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cotto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느타리 재배용 폐면 발효 중의 화학성 및 미생물 상의 변화 (Change of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Cotton Waste for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전창성;장갑열;조수묵;오세종;박정식;원항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5-111
    • /
    • 2004
  • 느타리 재배시 배지발효 조건이 배지내 이화학성분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형발효기에서 온도와 통기량을 조절하여 배지내 이화학성 및 미생물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혐기 발효시 pH는 호기발효보다 상당히 낮았으나 암모니아태 질소는 높았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6일째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암모니아는 발효 초기에 다량 발생후 3일째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세균의 경우 중온성은 감소하고 고온성은 증가하였으나 사상균은 고온 및 중온 모두 감소하였으며, 혐기발효시 호기발효보다 고온성 세균, 사상균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발효온도 별 배지의 느타리균사 생장속도는 $50^{\circ}C$에서 통기량을 100cc/min에서 발효시킨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중 배지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isolated from Cotton Waste Media for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전창성;정종천;오진아;한혜수;엄나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4
    • /
    • 2010
  • 본 시험은 재배과정 중 균상배지에서 분리한 세균들의 특성을 조사하여 버섯균의 생육 및 병원균과의 연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정상적으로 버섯을 수확한 농가의 경우 버섯생육초기에 분리한 세균일수록 버섯균주에 대해 저해정도가 감소하였으나,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버섯 수확에 실패한 농가의 경우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합성배지에 분리세균을 도말한 후 느타리버섯 균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정상적 농가의 경우 살균 직후 보다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였지만, 실패한 농가는 오히려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톱밥배지에서는 버섯생육초기보다 후기에 분리한 세균이 저해하는 정도가 오히려 낮았다. 또한 이들 분리 세균은 분비성 물질을 통해서 버섯균의 생육과 증식에 영향을 미쳤다. 분리 미생물 중 세균성갈반병의 원인균인 Pseudomonas tolaasii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은 거의 없었으며 소수의 균주에서 약한 길항력을 보였다. 그러나 세균성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P. agarici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력을 보이는 균주가 많이 존재하였으며, 푸른곰팡이병의 원인균인 Trichoderma harzianum을 강하게 억제하는 미생물도 배지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배지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고 이들 다양한 미생물과 버섯균의 상호작용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느타리버섯 재배과정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느타리버섯 자실체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ubstrate on the Growth and Microstructure of Fruit Body in the Basidiomycetes, Pleurotus ostreatus.)

  • 주영철;윤선미;강희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72-1277
    • /
    • 2007
  •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형성과정에서 생육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배지기재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배지의 종류에 따른 초발이소요일수는 폐면이 5일로 가장 빨랐고 볏짚은 대조와 같이 6일이었다. 볏짚과 폐면에서 생육한 느타리의 경도는 대조의 5715.4 $g/cm^2$에 비해 1/2정도로 낮게 나타났으나 톱밥 단독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의 경도는 17067.3 $g/cm^2$으로 3배이상의 높은 경도를 나타내어 톱방이 느타리버섯의 경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지별 느타리자실체의 갓부위를 관찰한 결과, 톱밥배지의 경우 다른 자실체의 주름으로부터 비산된 담자포자들이 대량으로 떨어져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볏짚배지의 경우 갓낭상체의 발달이 관찰되었으며 폐면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의 균사와 노화가 다른 처리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톱밥 및 폐면에서 생육한 자실체의 갓의 균사의 노화가 다른 처리에 비해 빠르게 진행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톱밥 및 폐면에서 생육시킨 느타리자실체의 담자기의 자가분해 및 담자포자 비산이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톱밥배지에서 생육시킨 느타리자실체의 대부의 균사의 생육상태는 두꺼운 균사다발이 대부위 전체를 피복한 듯한 형태가 관찰되어 이러한 균사다발층이 대의 경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대조군에서는 풍부한 세포질 물질을 갖는 균사들이 관찰된데 반해, 톱밥에서 생육시킨 느타리자실체의 균사는 다른 처리에 비해 착색이 많이 되어 있는 균사와 액포화된 균사의 발달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톱밥 및 농업부산물 이용 배지상에서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의 균사생장 및 자실체형성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Hericium erinaceum in Sawdust and Agricultural By-product Substrates)

