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p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3초

Review of the genus Eopompilus Gussakovskij, 1932 (Hymenoptera: Pompilidae) in South Korea

  • Kim, Jeong-Kyu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94-201
    • /
    • 2022
  • Species of the genus Eopompilus Gussakovskij, 1932 from South Korea are reviewed. Three species are confirmed: E. internalis, E. luteus, and E. minor. Eopompilus luteu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is easily separated from its congers by markedly extensive coloration and comparatively large body size in both sexes. Females are characterized by yellowish wing, light brown stigma and veins, lacking of subapical or apical dark fascia on forewing. Males are characterized by serrate antenna formed by submesal convex on each flagellomeres 2-11, symmetrical claws of fore tarsus, hypopygium widened basally and forming a rhomboid plate, lacking of dark fasciae in forewing. The specimen identified as Cryptocheilus nicevilli Bingham from Korea by Kim (1970) is examined and is reclassified as conspecific with E. luteus. A key is presented of the three species complemented by digital images and diagnosis.

New Record of the Subfamily Amiseginae (Hymenoptera: Chrysididae) from Korea

  • Jeong-Kyu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1호
    • /
    • pp.58-60
    • /
    • 2023
  • A cuckoo wasp species Nipponosega yamanei Kurzenko & Lelej is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Of the two forms known from Japan, it is more similar to yamanei-form than kantoensis-form: eye margin almost evenly rounded in frontal view. The species of the two subfamilies, Chrysidinae and Cleptinae, have been listed for the Korean fauna. This species is the first representative of the third subfamily Amiseginae in Korea. It is known to be endemic to Japan. Thus, the distributional range of this species has been extended to the continental part herein. A description is made for further morphological comprehension on the basis of Korean materials.

한국산 미기록 기생벌 2종(벌목: 깡충좀벌과)에 대한 보고 (New Records of the Two Species of Parasitoid Wasps (Hymenoptera: Encyrtidae) from South Korea)

  • 유영혁;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9-42
    • /
    • 2023
  • 깡충좀벌과에 속하는 Neastymachus japonicus (Tachikawa,1970)와 Boucekiella depressa Hoffer, 1954 2종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기술, 분포, 삽화를 수록한다.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Phaedrotom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속 2종에 대한 보고 (Two New Records of Braconid Wasps, Genus Phaedrotom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9-13
    • /
    • 2023
  • Phaedrotoma속은 주로 과실파리과, 혹파리과, 물가파리과, 꽃파리과, 똥파리과, 초파리과의 유충에 기생을 하는 고치벌로 한국에는 12종이 기록되어 있다. 본 조사연구 결과로 Phaedrotoma rugulifera와 Phaedrotoma vermiculifera 2종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이들의 표본은 쓸어잡기로 채집되었다. 두 종의 기술과 진단형질도판을 수록한다.

Taxonomic Review of Chrysis smaragdula Group (Hymenoptera: Chrysididae) from Korea

  • Jeong-Kyu Kim;Minkyu J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2호
    • /
    • pp.150-156
    • /
    • 2024
  • A taxonomic review of the Korean Chrysis smaragdula group (Hymenoptera: Chrysididae), characterized by the six apical teeth (including lateral angles or obtuse protuberances) of metasomal tergum 3, is presented. Three species, namely Chrysis daphne, C. equestris, C. principalis, are included herein. Of these, C. equestreis is record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Chrysis daphne is a corrected name for the previous Korean records under the name of C. fasciata. A determination key to species complemented with illustrations is made. Additional diagnoses including color variations and descriptions of male genitalia (unavailable in C. equestris) based on Korean materials are also provided.

New Host Plants of Charops striatus (Uchida) (Hymenoptera: Ichneumonidae: Campopleginae) from South Korea

  • Jin-Kyung Choi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5권2호
    • /
    • pp.68-70
    • /
    • 2024
  • The genus Charops is one of the small genera of the subfamily Campopleginae with 30 species reporded worldwide. All of the known host insects of Charops striatus belong to the lepidopteran family Zygaenidae, perceived as harmful. C. striatus, one of the endoparasitoids from Elcysma westwoodi, is the most damaging lepidopteran pest of Prunus yedoensis. In South Korea, host plants of C. striatus were reported by Choi & Lee in 2008. In this paper, two new host plants, Crepidiastrum denticulatum and Zea mays, of Charops striatus are rep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Digital images and redescription of this species are provided.

끝동매미충 난기생봉(Gonatocerus sp. y)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 of Gonatocerus sp. y (Hymenoptera: Mymaridae), an Egg Parasite of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김정부;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8-165
    • /
    • 1984
  • 본 연구는 1982연과 1983년 끝동매미충의 난기생봉중에 우종인 Gonatocerus sp. y의 생태를 실내와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onatocerus sp. y의 난에서 성충으로 우화되기까지 평균발육기간은 $15^{\circ}C,\;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53일, 25일, 15일 및 12일이였다. 2.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15^{\circ}C,\;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28개, 48개, 42개 및 32개였고 산란기간은 대부분 $1\~2$일 이내였으며 최고 산란수는 98개였다. 3. 성충의 우화는 전체의 $76\%$가 아침에 이루어 졌으며 오후에는 거의 우화하지 않았다. 4. 성충의 우화성비는 암수의 비율이 4 : 1인 것이 가장 많았다. 5. 성충의 수명은 물보다 꿀물을 먹이로 주었을 때가 현저히 길어졌으며 수컷보다 암컷이 다소 길어졌다. 그리고 꿀물을 주었을 때 암컷의 평균 수명은 $15^{\circ}C$에서 30일, $20^{\circ}C$에서 15일이였다. 6. 휴한답의 둑새풀에 산란된 끝동매미충 난에 대한 시기별 Gonatocerus sp. y의 기생율은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가장 높았다. 7. 휴한답에 있어서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 사이에 지역별로 조사한 본 난기생봉의 기생율은 거창, 남지, 진주지방에서 $49.0\~59.5\%$, 남해, 김해지역에서 $23.2\~26.0\% $였다. 8.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대충(6월 하순경발생)과 3세대충(8월 하순경 발생)에 대한 본 난기생봉의 기생율은 각각 $12.3\%$$24.6\%$였다.

