comparative Experiment on the Emission Gas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DF)

  • 박명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6호
    • /
    • pp.46-51
    • /
    • 2007
  • 본 연구는 에너지의 합리적 이용 및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하여 고효율 폐기물 고형연료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는 킬른과 같은 대형연소장치에 집중하여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화격자연소방식인 열용량 $66{\sim}132m^2$ 규모의 소용량 열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은 RDF, 코크스 및 폐타이어 3종류의 연료를 이용하여 질량값 및 열량값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CO, $CO_2$, NO, $NO_2$ 등의 연소가스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소가스분석결과 RDF의 CO 농도값은 코크스와 폐타이어보다 높았으며. RDF 및 코크스의 NO, $CO_2$, $SO_2$의 농도값은 폐타이어보다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천연가스 정압기지의 압력강하를 이용한 터보팽창기 전력생산 (Turbo Expander Power Generation Using Pressure Drop at Valve Station in Natural Gas Transportation Pipeline)

  • 하종만;홍성호;유현석;김경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
    • /
    • 2012
  • 고압으로 수송되는 천연가스를 수요처에 공급하는 정압기지에서는 강제로 감압하여 보내준다. 이 때, 버려지는 압력에너지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터보팽창기를 이용한 전력생산이 가능하며, 터보팽창기는 정압과 전력생산의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터보팽창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양은 유동전후의 엔탈피 차이며, 경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로는 설비비, 전력생산량, 예열량, 전력가격, 가스가격의 5가지이다. 입구와 출구의 압력과 온도 조건이 고정되므로, 전력생산량은 결국 유량에 좌우된다. 따라서, 천연가스 수요의 계절별 수급변화 패턴에 따른 터보팽창기 적정용량을 결정하는 것이 경제성확보의 핵심기술이다. 유동량변화가 심한 경우의 전력생산량 산정법의 algorithm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사용한 case study를 수행하였다.

공기주입 방식을 이용한 매립모형조내 폐기물 안정화 (Stabilization of Solid Waste in Lysimeter by Air Injection Mode)

  • 김경;박준석;이환;이철효;김정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22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ir injection mode on stabilization of solid waste in lysimeter. For three lysimeters, one was maintained under anaerobic condition as control, and air was injected into two lysimeters in continuous mode (atmospheric pressure) and intermittent mode (high pressure of 2 bar). Distilled water was sprayed over solid waste in 1.4 l/$m^3$(solid waste)/day, supposing rainfall intensity of 1,200 mm/yr and 30% infiltration. Oxygen in landfill gas was not detected in control lysimeter during operational days. After 30 day-aeration, oxygen concentration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modes were maintained in 14% and 6%, respectively. $COD_{Cr}$ removal efficiencie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modes were about 70% and 50%, and BOD5 removal efficiencies were about 80% and 20%, respectively. In view of oxygen supply, and $COD_{Cr}$ and $BOD_5$ removal, continuous air injection mode of atmospheric pressure was more effective than intermittent mode of 2 bar. Settling degree of solid waste in case of two air injection modes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of anaerobic condition as control.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t was thought that air injection (especially continuous atmospheric pressure) could improve degradation of solid waste and induce preliminary stabilization in landfill site.

환경성평가를 통한 비위생 매립지 정비방안 (Uncontrolled Landfill Maintenance Plans through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 이해승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3호
    • /
    • pp.59-71
    • /
    • 2008
  •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esent the uncontrolled landfill maintenance plans by diversely review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landfill and environmental effects and economical issues resulted from the operation of landfill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optimal maintenance plans applicable to the uncontrolled landfill and unused landfill located in Korea. We perform the basic and precise surveys against three landfill sites showing the biggest problem out of 8 unsanitary landfills sites located in Y County. We compare and review the treatment plans prepared and operated by the N Landfill. The compared and reviewed results show that the local stabilization plan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cavation and transfer treatment plan when considering the economic efficiency only. However, the excavation and transfer treatment plan is valid when considering the diverse elements. The G Landfill is operated with separated into living waste landfill section and construction waste landfill section. However, some landfill gas collection bores or holes are installed in its living waste landfill section, which has not been used for about 20 years, as a part of follow-up control. The element causing the environmental damage is considerably reduced in its living waste landfill section. However, the effort to keep the follow-up control through the local stabilization work is required. The landfill is under processing in the construction waste landfill section. However, most of buried wastes are the inorganic wastes such as waste materials and concrete, so the maintenance plan focused on the use of top land by installing the local stabilization facilities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plan. The landfill is under processing in the K Landfill. It seems to be difficult to maintain this landfill through the local stabilization. The excavation and transfer treatment plan to completely remove the potential environmental pollution source is considered as the valid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