  • 고한규;박혁구;김성환;박원목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9-94
    • /
    • 2004
  • 본 실험은 다양한 농가부산물들이 노루궁데이버섯의 재배를 위한 기질로써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참나무 톱밥, 사탕수수박, 코코낫박, 율무박, 왕겨, 배추, 면자각의 기본 기질들과 미강, 옥수수박의 첨가물을 서로 다른 비율과 조성을 통하여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접종한 후,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을 조사 비교하였다. 참나무 톱밥 80%+미강 20%의 기질이 우수한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을 보여 종균용 기질로써 적합하였다. 이러한 기질 조성의 적합성은 병재배법을 이용하는 농가에서 3개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사용하여 행한 실증실험에서 입증되었다. 그러나 봉지재배법을 이용한 농가 실증시험에서는 면자각 40%+참나무 톱밥 40% 기질에 옥수수 및 미강을 각각 10%씩 영양원으로 첨가한 기질에서 자실체 생산 및 생물학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가공폐유를 이용한 비누의 계면활성과 세척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Activity and Detergency of the Soap Made from the Waste Oil from Food Manufacturing Proces)

  • 정명섭;유덕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61-673
    • /
    • 1994
  • We have gathered a fatty acid to recycle the waste oil of food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n made a soap from the waste oil by alkali saponification. Effects of the washing element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the soap, temperature and time were evaluated to find out the optimum washing conditions, and results are as follows. 1. We could find soaps made from the soybean oil (A), corn oil (B), rape seed salad oil (C), cotton seed oil (D) and a soap consisting of the each oil 25% respectively (I) had the lowest surface tension at the concentration of 0.225% -0.25%. Compared with the single fatty-acid soap, the multi-component soap I showed the lower surface tension at the cmc. 2. All the samples of A-I showed the lowest contact angle for the solid material at the concentration of 0.25%. The multi-component soap of I showed higher contact angle than the single.component soaps of A, B, C and D. 3. The soap G, made from the waste oil, show lower surface tension than 5, made from the complex raw fats of the eatable fatty oil acid and H, commercial soap. 4. The washing efficiency depends on the washing time. Especially the 25-minute was found to be the optimum washing time. 5. The highest washing efficiency was found at the 0.25% cont. reagardless of the washing temperature. At 0.15% concentration level the washing efficiency reduces as washing tem- perature increases. At 0.3% concentration level the highest washing efficiency was found between $50^{\circ}$-$60^{\circ}$. 6. The soap made from the waste oil showed the highest washing efficiency in terms of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7. The soap made from the waste oil showed the similiar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 to the synthetic detergent. 8. The hand value of the fabric washed by the soap made from the waste oil was a little lower value than those washed by the synthetic detergent.

  • PDF

Development of Neutaribeosut Varieties (Pleurotus ostreatus) Chongpung, Myongwol

  • Lee, He-Duck;Kim, Hong-Kyu;Kim, Young-Gyun;Han, Kyu-Heng;Min, Kwang-Ho;Jeong, Tae-Wo;Lee, Jae-Jung;Jeon, Tae-Sun;Kim, Duck-wan;Kim, Hun-Sick;Han, Jong-Ku
    • Plant Resources
    • /
    • 제3권2호
    • /
    • pp.105-109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 useful mushroom at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 Twenty materials used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and exotic area. These races were compared bontanical characteristics to leading varieties by PCR-RAPD methods. Mycelial growth temperature of Chongpung and Myongwol were at 20 to 25 $^{\circ}C$ and 25 to 30 $^{\circ}C$ at PDA medium, respectively mycelial growth of these varieties were similiar at pH 6.5 to 7.5. In case of mushroom cultivation temperature ranges, Chongpung was at 5 to 26$^{\circ}C$ and Myongwol was at 7 to 28$^{\circ}C$, but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these were appeared at 15 to 19$^{\circ}C$. Culture temperature of these was 23$^{\circ}C$ and period of mycelial culture was needed 23 to 24 days under 850cc/pp, while was needed 11 to 12 days at waste cotton medium. Cap color of these at first inducing mushroom was all dark blue, but at late growing stages Chongpung was shown as grey, and Myongwol was shown as dark grey. Yield of Chongpung was appeared as 46kg/3.3$m^2$ and that of Myongwol was 41kg /3.3$m^2$, while Chunchu No2 as check was 40kg/3.3$m^2$. Results from PDA medium and PCR-RAPD analysis two of these were different from others.

  • PDF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중 배지내 미생물상의 변화 및 분포양상 (Changes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Microflora in Cotton Waste Media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윤형식;전창성;정종천;한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0-154
    • /
    • 2009
  • The diversity of microflora according to growth stage of Pleurotus ostreatu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be and medium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In farmhouse I, the aerobic bacteria and fungi as longer of growing period were increased. And, thermophilic bacteria and fluorescent Pseudomonas sp. showed high density at the early stage of spawn inoculation. The thermophilic actinomycetes were distributed evenly during all the growing period, but mesophilic actinomycetes were not observed. In farmhouse II, thermophilic actinomycetes were not observed in fermented medium and density of fungi were suddenly increased at 60 days after spawn inoculation. And also, mushrooms can hardly be harvested due to Penicillium spp. After medium fermentation, density of aerobic bacteria, thermophilic bacteria, and fluorescent Pseudomonas sp. was higher at farmhouse I than those of farmhouse II. In farmhouse I,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dominated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but as time goes by, density of Bacillus sp. was higher than the others. And also, the kind of microbe showed a few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but increased as time goes by. In farmhouse II, Bacillus sp. was dominated at early stage of mushroom growth. And the growth of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showed intersect aspect each other in the farmhouse I but Bacillus sp. dominated during all growth periods in the farmhouse II.