  • PDF

시설재배 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주요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 (Control Efficacy of Natural Enemies on Four Arthropod Pests found in Greenhouse Hot Pepper)

  • 김정환;변영웅;최만영;지창우;허수영;박은미;강은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3-90
    • /
    • 2012
  •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 발생하는 4종의 해충에 대한 천적이용 효과를 660 $m^2$의 면적에서 조사하였다. 진딧물은 3포트의 진디벌-뱅커플랜트와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m^2$당 4월16일 0.8 마리와 4월 23일 2.3 마리를 방사하여 진딧물을 성공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 총채벌레 방제를 위해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5월 11일과 6월 12일 $m^2$당 총 3.0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 동안 총채벌레 밀도를 꽃 당 0.3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11일과 5월 30일 $m^2$당 총 113.7 마리를 방사하여 작기동안 담배가루 이 밀도를 트랩 당 171.0마리 이내, 차응애 밀도는 잎 당 0.8 마리 이내로 억제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 방사 12일 후에 완전방제 되었다. 4종 해충의 방제에 소요된 천적사용 비용은 660 $m^2$당 42만원이었다.

복숭아씨살이좀벌(Eurytoma maslovskii)의 기주, 발생양상 및 산란특성 (Host Plant, Occurrence, and Oviposition of the Eurytomid wasp Eurytoma maslovskii in Korea)

  • 이성민;김세진;양창열;신종섭;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81-389
    • /
    • 2014
  • 매실의 낙과 피해를 일으키는 복숭아씨살이좀벌은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지역의 매실과 살구, 그리고 중국산 복숭아 종자에서 확인되었다. 복숭아씨살이좀벌은 땅에 떨어진 핵과류의 핵 속에서 유충 상태로 월동하고, 노숙유충은 4월 중순까지, 번데기는 3월 하순에서 4월 하순까지 관찰되었으며, 성충은 4월 하순~5월 상순 사이에 90% 이상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컷 성충은 핵이 경화되기 이전 씨앗이 액상일 때 과실 씨앗의 외피 바로 밑에 산란하였으며, 산란관의 길이가 5 mm를 넘지 않아 산란이 가능한 매실의 크기는 직경이 2 cm를 넘지 않았다. 하나의 과실에 최대 5개의 알이 관찰되었으며, 알 기간은 2일을 넘지 않았다. 부화한 유충은 먼저 고형화되는 배로 이동하여 이를 섭식하면서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충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한 마리의 유충만 생존하였다. 6월 상순경 피해를 받은 과실의 대부분이 부패증상을 보이며 낙과하였다. 땅에 떨어진 과실의 핵 속에서 이듬해 봄까지 노숙유충으로 월동하였다.

명충알벌(Trichogramma. chilonis)의 사육 기주에 따른 왕담배나방과 담배나방에 대한 발육반응 및 기생률 (Developmental Performance and Parasitism of Trichogramma chilonis Ishii on Eggs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Guenee), and the American Bollworm, Helicoverpa armigera (Hubner) Depending on Previous Hosts)

  • 최만영;김정환;변영웅;김황용;김용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3-400
    • /
    • 2010
  • 담배나방 알(HAs)을 기주로 사육된 명충알벌(TC)을 담배나방(HAs-HAs)과 왕담배나방(HAs-HAr) 알에, 줄알락명나방(CC) 알을 기주로 사육된 TC를 왕담배나방(CC-HAr) 알과 담배나방(CC-HAs)에, 왕담배나방(HAr) 알을 기주로 사육된 TC를 왕담배나방(HAr-HAr)과 담배나방(HAr-HAs)에 대한 기생률, 발육기간, 우회율, 번식량을 실험실 조건(온도 $25{\pm}2^{\circ}C$; 습도 50~70%; 광기간 16L-8D)에서 조사하였다. TC는 직전에 어떤 기주에 사육했는가에 따라 시험 기주에서 나타나는 발육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흔히 직전기주와 시험기주의 크기에 의해 발육기간 우회율, 기생률, 번식량이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기생률과 번식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생률은 가장 낮은 CC-HAr의 $10.1{\pm}2.05%$에서 가장 높은 HAr-HAs의 $47.0{\pm}2.09%$로 나타나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회율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발육기간은 직전기주의 크기가 가장 작고 시험기주의 크기가 가장 큰 CC-HAr처리에서 가장 짧았다. 처리에 따른 TC의 번식량은 HAr-HAs에서 가장 높았으며($93.9{\pm}6.87$마리), 가장 낮은 처리는 CC-HAs($18.4{\pm}6.36$마리)였다.