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form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38초

해체 콘크리트 폐기물 최종처분을 위한 시멘트 고화체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Cement Waste Form for Final Disposal of Decommissioned Concrete Waste)

  • 이윤지;황두성;이기원;정경환;문제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1-280
    • /
    • 2013
  • 원자력 발전소와 연구시설의 해체 시 다량의 오염된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한다. 현재 국내에는 연구로 1, 2호기의 해체와 제염사업이 진행 중이며, 약 800여 드럼 (200 L)의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하였다. 이들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은 최종처분을 위해 200 L 드럼에 덩어리 크기의 콘크리트를 채우고, 시멘트 모르타르 형태로 제조한 입자상 폐기물로 빈 공간을 채우며 혼용 고정화 및 안정화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폐기물, 물, 시멘트의 최적의 혼합비율을 찾고, 처분장 폐기물 인수기준에 준하기 위한 고화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모르타르 유동도, 고화체 압축강도, 침출에 대한 안정성, 열 저항성 등의 인자에 따라 평가한 결과, 콘크리트 폐기물, 물, 시멘트의 배합비 75:15:10wt%에서 평가인자 기준에 도달하였으며, 콘크리트 폐기물 75%에 미분말 콘크리트 폐기물을 최대 40wt%까지 포함시켜 시멘트 고화체를 제조한 경우에도 압축강도를 만족하였다. 입자의 충진 밀도의 증가로 scale-up실험에서는 75:10:15wt%의 배합비에서 작업도 및 압축강도 범위를 만족하였다.

방사성고화체로부터의 $^{60}$ Co, $^{137}$ Cs 침출에 대한 표준시험법의 상호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f Various Standard Methods in Leaching Test of Radioactive Waste Form)

  • 김기홍;유영걸;정경기;홍권표;이락희;정의영;고덕준;김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3-103
    • /
    • 2003
  • IAEA, FT-04-020 및 ANS 16.1의 침출시험법을 각각 수행하여 얻은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상호 비교 평가하였다. 붕산을 함유한 파라핀 및 시멘트 고화체에서의 $^{60}$Co 과 $^{137}$Cs의 ANS 16.1의 침출지수는 6이상이었으나 고화매질과 탈염수의 종류에 따라 상반되는 침출거동을 보였다. 침출수로 합성해수와 탈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60}$Co는 시멘트 고화체에서는 합성해수, 파라핀 고화체에서는 탈염수에서 침출이 높았다. 반면에 $^{137}$Cs의 침출정도는 시멘트에서는 탈염수, 파라핀에서는 합성해수에서 높았다. $^{60}$Co의 침출분율은 시멘트 고화체에서 IAEA > ANS > FT의 순으로 높았으며, 반대로 파라핀고화체에서는 이의 역순이었다.

  • PDF

건식처리에서 염폐기물 재생공정 필요성 (I) - 폐기물 감량 측면 - (Necessity of Waste Salt Regeneration in Pyroprocessing (I) - In View of Waste Reduction -)

  • 김정국;김인태;박근일;권상운;유재형;김준형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180-185
    • /
    • 2003
  • 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현재의 건식처리공정에서 발생될 용융염폐기물로 인한 최종 고화체의 발생량을 재생/재순환 공정을 도입할 경우와 비교하여 최종 고화체 발생량 감소와 이로 인한 재료비 절감액을 계산하였다. 현재까지 확보된 자료와 가정 하에 계산한 결과 1 ton HM을 처리하는 것을 기준으로 차세대관리공정 발생 LiCl염폐기물의 최종 고화체는 5.4 톤에서 1.7 톤으로 약 3.7 톤 (부피로는 $1.6m^3$) 줄게 되고, 1 ton U 규모의 전해정련공정 발생 LiCl-KCl 공융염폐기물의 최종 고화체는 2.7 톤에서 0.4 톤으로 약 2.3 톤 (부피로는 $1.0m^3$)이 줄어드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추정으로부터 건식처리공정이 보다 더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생처리공정의 도입이 꼭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방사성폐기물 아스팔트 고화체 안정화 특성연구 (A Development of the Stabilization Technology for the Solid Form of Radioactive Waste)

  • 김태국;이영희;이강무;안섬진;손종식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202-20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아스팔트고화체를 장기간 저장시 형태유지가 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을 고화보조제로 아스팔트에 첨가하여 전처리의 분쇄 공정 없이 입상수지를 직접 고화처리 함으로서 시멘트 고화체처럼 형태안정성을 지니는 아스팔트 고화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화체의 침출특성을 평가하여 실제 방사성 폐이온 교환수지 처리에 적용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고화보조제인 폴리에틸렌은 아스팔트와 폐수지가 혼합된 고화체내에서 가교역활을 하며 PE 함유량이 10 wt% 이상일 때 장기간 노출실험에서도 고화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최적조업조건은 폐수지의 함유량이 무게비로 40wt% 이고 PE의 함유량이 10wt%이며 이때 고화체내부에 수지입자의 밀도도 균일하게 분포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은 폐이온교환수지에 아스팔트를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에틸렌(PE) 필름을 고화보조제로 첨가함으로서 고화체의 균일성, 수분과 접촉시 고화체의 침출을 최저로 하는 안정된 고화체를 개발하였다.

  • PDF

A review on the effect of marble waste on properties of green concrete

  • Rachid Djebien;Amel Bouabaz;Yassine Abbas;Yasser N. Ziada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5권1호
    • /
    • pp.63-74
    • /
    • 2023
  • All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produce wastes, which often cause damage to our environment and multiple risks to the human health. The valorization of these wastes in concrete technology is a future solution that will allow finding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sources,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Among these wastes, there is the marble waste. Every year, huge amount of marble waste is discarded as dust or aggregates form, in open-air storage areas causing serious problems for th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In this context, the incorporation of marble waste as a replacement of ordinary aggregates or cement in concrete composition is actively investigated by researcher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published studies over the last 20 years, dealing the effect of marble waste on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concrete. Most of the studies carried out have used marble waste as dust with substitution rates between 5 and 20%. Besides the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this review showed that marble waste can improve the physical, mechanical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concrete. This improvement depends on the form (dust, fine aggregate or coarse aggregate), substitution method (as cement or aggregates replacement) and substitution rate of marble waste. Additionally, the review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10-15% of marble waste dust as cement substitution can lead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