느타리버섯 폐면배지의 발효조건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tton Waste Substrate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for Oyster Mushroom Bed Cultivation)

  • 하태문;윤선미;주영철;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3-171
    • /
    • 2008
  • 느타리버섯 폐면배지 야외발효기간중 피복재 종류별 배지의 이화학적 변화와 균배양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온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5일${\sim}$발효 7일째 최고온도 $75^{\circ}C$ 도달 후 천천히 낮아졌고, 배지의 깊이에 따른 온도차이는 크지 않았다.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배지온도변화의 양상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와 비슷하였으나 최고온도가 약 $60^{\circ}C$ 정도였고 배지 깊이별로 온도차이가 컸으며 배지 깊이 10 cm 부위에서 높았다. 배지내 수분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수분함량 감소가 많았다. 살균전.후의 배지수분함량변화는 살균 시 수분 보충으로 살균 후 수분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배지 pH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져 발효 $9{\sim}12$일째 pH 8.9까지 상승하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30 cm와 50 cm 부위에서 pH $5.0{\sim}5.6$ 정도로 낮아졌다. 배지 총 탄소 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낮았고, 총질소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높았다. 배지내 산소농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감소한 후 9일째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10 cm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1% 이하로 낮았다. 배지내 이산화탄소농도는 산소농도 변화와 반대로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증가한 후 9일째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암모니아 함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 깊이 10 cm와 3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50 cm 부위에서 약 $12{\sim}19\;ppm$이었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깊이 1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30 cm와 50 cm 깊이에서는 $20{\sim}85\;ppm$ 정도로 높았다. 배지발효조건 및 발효기간별 균배양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12{\sim}14$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15{\sim}19$일보다 짧았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0{\sim}23$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7{\sim}32$일보다 짧았다. 배양율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3일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100%로 높았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50{\sim}85%$ 낮았다. 수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길수록 수량이 증가하여 발효9일째 23.6 kg(건조배지 44 kg당)으로 높았다.

은행나무 수피 추출액에 의한 천연섬유의 염색(Ⅰ) - 색소분석 및 염착성 - (Dyeing of Natural Fibers with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Ⅰ) - Pigments Analysis and Dyeability -)

  • 최순화;조용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8-18
    • /
    • 2001
  • Natural colorant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because of their non-hazardous nature.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ozone layer depletion, water pollution and waste disposal problems. The use of synthetic dyestuffs for their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the dyeing industries has been criticized due to introduction of contaminants into the environment. This has led to the desire to turn to the traditional, and more natural way of life. In this study, the colorants of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were analysed and their dyeing properties on silk, wool and cotton were studied. It was found that uv-visible absorption spectra of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showed two strong absorption peaks in the range of 240∼400 nm. From the result of IR spectra, the major ingredient of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seems to be the flavon which is one of the flavonoid derivatives. Silk, wool, and cotton dyed with the extract of Ginkgo biloba bark showed a reddish yellow color. Their color differences were increased drastically with repetition of dyeing by three times.

Equilibrium Removal of Pb (II) Ions from Aqueous Solution onto Oxidized-KOH-Activated Carbons

  • Fathy, Nady A.;El-Sherif, Iman Y.
    • Carbon letters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11
  • In the present study, the removal of Pb (II) ions on oxidized activated carbons (ACs) was investigated. ACs were derived from activation of indigenous cotton stalks waste with potassium hydroxide (KOH) in two-stage process. The KOH-ACs were subjected to liquid-phase oxidation with hot $HNO_3$ and one untreated sample was included for comparison. The obtained carbons were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lurry pH and $N_2$-adsorption at 77 K, respectively. Adsorption capacity of Pb (II) ions on the resultant carbons was determined by batch equilibrium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oxidation with nitric acid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mass of yield as well as a remarkable reduction in internal porosity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carbon. The AC-800N revealed higher adsorption capacity than that of AC-800, although the former sample exhibited low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It was observe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enhancement attributed to pore widening, the generation of oxygen functional groups and potassium containing compounds leading to cation-exchange on the carbon surfa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oxidized carbons represented prospective adsorbents for enhancing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waste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